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례입시 Q&A 698호 : 학과 안내(컴퓨터 관련계열 학과)

2024/12/23 18:56:01

이번 698호에서는 건축계열에 이어서 컴퓨터 관련계열 학과를 소개해 드립니다. 최근 AI의 발달과 더불어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학과입니다. 3년특례 12년특례 할 것 없이 가장 높은 경쟁율을 보이고 있는 학과입니다. 컴퓨터 관련 학과의 역사는 비교적 짧은 편입니다. 세계 최초의 컴퓨터과학 학위는 1953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개설되었고, 미국에서는 1962년 퍼듀 대학교가 석박사 과정을 처음 선보였습니다. 이후, 미국의 주요 대학인 USC와 MIT는 1968년에서 1975년 사이에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 또는 컴퓨터공학(Computer Engineering) 학과를 개설하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대학에서 컴퓨터과학은 수학이나 응용수학과의 일부로 시작해 학문의 발전과 함께 독립된 학문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를 들어, 하버드 대학교의 컴퓨터과학과는 1984년 응용수학과에서 분리되었습니다. 한국에서도 고려대학교와 서울대학교가 각각 수학과와 응용수학과에서 분리되어 컴퓨터 관련 학과를 개설했습니다. 초기에는 컴퓨터 관련 학과를 "Computer Science"라고 명확히 명명한 사례가 드물었기 때문에, 저명한 컴퓨터 관련 인물 중 "Computer Science" 학위 출신은 많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빌 게이츠는 하버드 대학의 응용수학과 출신이며, 스티브 잡스는 리드 칼리지 철학과를 전공했습니다. 70년대 이후 "Computer Science"라는 학문적 용어가 정착되면서, 제프 베이조스(80년대 학번)나 마크 저커버그(2000년대 학번)와 같은 2세대 인물들이 컴퓨터 관련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한국에서는 컴퓨터 관련 학과의 초기 명칭으로 전산학과, 전자계산학과, 정보과학과(Information Science)가 주로 사용되었고, 70년대 숭실대에 처음 개설되었습니다. 이후 90년대부터 "컴퓨터"라는 용어가 보편화되면서 "컴퓨터공학과"로 명칭을 변경한 대학이 많아졌습니다. 컴퓨터공학(Computer Engineering)은 원래 하드웨어를 다루는 세부 전공을 의미하지만, 한국에서는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개설된 학부기준으로 학과의 이름을 보면 컴퓨터공학과와 컴퓨터과학과로 나누어집니다.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은 컴퓨터의 이론적 측면을 다루는 학문으로, 응용수학과 컴퓨팅 이론을 중심으로 합니다. 알고리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래밍 언어, 인공지능(AI) 등 소프트웨어와 컴퓨팅의 원리를 연구하며,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기술 개발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쉽게 말해, 컴퓨터과학은 이론적 연구와 수학적 모델링에 가깝습니다. 반면, **컴퓨터공학(Computer Engineering)**은 컴퓨터과학과 전자공학이 결합된 학문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다루는 응용 중심의 공학입니다. 프로세서 설계, 임베디드 시스템, 네트워크와 같은 컴퓨터 하드웨어와 이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아우르며, 기술의 실질적 구현과 응용에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컴퓨터공학은 하드웨어 설계와 소프트웨어 개발의 융합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대학 교육에서는 두 학문을 엄격히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통합적인 교육 과정으로 운영되는 사례가 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컴퓨터과학이 이론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컴퓨터공학은 응용 기술을 다룬다고 이해하면 충분합니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학문 모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수적인 기술을 제공하며,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 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2025학년도부터 연세대의 경우 컴퓨터학과와 인공지능학과가 첨단컴퓨팅학부와 IT융합과학전공 그리고 지능형반도체전공학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첨단컴퓨팅학부는 최신 고성능 GPU를 활용한 AI 데이터센터를 통해 혁신적인 교육과 연구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설계와 구현, 인공지능 모델의 창의적 설계와 검증, 첨단 AI 시스템의 디자인과 개발을 직접 경험하며, 컴퓨팅 기술과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 교육을 통해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합니다. IT융합공학전공은 정보, 전자, 컴퓨터, 나노 기술 등 다양한 IT 분야의 수평적 융합과 인문/사회과학, 예술, 디자인 등의 수직적 융합 교육을 통해 국제적인 통섭형 리더를 양성합니다. 학생들은 자기주도적인 융합 연구 설계와 수행을 지원받으며, 3년의 학부 과정과 4년의 석박사 통합과정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와 실무 능력을 겸비한 미래 첨단 분야의 융합형 지도자로 성장합니다. 지능형반도체전공은 2025학년도부터 신입생을 모집하며, 반도체와 IT 융합 기술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합니다. 학생들은 시스템 반도체 소자/공정, 지능형 반도체 프로세서, 지능형 반도체 플랫폼 등 세부 트랙을 통해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설계, 공정 기술, 응용 분야에 특화된 시스템 설계 기술을 학습하며,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전문성과 실무 역량을 함양합니다. 고려대의 경우 마찬가지로 컴퓨터학과 데이터과학과와 인공지능학과로 정보대학부가 나누어지며 컴퓨터학과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공학, 알고리즘, 인공지능 등 컴퓨터의 이론 및 응용을 아우르는 학문입니다. 데이터학과의 경우 테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빅데이터, 머신러닝,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등 데이터를 활용한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며 데이터 처리 및 분석 기술을 중심으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분석 능력을 가질수있도록 교육합니다.

