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3일~16일 태국 뉴스

2025/04/13 17:44:17

▶ 2025년 쏭끄란 연휴에 방콕 일부 도로 교통 통제 (사진출처 : Thansettakij) 태국 새해 쏭끄란 연휴 기간 동안 방콕에서는 물뿌리기 축제를 위해 일부 지역에서 교통이 통제된다. 교통 통제 지역 및 도로는 다음과 같다. 1. 싸남루엉 주변 지역 : 라차담넌나이 로드, 나프라랑 로드, 나프라탓 로드 -Maha Songkran World Water Festival 이벤트 개최로 4월 11일~15일 (매일 오후 8시~오후 10시) 도로 폐쇄 2. 씰롬 로드 : 싸라뎅 교차로~나라롬 교차로 -쏭끄란 이벤트 행사로 4월 12일~14일(매일 오전 10시~오후 9시) 도로 폐쇄 3. 카오싼 로드・방람푸 교차로 등 방람푸 지역 -쏭끄란 이벤트 행사로 4월 12일~15일(매일 정오 12시~자정 0시) 도로 폐쇄 4. 승리기념탑 주변 - 딩뎅 쪽 승리기념탑 주변, 파야타이 거리(1개 차선만 개방), 랑남 로드(전면 폐쇄) -King Power 이벤트 개최로 4월 13일 오후 4시~오후 6시 도로 폐쇄 ▶ 美관세 경고에…태국, 美옥수수 관세인하·항공기 추가구매 추진 태국 방콕항의 컨테이너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태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 경고에 대응해 미국산 옥수수 수입 관세를 낮추고 미국산 항공기를 더 구매하기로 했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피차이 춘하와치라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은 전날 미국산 옥수수 수입이 태국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피차이 부총리는 태국이 연간 약 900만t의 옥수수를 소비하고 약 400만∼500만t을 수입한다면서 "미국산 옥수수 가격이 저렴해 사료 가격이 낮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수입량의 영향을 먼저 평가해야 한다면서도 농산물 수입 관세를 0%로 낮추고 천연가스도 더 많이 수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태국의 미국산 옥수수 수입 관세는 73%에 이른다. 타이항공도 미국 보잉사 항공기를 더 구매할 계획이라고 피차이 장관은 전했다. 타이항공은 지난해 태국 사상 최대 규모인 보잉 787-9 드림라이너 45대 주문 사실을 발표한 바 있다. 피차이 부총리는 또 미국과 에너지 합작 투자를 확대할 계획도 있다면서 태국 수출업체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미 행정부와 무역·투자에 대해 조만간 논의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태국은 조만간 피차이 부총리가 이끄는 대표단을 미국에 파견해 관세 인하 협상을 할 계획이다. 앞서 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36%로 고지됐으나 미국은 지난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한 70여개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상태다. 미국은 태국의 최대 수출국이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456억 달러(약 65조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 쿠쿠, 태국 최대 유통사와 손 잡고 현지 시장 공략 시동 MAKRO와 LOTUS’S 보유한 CP AXTRA와 전략적 협업 쿠쿠가 태국 최대 규모 유통 그룹 CP AXTRA와 MOU를 체결했다.(사진=쿠쿠 제공) 쿠쿠가 태국 최대 규모의 도소매 유통기업인 ‘CP AXTRA’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태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쿠쿠와 CP AXTRA는 지난 9일 쿠쿠 서울사무소에서 협약식을 열고, 향후 CP AXTRA 산하의 MAKRO와 LOTUS’S 매장을 통해 주방가전, 생활가전 등 다양한 쿠쿠 제품군을 태국 전역에 공급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MAKRO와 LOTUS’S는 태국 CP AXTRA 산하에서 운영되는 대표적인 매장으로 유통, 도매, 소매 부문을 담당하는 태국 내 선도적인 유통 기업이다. 1921년 설립된 CP 그룹은 식품, 유통, 금융, 통신, 물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쿠쿠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태국 시장 내 제품 판매부터 마케팅 전략, 품질 관리까지 전 과정을 현지화함으로써 태국 내 주요 유통망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쿠쿠는 보관부터 요리까지 미식 과정 전반을 책임지는 뛰어난 품질의 미식가전을 태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선보이며, 향후 아시아 시장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가전 기업으로의 존재감을 확고히 다질 방침이다. 