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앙마이의 대기 오염 수치, 심각해
(사진출처 : MGR Online)
오늘(2023년 3월 1일) 치앙마이 도청의 보고서에 따르면 치앙마이의 먼지, 연기, 산불 및 대기질 상황은 계속해서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오늘 아침 내내 치앙마이의 상황은 연기로 짙게 뒤덮였다. 평소처럼 멀리서 Doi Suthep을 볼 수 없는 원인 물리적 지표이다.
치앙마이의 먼지, 연기, 산불 및 대기질 상황이 심각한 단계에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2023년 2월 28일 치앙마이 지역의 핫스팟에 대한 위성 측정 결과에 따르면, 이 지역의 17개 곳에서 감지된 총 2,201개의 핫스팟 중 화재로 인한 핫스팟은 90개만 감지되었다.
치앙마이 도청은 25개 지구의 전 지역을 발주한 곳 특히 위험한 지역 산불 및 모든 유형의 화재에 대해 가장 엄격한 예방 조치를 취하라고 강조했다. 또한 공중 보건 기관은 특히 위험 집단에 속한 사람들(만성질환자,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에게 야외활동을 피하라고 조언했다.
치앙마이 지방의 대기 질 측정 결과 보고서. 공해 통제 부서의 모니터링 스테이션에서 Chang Phueak Subdistrict, Si Phum Subdistrict, Suthep Subdistrict, Mueang District, Chiang Mai Province, Chang Kheeng Subdistrict Mae Chaem District, Mueang Na Subdistrict 치앙다오 지구와 항동 지구, 호드 지구는 오늘 오전 9시에 24시간 주기로 작은 입자상 물질 PM 2.5 평균을 86마이크로그램/입방미터, 76마이크로그램/입방미터, 111마이크로그램/입방미터, 102마이크로그램으로 발견했습니다. / 입방 미터,99 50마이크로그램/세제곱미터 이하의 표준값에서 각각 마이크로그램/세제곱미터 및 135마이크로그램/세제곱미터 공기질지수(AQI)는 100을 넘지 않는 기준치에서 각각 190, 164,221,212,209, 245로 전반적인 공기질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이다.
오늘 치앙마이의 대기질 지수는 미국 AQI 186, PM 2.5 수치는 입방미터당 122.4마이크로그램으로 측정됐다.
▶ 활동가가 경찰의 부정을 비난, “전 경찰청장이 불법 도박 사이트 70% 소유자”라고 폭로
(사진출처 : PPTV)
방콕 빠툼완구 경찰청사 앞에서 범죄피해자 지원 클럽 아치라야(อัจฉริยะ เรืองรัตนพงศ์) 씨가 ‘온라인 도박 사이트에 관여하고 있는 경찰관(ตำรวจที่เข้าไปเกี่ยวข้องกับเว็บพนันออนไลน์)’ 16명의 이름을 적은 포스터를 공개하고, 경찰 간부가 불법 온라인 도박에 관련되어 있다고 비난했다.
아치라야씨는 전직 경찰청장인 ‘S 경찰 대장(พล.ต.อ. 'ส')’이 태국에서 운영되는 불법 도박 사이트의 약 70%를 소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사이트 중 일부는 중국인이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지적에 대해 담롱싹 경찰청장은 사실관계를 해명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약속했다.
불법 도박에 경찰이 관여하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사회적 문제를 지속적으로 고발하고 있는 전 특수 안마장 경영자 추윗 전 하원 의원이 최근 들어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태국 정부, 동북부 나콘라차씨마도에서 카사바 재배 추진, 세계 타피오카 회의에서 보고
(사진출처 : Prachachat)
쭈린(จุรินทร์ ลักษณวิศิษฏ์) 부총리 겸 상무부 장관은 최근 방문한 동북부 나콘라차씨마도에서 개최된 토론회 자리에서 태국 정부가 환금작물인 ‘카사바(มันสำปะหลัง)’ 생산·가공을 이 도에서 강력하게 추진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2월 23일부터 25일에 걸쳐 이 도에서 개최된 '세계 타피오카 회의 2023'이 개최되었는데, 쭈린 부총리는 태국 정부의 카사바 재배 촉진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태국에서 중국, 홍콩, 터키에 총 470만톤, 200억 바트 상당의 카사바를 수출하는 양해각서가 이번 회의에서 나왔다.
그 밖에도 태국에서 필리핀으로 카사바를 수출한다는 양해각서도 주고받았으며, 올해 들어 태국은 총 1000만톤, 400억 바트 상당의 카사바 수출을 결정했다.