특례입시 Q&A 697호 : 학과 안내(공과대학)

2024/12/06 20:01:21

안녕하세요. 이번 697호부터는 우리 학생들이 선택해야 하는 학과에 대한 이야기를 연재해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공과대학입니다. 공과대학 안에는 정말 많은 학과가 있습니다. 공학계열은 일상생활이나 산업에 활용되는 공업 생산 기술을 개발 및 연구할 수 있는 지도적 인재육성과 고급 과학 기술의 두뇌 양성을 목표로 하는 학문입니다. 먼저 건축ㆍ설비 공학과 & 건축학과 소개합니다. 1. 건축ㆍ설비 공학과 건축ㆍ설비 공학과는 건축물의 시공과 설비를 중심으로 연구합니다. 이 학과에서는 안전하고 견고한 건축물을 짓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배우며, 특히 건축물 내의 설비 시스템(예: 냉난방, 전기, 배관)을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현대의 첨단 건축 기술이 IT와 융합하면서, 컴퓨터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설계 및 관리 기술도 교육 과정에 포함됩니다. ◀ 주요 교육 내용 •건축 시공 기술: 재료의 특성, 구조적 안정성, 시공 기법 등 •건축 설비 설계: 냉난방 시스템, 배관, 전기 설비, 환기 시스템 등 •법률 및 계약 관리: 건설 관련 법규, 구매 계약, 공정 관리 •IT 융합 기술: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CAD(Computer-Aided Design) 등 ◀ 관련 직업 •건축설비 엔지니어, 건축기계 설계자, 공사 관리 전문가, 건설 현장 감독 ※ 관련대학 및 학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건축설비공학과 •한양대학교 : 건축공학과 •건국대학교 : 건축기계설비공학과 •서울시립대학교 : 건축공학과 •연세대 : 건축공학과 2. 건축학과 건축학과는 건축물의 설계와 건축 이론, 기술체계를 배우며, 주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미학적 디자인을 연구합니다. 건축학은 실용적이고 예술적인 측면을 아우르는 학문으로, 학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 주요 교육 내용 •건축 설계 이론 및 실습 : 공간의 효율성, 미학, 기능적 설계 •디지털 건축 기술 : BIM을 포함한 3D 모델링 소프트웨어, CAD를 통한 설계 도면 작성 •친환경 건축 : 에너지 효율, 재생 가능 자원 활용, 지속 가능한 설계 •건축 역사 및 이론 : 건축 스타일, 문화적 배경 건축학과는 4년제 또는 5년제로 운영되며, 5년제는 건축사 면허 시험 준비를 위한 필수 학점을 포함한 심화 과정을 제공합니다. ◀ 관련 직업 •건축 디자이너, 건축사, 도시계획가, 인테리어 디자이너, 친환경 건축 전문가 ※ 관련대학 및 학과 •서울대학교 : 건축학과 (5년제) •연세대학교 : 건축학과 (5년제) •고려대 : 건축학과 (5년제) •성균관대 : 건축학과 (5년제) •한양대학교 : 건축학부 (건축학, 5년제 및 건축공학, 4년제) •건국대학교 : 건축학과 (5년제) •이화여자대학교 : 건축학과 (4년제) •홍익대학교 : 건축학과 및 실내건축학과 3.토목공학과 ‘토목(공)학’은 터널, 철도, 지하철 등의 교통 시설, 발전소 같은 전력시설, 댐 같은 해양시설, 상하수도, 환경관련시설, 안전관리시설 등 각종 사회기반시설물이 안전하게 작동하여 최적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시공ㆍ유지하는 지식과 기술을 공부합니다. 최근에는 우주개발이나 사막 개발, 해저개발 등 탐구영역이 점차 넓어지는 추세입니다. ◀ 관련학과 토목공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건설환경공학과, 철도건설과, 토목과가 있습니다. ◀ 관련 직업 공무원 (국가/지방자치단체) 도로, 교량, 항만, 철도, 상하수도 등 공공 인프라 설계 및 유지 관리, 국토교통부, 환경부, 서울시 등 정부 기관 근무, 건설회사 엔지니어, 대기업 건설사에서 프로젝트 설계, 시공, 관리, 해외 플랜트 및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 관련대학 및 학과 •서울대 : 건설환경공학부 •고려대 : 건축사회환경공학부 •한양대 : 건설환경공학과 •연세대 :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성균관대 : 건설환경공학부