쿠쿠 관계자는 “CP AXTRA와의 협력을 통해 태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현지 소비자들에게 K-가전을 알릴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 태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쿠쿠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확장해 나갈 수 있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기사출처 : 글로벌경제신문> ▶ 베트남·태국, 美 압박에 中상품 우회수출 차단 나선다 '중국산 택갈이' 단속 추진…미국산 반도체 등 中 '우회수입'도 통제 태국도 허위 원산지 표시 단속 대상 확대 트럼프 미 대통령과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미국에서 46%의 초고율 상호관세를 예고받은 베트남이 미국의 요구에 응해 베트남을 통한 중국의 우회 수출 단속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1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베트남 당국은 자국을 통한 중국산 상품의 대미 우회 수출을 단속하고 민감 품목의 대중국 수출 통제를 강화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나라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지 몇 시간 뒤인 지난 3일 긴급회의를 열어 우회 수출과 지식재산(IP) 침해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해소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서 베트남 산업무역부와 세관은 우회 수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2주 안에 불법 환적 단속 계획을 마련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회의 관계자가 전했다. 이 관계자는 베트남 정부가 이 사안으로 중국을 자극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불법 환적은 중국산 제품을 베트남으로 들여와서 '베트남산'으로 생산국 표시만 바꿔 미국으로 수출하는 '택갈이(태그 바꿔달기)' 등을 말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베트남 정부와의 무역 협상에서 불법 환적 문제에 대해 강력하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전날 워싱턴DC에서 회담을 가진 호 득 폭 베트남 총리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무역협정 협상 시작에 합의하면서 '무역 사기' 근절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 '무역 사기'의 대표적 방식이 바로 불법 환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책사'로 꼽히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지난 6일 폭스뉴스에 "중국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베트남을 환적 장소로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미국과 베트남이 전적으로 베트남에서 생산된 상품과 중국 부품을 베트남에서 조립한 상품을 구분하는 관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베트남 남부 호찌민시 외곽에서 가구 제조 회사를 운영하는 쩐 꾸옥 마인은 이런 접근 방식을 지지한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밝혔다. 마인은 베트남 기업들이 관세 회피 기업으로 몰리는 것에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우리 생산은 매우 투명하다. 우리는 어떤 중국 기업과도 전혀 연관되어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베트남 정부는 또 반도체같이 군사용으로 전용 가능한 이중 용도 품목의 대중국 수출 통제를 강화, 미국산 민감 품목이 베트남을 거쳐 중국으로 수출되는 것을 단속하기로 했다. 로이터가 입수한 관련 법안 초안에 따르면 베트남의 주요 교역 상대국들은 원천 기술들이 수출국의 동의 없이 제3국으로 이전될 가능성을 최소화해 달라고 베트남에 요구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 정부는 이 같은 품목의 수출입과 관련해 새로운 신고·승인 절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베트남 정부는 이처럼 미국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관세율을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46%에서 22∼28% 수준, 또는 그 아래로 낮추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베트남 방문 기간인 오는 14∼15일 무렵에 베트남 항공 규제 당국이 중국의 첫 자체 제작 중형 여객기인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코맥) C919의 베트남 운항을 승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이 경우 해외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어온 코맥에 큰 선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태국도 미국이 예고한 36% 상호관세를 낮추는 협상을 준비하면서 외국 기업이 미국 관세 회피를 위해 허위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하는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다. 