카사바에서 채취한 전분질을 건조한 것을 ‘타피오카 분말(แป้งมันสำปะหลัง)’이라고 부른다.
▶ 쭈린 상무부 장관, 태국 쌀 수출, 올해는 800만 톤에 도달 가능하다고 언급
(사진출처 : Trueid News)
쭈린(จุรินทร์ ลักษณวิศิษฏ์) 부총리 겸 상무부 장관은 태국 쌀 수출업체 협회 간부와 논의 후 “태국 쌀은 국제시장에서 근본적인 수요가 있기 때문에 올해 수출이 800만톤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쭈린 장관은 바트 약세, 인도와 베트남이 국내 소비용 쌀 저장량을 늘리고 있는 것, 중동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것 등이 태국 쌀 수출에 있어서 순풍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무부 외국무역국이 2월 27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1월 태국 쌀 수출은 805,519톤에 달해, 전년 같은 달 보다 75.2% 상회했다. 또한 1월 수출액은 142억 바트로 전년도 같은 달에 비해 78.7% 상승했다.
▶ '미국·태국 주축' 다국적 연합훈련 '코브라 골드' 개시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안정 유지' 목적…30개국서 7천여명 참가
美·태국 주관 연합훈련 '코브라골드' 개막식에 참가한 군인들
(라용[태국] 로이터=연합뉴스) 군인들이 27일(현지시간) 태국 라용시(市) 우타파오 국제공항에서 열린 '2023 코브라골드 연합훈련' 개막식에 참가하고 있다. 코브라골드는 태국과 미국이 주관하는 아시아 최대 연례 연합훈련으로 1982년부터 개최됐다. 28일부터 다음달 10일까지 실시되는 이번 훈련에는 한국, 미국 등 7개국 병력 7천390여명이 참가한다. 2023.02.28
yerin4712@yna.co.kr
(하노이=연합뉴스) 김범수 특파원 = 미국과 태국군을 주축으로 하는 다국적 연합훈련인 '코브라 골드(Cobra Gold) 2023'이 28일(현지시간) 시작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오는 10일까지 태국 해안 등에서 진행되는 이번 훈련에는 양국 외에도 한국, 일본,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의 일부 병력을 포함해 30개국에서 총 7천여명이 참여한다.
이중 미국은 6천명에 육박하는 규모의 병력을 파견했다. 중국과 호주, 인도는 인도적 지원 활동에 일부 인력이 참여한다.
존 아퀼리노 미 인도·태평양 사령관은 "훈련에 참가하는 미군 병력은 지난 10년간을 통틀어 최대 규모"라면서 "참가국들과 함께 육해공 및 사이버상에서 통합 작전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훈련 기간에는 미국과 일본, 태국의 민·군 소속 우주과학자들이 모여 태양풍 등 대기 현상이 군사 작전과 통신, 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코브라 골드 훈련은 1982년부터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미국과 태국군 주도로 태국 해안 등에서 매년 개최됐다. 무력분쟁이 발생한 지역에 다국적군을 투입해 분쟁을 종식하고 안정화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난해 실시된 코브라 골드에는 태국군 1천953명, 미군 1천296명이 참여했다.
양국은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자 올해부터는 대규모로 훈련을 실시하기로 작년 6월에 합의했다.
▶ 4년 만에 아이사 최대 규모 축산 관련 행사 태국 'VIV Asia' 개최
VIV Asia 2023, 3.8-10 태국 방콕 IMPACT서 개최...1500여 기업 전시 및 100개 컨퍼런스 예정
(사진출처 : www.vivasia.nl)
3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태국 방콕의 IMPACT(임팩트) 컨벤션 센터에서 'VIV Asia 2023(비브 아시아 2023, https://www.vivasia.nl/exhibit/)' 행사가 열린다.
'비브 아시아'는 아시아에서 열리는 가장 규모가 큰 축산 관련 행사입니다. 돼지를 비롯해 가금, 젖소, 양어 등과 관련된 제품 전시회와 함께 컨퍼런스(학회)를 겸하고 있으며 매 2년마다 개최된다.
올해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지난 2019년 이후 4년 만에 열린다. 장소도 전혀 새로운 곳입니다. 전시 면적은 6만 제곱미터로 이전 행사의 거의 두 배에 달한다. 이에 이번 행사에 대한 더 큰 기대를 주고 있다.
주최 측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최첨단 노하우에 초점을 맞추었다. 참석자들에게 최신 혁신 및 기술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특별한 기회는 물론 선도적인 업계 및 연구 전문가의 모범 사례를 제공할 예정이다.