특례입시 Q&A 696호 : KAIST 2025학년도 외국고 전형 모집 요강

2024/12/06 19:48:45

KAIST 2025학년도 외국고 전형 모집 요강 KAIST는 해외 고등학교에서 최소 3년 이상 수학하고 2025년 8월까지 졸업 예정인 한국 국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국고 전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전형을 통해 매년 약 40명의 학생들이 KAIST에 입학하며,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2025학년도 주요 변경 사항 이번 2025학년도 전형에서는 지원자의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개인의 독립성과 사회적 책임을 평가하기 위한 변경 사항들이 도입되었습니다. 특히, 추천서와 자기소개서 항목에 변경이 있어, 지원자는 이를 유의하여 준비해야 합니다. ◀추천서 교사가 작성하는 추천서에는 학생의 독립성 평가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지원자가 학업 및 학교생활에서 보여준 자립성과 리더십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준입니다. 또한, 학교 폭력 또는 중대한 징계 사항에 대한 기록을 확인하는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추천자는 지원자의 학창 시절 중 큰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므로, 학생들은 이에 대해 교사와 충분히 소통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원 서류 및 자기소개서 변경 사항 자기소개서에는 지원자의 학업 외적인 활동과 지역 사회에 기여한 경험, 그리고 개인적으로 극복한 도전과 관련된 항목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지원자의 다양한 경험과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성장 과정과 성취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서술해야 합니다. 학교 폭력과 관련된 정보가 추가로 요구되며, 학생들은 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 이를 서류에 기재해야 합니다. ◀시험 성적 제출 요건 2025학년도부터 SAT, ACT 등의 표준화 시험 성적 제출이 필수화되었습니다. 단, AP 시험과 같이 졸업 요건과는 관련 없는 시험은 선택적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원자는 SAT나 ACT와 같은 시험 준비가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지원 일정 -서류 접수: 2024년 12월 10일~2025년 1월 10일 -서류 업로드 마감일: 2025년 1월 17일 -면접 (필요 시): 2025년 2월 20일~21일 -최종 합격자 발표: 2025년 3월 14일 ◀지원 가능 학과 외국고 전형을 통해 지원할 수 있는 학과에는 과학, 공학, 경영 등 다양한 학과가 포함되며, 학과별로 세부 전공이 다수 존재합니다. 단, 반도체공학과는 외국고 전형을 통해 지원할 수 없습니다. ◀선발 기준 선발은 지원자의 학업 성취도, 학교 생활에 대한 성실도, 그리고 개인의 창의성 및 사회적 책임 의식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루어집니다. KAIST는 지원자가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전형 전반에 걸쳐 지원자의 학업 외적인 자질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제출 서류 지원자는 다음과 같은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독서 활동 내역 (최대 3권) -추천서: 학교 교사가 작성하며, 지원자의 독립성과 학교 폭력 등 중대한 징계 여부를 포함하여 평가합니다. -학교 프로파일 및 학업 성적 증명서: 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의 전반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여권 사본 및 고교 재학 중 해외 체류 기록: 지원자의 국적과 해외 수학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로, 여행 및 체류 기록이 포함됩니다. -졸업 예정 증명서: 지원자의 졸업 예정일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표준화 시험 성적: SAT, ACT 등 필수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성적이며, AP 시험 등은 선택적으로 제출 가능합니다. SAT 또는 ACT의 경우 시험 기관을 통해 성적을 직접 제출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공인시험 성적 제출에 대하여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SAT, AP, ACT 성적은 반드시 온라인 리포팅으로만 제출 가능합니다. SAT, AP 온라인 리포팅 기관 코드: 4433, ACT 온라인 리포팅 기관 코드: 7778, College Board의 온라인 리포팅이 KAIST에 접수되기까지 1~2주 소요됩니다. 반드시 여유있게 접수및 리포팅해주세요. IBDP 최종점수가 있는 경우 반드시 온라인 리포팅으로만 제출 가능합니다. IB 온라인 리포팅 기관 코드: 000559입니다. GCE A-Level 최종점수가 있는 경우 최종 성적표를 스캔하여 업로드합니다. IBDP, GCE A-Level 예상점수를 제출하는 경우 반드시 Academic Advisor 또는 School Counselor가 작성/서명한 과목별 및 총점 예상점수를 제출해야 하며, 최종합격 시 최종점수를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예상점수로 지원 시 조건부합격이 부여될 수 있으며, 이후 최종점수를 제출하지 않거나 예상점수와 최종점수의 차이가 클 경우 합격/입학 취소 또는 장학금 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리포팅의 경우 2025. 1. 17.(금) 17시까지 KAIST에 접수된 성적까지만 인정합니다. IB Nov. 2023의 경우 최종점수를 미리 온라인 리포팅 신청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기타 해당 국가에서 공인한 고등학교 졸업시험 또는 대학입학시험 성적 증명서의 경우, 최종 성적표를 스캔하여 업로드합니다.