태국 상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허위 원산지 표시 감시 대상을 현 49개 품목에서 더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무부는 태국을 대미 우회 수출의 경로로 삼는 기업들이 원산지 규정을 회피할 위험이 높은 강철, 구리선, 알루미늄 약 9개 품목을 추가로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조치가 미국 세관의 주요 우려 사항을 해결하고 구매자의 신뢰를 높이며 태국 제조업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2018년 약 170억 달러(약 24조원)에서 지난해 460억 달러(약 66조원)로 약 2.7배 급증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태국의 대중 무역적자도 196억 달러(약 28조원)에서 450억 달러(약 64조원)로 약 2.3배 불어나면서 태국을 통한 중국 기업의 대미 우회 수출이 늘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태국은 향후 몇 주 안에 피차이 춘하와치라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이 이끄는 대표단을 미국에 파견해 관세 인하 협상을 할 예정이다. 태국 정부는 수입 관세 인하·비관세 무역 장벽 철폐 외에도 액화천연가스(LNG), 농산물, 제트기 등 구매 확대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를 달랠 방침이다. ▶ 카지노 법안 두고 연정 갈등… “공식 입장 아냐” 해명에도 논란 지속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내각의 카지노 복합단지 법안 추진을 둘러싸고 품짜이타이당의 일각에서 반대 입장을 표명하자, 핵심 연정 파트너인 프아타이당이 품짜이타이당의 연정 탈퇴를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 논란의 중심에는 품짜이타이당 사무총장 차이차녹 칫촙(Chaichanok Chidchob)이 국회에서 해당 법안에 반대하는 발언을 했으며, 이에 대해 프아타이당이 강하게 반발함 프아타이당 소속 아디손 의원은 차이차녹 사무총장의 국회 연설에 대해 "핵심에서 벗어난 장황한 말"이라며 비판했고 “연정의 방향에 동참할 수 없다면 연정을 떠나는 것이 마땅하다”고 밝혔다. 품탐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은 “이번 법안은 단순히 도박을 합법화하려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종합 오락시설 조성을 목표로 한다”고 강조하며, 정치적 왜곡을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논란이 확산되자 품짜이타이당 당대표이자 내무부 장관인 아누틴은 패통탄 총리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연립정부의 결속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아누틴 장관은 “차이차녹 사무총장의 발언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닌 개인 견해이며,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에 대해 패통탄 총리에게 사과했다”며 “해당 법안에 대해 품짜이타이당 의원들은 당의 방침에 따라 정부안을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패통탄 총리 역시 기자회견에서 “차이차녹 사무총장의 발언을 문제 삼지 않으며, 그와의 관계도 원만하다”라고 덧붙였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3000752/bjts-coalition-loyalty-queried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정부, 쏭끄란 '위험한 7일(7 วันอันตราย)' 기간중 교통안전 대책 강화 (사진출처 : PRD) 태국 정부는 쏭끄란 기간 동안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4월 11일부터 18일까지의 '위험한 7일(7 วันอันตราย)'에 대처하기 위해 <교통사고 예방 및 감소 센터(ศูนย์อำนวยการป้องกันและลดอุบัติเหตุ)>를 개소했다. 개소식에는 아누틴 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이 참석했다. 아누틴 장관은 교통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 법 집행, 인프라 관리, 홍보 및 계몽 등 종합적인 대책을 통합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교통사고 예방 및 감소 센터>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대책을 지휘하고 지원한다. 패통탄 총리의 지시에 따라 교육부는 전국 150곳의 직업훈련학교 학생들을 동원해 24시간 차량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육상교통국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는 전기차에 대한 대응도 강화해 이동 수리반도 배치할 예정이다. ▶ 태국, 고령화 사회 진입 속 요양 산업 급성장…외국인 수요도 증가세 사진=뉴시스 제공 태국이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요양 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4월 6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수도 방콕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사몰바칸 주의 태국 적십자회 요양 시설에서는 87세의 수고송 씨가 햇살 아래 피어나는 난초를 감상하며 여유로운 노후를 보내고 있다. 한때 간호사로 일했던 수고송 씨는 약 3년 전 65만 바트(한화 약 1,900만 원)를 지불하고 해당 시설에 평생 거주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그녀가 거주 중인 공간은 33㎡(약 10평)의 소형 주택이며, 이 요양 시설 전체는 3.68만㎡ 규모에 총 468개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모든 객실은 만실 상태다. 