전시회에는 사료, 약품, 건강, 번식, 사양 관련 1,5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한다. 컨퍼런스는 축산 관련 다양한 솔루션을 주제로 100개 이상이 제공된다. 일부 컨퍼런스는 입장료가 필요하지만 전시회를 포함해 대부분은 무료로 참관할 수 있다.
▶ 요리용 가스, LPG, 가격 인상. 킬로그램당 1바트 추가 인상
(사진출처 : Bangkokbiz)
에너지부는 LPG 요리용 가스의 소매 가격을 15kg 배럴당 408바트에서 15kg 배럴당 423바트로 인상하기로 한 에너지 정책청(PAF)의 결의에 따라 인상한다. 2023년 3월 1일~31일, LPG의 세계 시장 가격이 여전히 판매 가격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현재 에너지부는 2월에 보조금을 지급하기 위해 NSA(Oil Fund)의 가격 지원 메커니즘을 사용하고 있다.
보조금을 kg당 9바트에서 kg당 8바트로 매월 평균 약 4억 1,700만 바트 또는 하루 1,344만 바트로 줄인다. 현재 2023년 2월 26일 현재 104,012백만 바트로 여전히 마이너스이며, 마이너스 LPG 계정 46,095백만 바트와 마이너스 오일 계정 57,917백만 바트로 나누어져 있으니 지켜봐야 한다. Supattanapong Phanmeechaow, 부총리 겸 에너지부 장관은 CPB 의장으로서 4월에 가격 조정을 고려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가격을 올리고 싶습니다. 오일펀드 때문에 부정적 요인이 많고 더 이상 참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위로 올라가야 합니다. 그것이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해하지만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돈이 없기 때문에 이때 돈을 모을 수 있다면 먼저 모아야 한다. 새로운 정치가 나온다면 한순간에 캠페인 방침에 따라 가격을 인하해야 하고, 이제 LPG 가격이 비싼 시즌에 접어들기 시작했으니 빨리 돈을 돌려받아야 할텐데, "라고 말했다고 소식통이 전했다.
소식통은 또한 유가가 더 비싸게 돌아 오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에너지부는 지속적으로 변동하는 에너지 가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2023년 2월 27일 경유(경유) 가격은 배럴당 $101.59였다. 지난 주에는 여전히 배럴당 98-99달러 범위에 있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환율도 상승하여 달러당 32-33바트에서 35바트로 상승하여 변동성이 매우 큰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벤젠과 마찬가지로 기복이 있지만 CPB는 마케팅을 줄일 것이다. 석유 공급자는 환율, 조정된 국제 유가 변동 등 요인으로 인해 가격을 낮출 수 없다.
그러나 오일펀드 사무국은 12월에 리터당 5바트 이상 모았던 주유소 앞 디젤 가격은 리터당 34바트를 유지하면서 리터당 평균 4.77바트, 하루 3억 2,538만 바트를 오일펀드에 모으고 있다. 2022년부터 2023년 2월까지 200억 바트 이상을 오일 펀드로 모을 수 있지만 펀드는 여전히 1000억 바트가 넘는 적자 상태이다.
▶ 차청싸오도에서 이웃 주민들이 주택에서 백사자를 기르는 중국인을 경찰서에 신고
(사진출처 : MGR Online)
백사자를 기르는 중국인들을 보고 겁에 질린 이웃들이 농 프루에 경찰서에 신고해 조사를 요청했다.
해당 주택은 실제 알려진 대로 50평방와트 이상의 면적을 가진 2층짜리 단독주택으로 확인됐으며, 실제로 신고된 대로 백사자 새끼가 집 담장 안을 걸어다니고 있었으며, 주인인 중국인 39세의 Shen Tai씨는 차청싸오 도에 위치한 Yothin Nakkon씨의 백사자 농장에서 500,000바트의 가격으로 3개월 된 암사자 한 마리를 구입한 증명서를 당국에 제출할 준비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수컷 사자 사육 허가를 요청했다는 증거를 제시할 수 없음에 따라 보호 구역 2(Sriracha) 사무국 직원은 Shen Tai씨에게 백사자 거래 증거를 가져와 보호 구역 2(Sriracha)에 제출하여 야생 동물 소유 등록 허가를 받을 것을 권고했다.
한편 보존 구역 2(Sriracha) 사무실의 수의사인 Phairot Phomwat 씨는 백사자가 사나운 A형 야생 동물이라고 밝혔다. 소유자가 소유할 수 있는 면허가 있어야 하고, 야생동물의 소유신고를 정확히 해야 흰사자를 키울 수 있고, 기르는 사람과 주변 사람들을 위한 안전을 위해 케이지가 있어야 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