특례입시 Q&A 695호 : AP시험에 대한 안내

2024/11/05 18:53:46

안녕하세요? 이번 695호에서는 AP시험에 대한 안내를 해드리고자 합니다. AP는 (Advanced Placement)의 약자로 대학 수준의 과목을 고등학교에서 미리 수강하는 것을 말합니다. 본래 AP시험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에게 보다 수준 높은 수준의 학업에 대한 기회를 주고자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필수가 아니지만 일부 미국의 명문대학을 지원하는 학생들에게는 필수적인 코스입니다. 또한 재외국민 특례를 지원하는 학생들에게 있어서 미국계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에게 있어서 상위권 대학을 지원하는 학생들에게 있어서 또한 필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대학을 지원하시는 학생들의 경우 미국의 소위 말하는 명문대학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경우 과목수가 적어도 도전정신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명문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기회가 낮아지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위권 학생들에게 있어서 AP는 매우 필수적인 과목입니다. 하지만 일부 몇몇 소수의 학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학교들이 매우 적은 AP과목들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는 전공에 맞춰서 관련있는 AP과목을 따로 공부하여 취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AP 구성 AP 시험은 매년 5월에 치루어지면 1년에 1번만 시행합니다. 시험 성적은 매년 7월초순에 발표됩니다. 대부분의 AP 시험은 객관식과 주관식으로 융합되어 있으며 최대 5점에서 최소 1점으로 점수가 산정됩니다. 3점 이상이면 이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되며 상위권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4점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대학에서 AP과목을 학점으로 이수받길 원하는 학생은 5점인 경우 A, 4점인 경우 B로 학점이 산정됩니다. AP과목은 대락 39개의 과목이 있으며 문과계열과 이과계열 등 다양한 과목이 있습니다.(미국대학) ■ AP과목 설정 많은 학부모님들이 항상 물어오시는게 어떤 과목을 수강해야되고 어떤 과목을 시험을 봐야하는 것입니다. AP는 학교에 개설이 되어있다면 가능한 많이 수강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원하는 전공과목과 해당 관련있는 과목이 학교에 개설되어 있지 않다면 독학으로 공부해서 시험을 봐야합니다. 시험은 각 학교에 오픈되어있는 학교를 찾아가 시험을 보면 됩니다. ◀문과의 경우 : ENGLISH, CALCULUS AB, ECONOMIC, PSYCHOLOGY, STATISTICS, ENVIRONMENTAL SCIENCE, HUMAN GEOGRAPHY,P OLITICS, HISTORY 등과 같은 과목들을 수강하거나 시험을 보게 됩니다. ◀이과의 경우 : PHYSICS, CHEMISTRY, BIOLOGY, CALCULUS BC, COMPUTER SCIENCE 등과 같은 과목들을 수강하거나 시험봐야 합니다. ■ AP시험 일정 2025년 AP시험 일정을 안내해드립니다. 2025학년도 부터는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의 학교 및 시험 센터에서 디지털 시험으로 실시됩니다. 디지털 SAT 시험을 본 적이 있는 수험생이라면 이미 Bluebook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보셨을 것입니다. 2025년의 디지털 AP 시험도 이 Bluebook 어플리케이션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단, 디지털 AP 시험은 재택으로 볼 수 없으며, 기존 지필 시험과 마찬가지로 시험을 등록하신 학교나 시험 센터에 출석해서 응시하셔야 합니다. 디지털로 전환되는 28개의 AP 시험 중, 16개 시험은 완전한 디지털(Fully Digital) 형태로, 12개 시험은 하이브리드 디지털(Hybrid Digital) 형태로 실시됩니다. Hybrid Digital Subject 학생들은 Bluebook 애플리케이션으로 multiple-choice 섹션을 완료하고, free-response 섹션의 문제를 볼 수 있습니다. Free-response 섹션의 답안은 종이 시험 책자에 손으로 작성하고 반납합니다. AP Biology/ Calculus AB / Calculus BC / Chemistry / Macroeconomics / Microeconomics / Physics 1: Algebra-Based / Physics 2: Algebra-Based / Physics C: Electricity and Magnetism/ Physics C: Mechanics / AP Precalculus / AP Statistics ■ 주요과목 일정 -5월5일 : BIOLOGY / Microeconomics -5월6일 : CHEMISTRY -5월7일 : COMPUTER SCIENCE -5월8일 : STATISTICS -5월9일 : Macroeconomics -5월12일 : CALCULUS AB, BC -5월13일 : Physics 2: Algebra-Based -5월16일 : Physics 1: Algebra-Based