태국 내무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태국의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약 1,3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섰지만, 이를 수용할 요양 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태국 전역에는 785개의 요양 시설만이 존재하며, 이들의 수용 가능 인원은 2만 명에 불과하다. 반면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태국 상무부 상업발전청은 2024년 요양 산업의 시장 규모가 이미 25억 바트에 달했다고 밝혔다. 특히 젊은 인구의 감소와 함께 향후 5년간 연평균 30%의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며, 2033년에는 시장 규모가 200억 바트(약 7,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성장 가능성에 병원, 호텔, 부동산 기업들이 잇따라 요양 시장에 진입하면서 시설의 하드웨어 수준도 크게 향상되고 있다. 노인 생활 편의시설이 갖춰진 주거 공간의 월 임대료는 1만 5천 바트에서 최대 20만 바트까지 다양하며, 외국인 입장에서 보면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로 인식되고 있다. 미국 출신의 70세 콜린 밀러 씨는 할리우드의 병원에서 고위 임원으로 근무한 후 태국 치앙마이의 한 요양원에서 여생을 보내기로 했다. 지난 4개월 동안 그가 지불한 월 임대료는 3만 5천 바트(약 130만 원)로, 미국 내 유사 시설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그는 “가격도 합리적이고, 시설도 쾌적하며, 현지인들의 따뜻한 정이 있어 매우 만족스럽다”고 전했다. 태국 정부 역시 요양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상업발전청은 관련 산업 전시회를 통해 국내외 기업가와 투자자 간 연결 플랫폼을 제공하고, 헬스케어와 고령자 복지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적극 지원 중이다. 올라먼 청장은 "고령화 사회가 직면한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전환해 관련 산업의 지속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출처 : NEWS VISION> ▶ 미얀마 강진, 태국 관광업계도 ‘흔들’…泰 최대 축제 송끄란 흥행 ‘빨간불’ 송끄란 축제/사진=플리커 미얀마 강진의 여파가 태국 방콕까지 덮친 가운데 태국 최대 축제 ‘송끄란’의 흥행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태국 현지 언론 더 네이션(The Natione)에 따르면 태국 호텔 협회(THA)가 보고서를 통해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송끄란 축제 기간 동안 △방콕 △끄라비 △촌부리 △치앙라이 △치앙마이 △푸껫 △수랏타니 등 주요 관광 도시 7곳에서 호텔 예약이 작년 대비 25% 감소(4월 11일~17일 기준)했다고 밝혔다. 매년 4월 태국 각지에서 열리는 송끄란은 태국의 새해를 기념하는 전통 명절이자 세계적인 물 축제다. 작년엔 외국인 관광객 190만 명이 몰렸을 정도로 태국 관광의 최대 성수기다. 송끄란 축제/사진=플리커 예약 감소는 지난 3월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미얀마 강진으로 방콕을 포함해 태국 북부와 중부의 여러 지역에서 피해를 입었으며 사망자는 24명으로 집계됐다. 태국 호텔 협회는 올해 송끄란 축제 기간 동안 외국인 관광객이 작년에 비해 약 68만 9000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티엔프라싯 차이야파트리난(Thienprasit Chaiyaphatranan) 태국 호텔 협회 회장은 “올해의 송끄란은 작년만큼 활기차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에 관광 보조금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티엔프라싯 회장은 예약 감소의 이유로 최근 미국 정부의 관세 인상의 영향성도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그는 “이 정책은 태국 관광뿐만 아니라 미국에 인기 있는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향후 5~6개월 이내에 그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출처 : 매일경제> ▶ 한국거래소, 태국증권거래소와 차세대 청산결제시스템 공급계약 체결 여의도 KRX 한국거래소 [촬영 안 철 수] 2024.9.15 (서울=연합뉴스) 곽윤아 기자 = 한국거래소는 태국증권거래소(SET)와 차세대 청산결제시스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한국거래소가 지난 2015년 구축한 태국증권거래소의 청산결제시스템을 차세대 시장 시스템인 'EXTURE 3.0' 기반 청산결제시스템으로 최신화하는 프로젝트다. 지난해 12월 한국거래소는 태국증권거래소가 진행한 청산결제시스템 재구축 사업 국제경쟁입찰에서 최종 사업자로 선정된 바 있다. 