[조현용의 우리말로 깨닫다] 디귿 이야기

작성자 : 관리자 날짜 : 2020/05/07 09:06

디귿은 다른 한글의 자모와는 달리 이름이 좀 특이합니다. 모두 두 번째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하는데 유일하게 디귿만 기역으로 시작하는 ‘귿’이 되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읃’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어서 받침에 디귿이 들어가는 한자를 찾아본 겁니다. 그런데 한자에도 디귿이 받침인 말은 없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받침에 디귿이 들어가는 우리말 중에서 다시 찾게 되었는데, 모음으로 시작하면서 받침이 디귿인 말은 찾지 못한 것 같습니다. 궁여지책으로 찾은 것이 ‘귿’입니다. 지금은 소리가 달라졌지만 ‘끝[末]’의 옛말입니다. 디귿에 끝의 의미를 담은 말(末)을 쓴 것은 디귿의 느낌에 마지막의 느낌이 있어서는 아닐까요? 끝을 발음해 보면 더 잘 느낄 수 있을 겁니다. 현재 북한에서는 원래의 생각을 살려 ‘디읃’이라고 합니다. 남북한에 부르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디귿 음은 청각적인 이미지가 강합니다. 즉, ‘소리’의 느낌이 납니다. 좀 ‘딱딱한’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두드리는’ 소리의 느낌이 나고, ‘뛰고’ ‘달리는’ 느낌도 납니다. 지금 쓴 단어에도 디귿이 한 가득이네요. 아무래도 디귿은 울림소리가 아니고 닫힌 음이기 때문에 a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 마무리가 되는 느낌인 겁니다. 하나가 끝나고 다음이 시작할 때는 소리가 나게 마련입니다. 부딪치는 소리, ‘떨어지는’ 소리가 납니다.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길 때도 소리가 나죠. 특히 빠르게 움직이면 소리가 더 크게 납니다. 세상의 소리 중 디귿과 쌍디귿으로 나는 소리에 귀를 기울여 봅니다. 어떤 느낌이 날까요?

디귿이 소리라고 한다면 의성어(擬聲語) 중에 디귿에 해당하는 예가 많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길게 이어지는 음보다는 끊어지는 음에 많을 것 같습니다. 북소리나 장구소리 등 타악기를 표현하는 소리에 디귿이 많이 보입니다. 예를 들어 북소리는 ‘둥둥’ 울립니다. 장구소리를 구음으로 표현하면 ‘덩 덩 따 쿵 따’라든가 ‘따 구 궁 따 쿵 따 쿵’처럼 표현이 됩니다. 쌍디귿 소리는 좀 더 강조되는 느낌이 있습니다. 더 짧게 끊어지는 소리입니다. 덩에 비해서 ‘따’는 더 짧게 끊어지는 소리입니다. 장구채로 치는 소리로 긴 소리가 아닙니다.

‘딱’이나 ‘똑’의 느낌도 비슷합니다. 시계소리를 ‘똑딱똑딱’이라고 표현한 것도 소리의 울림이 없기 때문일 겁니다. 물론 ‘똑딱’에는 받침의 기역도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빗소리의 ‘후두둑’이나 빨리 움직이는 ‘후다닥’에서도 디귿의 느낌을 알 수 있습니다. 각각 끊어지면서 서두르는 느낌이 있습니다. 빠른 움직임이 느껴지는 거죠. 그래서일까요? 우리 신체 부위 중에서 ‘다리’가 디귿으로 시작합니다. ‘달리다, 뛰다’도 모두 디귿으로 시작하는 어휘입니다. 후다닥 뛰고 달리는 다리의 모습이 상상이 됩니다.

촉감으로 보자면 디귿은 아무래도 굳어있는 느낌이 납니다. 여러 개가 겹쳐져 있는 느낌도 있습니다. 다닥다닥, 덕지덕지 붙어있는 느낌입니다. 굳어 있다 보니 딱딱한 느낌도 납니다. 한편 디귿으로 시작하는 의성어와 촉감에 해당하는 표현이 연결되고 있는 듯합니다. 딱딱한 것에 부딪치면 딱 소리가 나니 말입니다. 막힌 것을 뚫는 것도 디귿의 느낌입니다. 그리고 우연의 일치로 보이나 돌이나 땅이 디귿과 연관이 됩니다. 돌은 들이나 달과도 관련이 됩니다. 모두 땅의 이미지가 있습니다. ‘닫다’와 ‘굳다’의 받침이 디귿인 것도 느낌을 보여줍니다.

저는 디귿을 보면 북소리가 들리고 장구소리가 들립니다. 둥둥둥, 따궁따 소리는 우리의 심장을 더 뛰게 한다고 합니다. 심장마비가 왔을 때 북소리를 들려주면 응급 상황을 벗어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는데 북소리가 심장박동을 닮았기 때문이겠죠. 전쟁터에서 북소리를 울리는 것은 단순히 큰 소리로 응원하는 것만은 아닐 겁니다. 심장을 뛰게 하여 힘을 북돋는 것이죠. 디귿 소리 속에서 우리 모두 더 큰 힘을 얻기 바랍니다.

조현용(경희대 교수, 한국어교육 전공) iiejhy@kh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