특례입시 Q&A 694호 : 일본대학 영어코스 리츠메이칸대학 Ritsumeikan University 안내

2024/10/25 18:36:25

안녕하세요. 이번 694호에서는 일본대학 영어코스 리츠메이칸대학 Ritsumeikan University을 소개해 드립니다 리츠메이칸 대학(RU)은 일본의 대표적인 사립 대학 중 하나로, 120년의 역사를 자랑하며, 일본과 전 세계에서 온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현재 약 3,000명 이상의 국제 학생이 재학 중이며, 글로벌 환경과 다문화적 학습을 중시하는 학교입니다. 캠퍼스 및 위치는 교토 캠퍼스: 국제 관계학부(Global Studies Major)가 위치하고 있으며 오사카 이바라키 캠퍼스: 공학 및 ICT 과정(Information Systems Science and Engineering, GLA Dual Degree) 비와코-쿠사츠 캠퍼스: 주로 과학 및 스포츠 관련 학부를 배치하고 있습니다. ■ 리츠메이칸 영어 프로그램 ●글로벌교양학부 College of Global Liberal Arts(GLA) 2025년 9월 입학 1차 : 2024년 10월2일부터 ~ 2024년 10월 22일 / 2차 : 2024년 12월 4일부터 1월 14일까지 글로벌교양학부(GLA)는 다른 영어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영어로만 진행이 되는 과정입니다. 리츠메이칸 대학은 일본 교토에 위치한 관서지역의 4대명문 사립대학인 칸칸도리츠중 하나인 대학입니다. 칸칸도리츠를 설명해드리자면 관서(간사이)지방을 대표하는 명문사립대로 간사이대학, 칸세이카쿠인대학, 도시샤대학, 리츠메이칸대학이 있습니다. 그중 리츠메이칸대학은 규모가 큰 캠퍼스로 세 곳이 있으며 키누가사(KIC), 비와코 쿠사츠(BKC) , 오사카 이바라키(OIC)입니다. 글로벌교양학부는 호주국립대학(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과 Dual Degree Program으로 2학년 2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 1년간 호주국립대학에서 배워야합니다. 졸업할 때는 리츠메이칸대학에서 글로벌 교양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으며 호주국립대학에서는 아시아태평양 학사 학위를 받아서 2개의 학위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교양학부라는 학과 자체가 다소 불분명하지만 인공지능에 의한 사회적변화, 시장경제의 진화, 디자인과 사회, 세계사 문명, 문화 연구, 지식과 혁신, 현대 일본, 인턴십, 정치와 정부, 국제관계와 안보, 분쟁과 평화구축, 역사와 문화적 정체성 등 사회전반적인 것들을 공부하고 다루게 됩니다. 또한 입학성적별로 장학금제도가 많아서 장학금 혜택또한 받으며 다닐 수 있습니다. 3차에 걸쳐서 총 34명을 선발합니다. 영어는 토플 80점이상 (R&W 20점이상 S&L 18점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IELTS는 6.5점이상이 되어야 하며 각영역별 기준은 6점이상이 되어야합니다. SAT는 필수가 아니며 입학전형료는 5,000엔입니다. 