한국거래소 측은 "이번 수주를 통해 동남아시아 지역 내 한국형 증시 인프라의 입지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미래 수익원 창출을 위해 정보기술(IT) 시스템 수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위험한 7일’ 4일째까지, 교통사고 1,000건, 사망자 138명, 부상자 1,002명 (사진출처 : Infoquest) 교통사고 예방 및 감소 안전센터(NCPO)는 쏭끄란 연휴 ‘위험한 7일(7 วันอันตราย)’ 4일째인 4월 14일 태국 전국에서 24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34명이 사망하고 241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발표했다. 교통사고 원인은 과속(44.40%), 음주운전(24.90%), 안전거리 미확보(14.52%)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고에 가장 많이 연루된 차량은 오토바이로 77.20%를 차지했다. 교통사고 발생 장소는 대부분은 직선도로(85.89%), 고속도로(41.91%), 지방 도로(29.05%) 순으로 이어졌고, 사고율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15:01~18:00 22.4%, 18:01~21:00 19.50%였다. 부상자와 사망자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30~39세로 20.14%를 차지했다. 한편, ‘위험한 7일’ 4일(4월 11일~4월 14일) 동안 총 1,000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138명이 사망하고, 1,002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도는 남부 팟타룽(36회),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도는 방콕으로 13명, 부상자가 가장 많이 나온 도는 람빵으로 40명이었다. 태국에서는 연말연시와 태국 새해 쏭끄란 기간은 귀성이나 여행으로 많은 사람이 이동하는 시기라서 이 일주일 동안 교통사고를 줄기기 위해 ‘위험한 7일(7 วันอันตราย)’이라고 정하고 사고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작년 2024년 4월 11일부터 17일까지의 7일 동안 2,044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287명이 사망하고 2,060명이 부상을 입었다. 교통사고 예방 및 감소 안전센터(NCPO)에서는 운전자는 출발하기 전에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고, 4시간마다 최소 30분 동안 운전을 멈추고 휴식을 취해야 하며, 교통 법규를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도로에서 다른 운전자를 이용자를 배려하라고 권고했다. ▶ 태국, 미국산 무기 구매 확대키로…관세협상 카드로 활용 스트라이커 장갑차 130대·사이버보안 체계 도입 검토 스트라이커 장갑차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앞두고 미국산 무기 구매 확대도 추진하기로 했다. 14일 네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태국 육군은 170억 밧(약 7천300억원) 규모의 미국 스트라이커 장갑차 130대를 구매할 계획이며, 미국에서 개발된 사이버 보안 체계 도입도 검토한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미국 관세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고위급 전략회의에서 국방부에 각 군 작전 능력 향상에 필요한 무기 구매 목록을 제출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이를 미국이 부과하는 관세율을 낮추기 위한 협상 카드 중 하나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밖에 태국이 수입할 수 있는 미국산 무기로는 전투기와 구축함 등이 거론된다. 앞서 태국은 미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 구매를 추진했으나, 미국 측이 판매 불가 입장을 밝히며 F-16 개량형 구매를 제안했다. 그러자 공군은 스웨덴산 JAS 39 그리펜 E/F 전투기를 추가로 도입하기로 지난해 결정했다. 노후 전투기 교체 사업을 추진 중인 태국 공군은 미국산 F-16과 스웨덴산 그리펜 전투기를 운용 중이다. 태국 해군은 2037년까지 고성능 구축함 8척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 예산으로는 구축함 2척 구매에 350억밧(약 1조5천억원)이 책정돼있다. 지난 9일 중국을 제외한 70여개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하기에 앞서 미국은 태국에 대한 관세율을 36%로 발표했다. 미국은 태국의 최대 수출국이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456억 달러(약 65조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미국과의 협상을 준비 중인 태국 정부는 미국산 농축산물, 에너지 등의 구매 확대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피차이 춘하와치라 태국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은 지난 12일 미국산 옥수수 수입 관세 인하, 항공기 추가 구매 계획도 밝혔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4월 11일~12일 태국 뉴스

2025/04/11 18:39:32