여권 복사 / 고등학교 졸업 또는 졸업예정증명서 /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 TOEFL 또는 IELTS 성적표 / Essay 2편 / ID Photo JPG 파일 / SAT 등 대학입학시험관련 성적 (옵션사항) / Letter of Reference 추천내용을 포함하는 일종의 학생평가서로 학교 선생님이 작성합니다. TAO에 평가서를 작성해줄 선생님의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면 평가서 작성링크가 선생님 이메일주소로 전달됩니다. 학비는 입학금 20만엔이며 학비는 다소 비쌉니다. 1년학비가 253만엔입니다. 글로벌교양학부는 오시카의 이바라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리츠메이칸대학 정책과학부 커뮤니티와 지역정책전공(CRPS) 2025년 9월 입학 1차 : 2024년 12월 4일부터 ~ 2025년 1월 14일 / 2차 : 2025년 2월 12일부터 3월4 일 까지 CRPS전공(Community and Regional Policy Studies Major)은 12번째 생일을 맞이하는 12년째 운영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총 30명만을 선발하며 대부분의 수업은 토의, 토론, 발표, 협업으로 진행되므로 사회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대한 문제의식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영어성적은 토플 71점 IELTS는 5,5이상입니다 학비는 입학금이 20만엔이며 1년수업료는 146만엔입니다. 캠퍼스 역시 오사카 이바라키 캠퍼스입니다. 제출서류는 여권 복사 / 고등학교 졸업 또는 졸업예정증명서 /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 TOEFL 또는 IELTS 성적표 / Essay (500words) / ID Photo JPG 파일 / SAT 등 대학입학시험관련 성적 (옵션사항) / Letter of Reference 추천내용을 포함하는 일종의 학생평가서로 학교 선생님이 작성합니다. TAO에 평가서를 작성해줄 선생님의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면 평가서 작성링크가 선생님 이메일주소로 전달됩니다. ●국제관계학부 글로벌스터디즈(GS)전공 2025년 9월 입학안내 1차 : 2024년 12월 4일부터 ~ 2025년 1월 14일 / 2차 : 2025년 2월 12일부터 3월4 일 까지 리츠메이칸대학교 국제관계학부는 1988년 일본 최초로 만들어진 국제관계관련학부입니다. 국제관계학부는 국제법, 평화와 분쟁연구, 안보연구, 국제인권, UN, 글로벌 환경 문제, 국제 개발 협력, 이주, 젠더문제, 인종과 민족, 글로벌 미디어 등 다양한 국제관계들을 다루게 되며 영어성적은 토플 76점이상, iELTS 6.0이상이 필요합니다. 총 34명만을 선발하며 캠퍼스는 교토의 키누가사 캠퍼스 교토역에서 버스로 40분거리에 있습니다. 학비는 입학금이 20만엔이며 1년 수업료는 159만엔입니다. 제출서류는 여권 복사 / 고등학교 졸업 또는 졸업예정증명서 /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 TOEFL 또는 IELTS 성적표 / Essay (500words) / ID Photo JPG 파일 / SAT 등 대학입학시험관련 성적 (옵션사항) / Letter of Reference 추천내용을 포함하는 일종의 학생평가서로 학교 선생님이 작성합니다. TAO에 평가서를 작성해줄 선생님의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면 평가서 작성링크가 선생님 이메일주소로 전달됩니다.

특례입시 Q&A 693호 :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홍콩 과기대학) 안내

2024/10/24 19:02:35

안녕하세요? 이번 693호에서는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KUST-홍콩과기대)를 안내해드립니다. 홍콩과기대는 1991년에 설립된 대학으로 많은 투자와 세계적인 석학을 모셔온 결과 세계적인 명문 대학교로 발전한 학교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특히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강력한 연구 기반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학, 컴퓨터 과학, 물리학 등 다양한 학문에서 세계 상위권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경영대학도 매우 강력하여 MBA 프로그램은 아시아에서 높은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최첨단 연구 시설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국제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과 연구자들이 글로벌한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곳에서 학문적 성과를 이루는 연구진들은 국제적으로 큰 인정을 받고 있으며, 학교가 빠르게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홍콩과기대학교(HKUST)는 2022년 졸업생의 취업률이 98.2%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졸업생들은 주로 아시아, 유럽, 북미의 대기업에 취업하고 있으며, 특히, 컴퓨터 공학, 전자 공학, 기계 공학 등 전공을 가진 졸업생들의 취업률이 높습니다. Times Higher Education Asia University Rankings 2022 9위, World University Rank Description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 40위에 랭크가 되어있습니다. 주요학부 및 프로그램 •공학대학(School of Engineering): 기계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공학 프로그램이 있으며, 연구 및 산업 협력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경영대학(School of Business and Management): 경영학, 경제학, 금융학 등 경영 전반에 걸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실무와 학문을 융합한 교육을 제공합니다. •과학대학(School of Science): 생명과학, 화학, 수학, 물리학 등 자연과학 관련 학문을 심도 있게 연구합니다. •인문사회과학대학(Schoo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다른 학문과의 융합을 중요시합니다. 입시 지원 마감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0월4일 원서접수 시작 ~ 11월21일 원서접수 마감 학과별 조건이 다르기때문에 반드시 입학처 홈페이지를 활용하셔서 코스별 (SAT/AP/IB/ALEVLE) 조건을 꼭 확인하시기바랍니다. 지원을 위한 제출서류 •고등학교 졸업(졸업 예정자 포함) 증명서 •표준화 학력자료(IB, AP, A-Level, SAT, ACT 등) •영어 proficiency 시험 성적 •Extra Curriculum(동아리, 봉사, 수상, 연구활동, 인턴십, 경시대회 수상 등) •추천서 •Personal statement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