▶ 방콕시, 송끄란 축제 대비…안전 대책 강화 (사진출처 : travel.trueid.net) 찻찻(Chadchart) 방콕 시장은 다가오는 4월 12~14일까지 진행되는 송끄란 축제를 앞두고 실롬(Silom)과 카오산(Khao San) 등 주요 거리에서 축제가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철저한 안전 대책을 마련했고 밝혔다. * 방콕시는 모든 축제 장소에 출입 통제소와 CCTV를 설치하고, 특히 유동 인구가 많은 곳은 작년과 동일하게 경찰 배치와 일방통행 출입구 운영 등의 조치를 시행할 계획, 카오산로드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얼굴 인식 및 군중 분석 시스템도 도입돼 실종자나 분실물 확인에 활용될 예정으로 알려짐 또한, 찻찻 시장은 이번 송끄란이 방콕의 위기 대응 능력과 공공 안전 수준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하면서도, 최근 발생한 지진을 언급하며 “연휴 기간 동안에도 짜뚜짝 지역 국가지출감사청 건물 붕괴 현장에서의 구조 작업은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방콕시 당국은 시민들이 송끄란을 즐길 수 있도록 총 196곳의 공식 행사 장소를 마련했다면서 주요 축제는 싸남루엉(Sanam Luang)에서 열리는 ‘마하 송끄란 월드 워터 페스티벌 2025’와 아이콘시암, 시암센터, 삼얀 미트타운 등 주요 상업지구에서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방콕시는 축제의 질서 유지를 위해 ‘5가지 금지 정책’을 발표 ① 대형 물총 사용 금지 ② 음주 금지 ③ 노출 의상 금지 ④ 파우더 사용 금지 ⑤ 물 낭비 금지임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3000737/city-gets-set-for-holiday-festivitie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제로달러 수출 증가… 태국 경제성장 둔화 우려 (사진출처 : Bangkok Post) CIMB Thai 경제센터의 수석이코노미스트 아몬텝 차왈라(Amonthep Chawla)는 최근 미중 간 갈등 심화와 미국의 보복관세로 인해 태국이 ‘제로달러 수출(Zero-dollar exports)’ 증가라는 새로운 경제 리스크에 직면했다고 경고했다. * ‘제로달러 수출’이란 수출이 발생해도 고용이나 부가가치 창출 등 실질적인 경제 효과가 거의 없는 형태의 무역. 최근 중국 기업 중심으로 이러한 방식의 수출과 투자 활동이 태국 내에서 증가하고 있어 태국 경제의 체질적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 CIMB Thai Bank 경제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태국은 역대 최고 수준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를 기록,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큰 변화가 없었고 고용 증가에도 기여하지 못했다. * 수출의 경우에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으나 순수출 증가율은 낮아 전체 경제 성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 최근 미국이 태국산 제품에 대해 한시적으로 36%의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여전히 10%의 범용 관세가 유지되고 있어 수출 불확실성은 여전, 이로 인해 CIMBT는 2025년 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7%에서 1.8%로 하향 조정, 올해 수출 성장률도 1.4%로 낮게 예측했다. 또한, 아몬텝 이코노미스트는 기술적 경기 침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만약 올해 3분기와 4분기 연속으로 성장률(전년 대비)이 둔화될 경우, 태국의 연간 GDP 성장률은 1.4%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했다. (다만, 실제 경기 침체에 들어설 가능성은 약 20% 수준으로 낮다고 판단) 한편, 경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태국중앙은행(BOT)은 기준금리를 현행 2%에서 올해 말까지 1.25%까지 인하할 것으로 예상, 오는 4월 30일 통화정책회의에서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00747/thai-economy-put-at-risk-by-surge-in-zero-dollar-export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클럽 마약' 전국 퍼뜨린 우두머리 검거…태국서 강제송환 한국·태국 공조로 추적·잠복 끝에 검거…석방 시도 차단 밀수·유통 조직원들은 2년 전 검거돼 징역 4∼12년 처벌 태국서 강제 송환되는 한국인 마약총책 [경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춘천=연합뉴스) 박영서 이동환 기자 = 태국에서 국내로 대량의 마약을 들여오고, 이를 서울 강남 클럽을 비롯해 전국에 퍼뜨린 범행을 주도한 밀수조직 우두머리가 수사기관의 끈질긴 추적 끝에 붙잡혔다. 경찰청에 따르면 태국에서 검거된 A(41)씨는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국내로 강제 송환됐다. A씨는 한국인·태국인 등으로 구성된 다국적 운반책을 통해 2022년 10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600억원 상당의 필로폰·케타민 등을 들여와 국내에 유통·판매한 혐의를 받는다. 운반책들은 주요 신체 부위에 마약류를 숨긴 채 항공편을 통해 국내로 밀반입했다. 젊은 층에서 일명 '케이' 또는 '클럽 마약'으로 불리는 케타민은 유통조직의 손을 거쳐 강남 클럽 등 전국으로 흘러 들어갔다. 이 사건을 수사했던 춘천지검 영월지청과 평창경찰서는 2023년 7월께 밀수조직 23명, 유통조직 3명, 매수·투약자 1명 등 27명을 검거해 재판에 넘겼고, 이들에게는 징역 4∼12년의 판결이 확정됐다. 조사 결과 피의자들은 경기 안산지역 선후배 관계였다. 이들은 태국으로 출국해 총책, 자금책, 모집책, 관리책, 운반책, 판매책으로 역할을 분담하고, 조직 탈퇴 시 보복하는 등 행동강령을 만들어 조직원을 관리했다. <포승줄 묶여 국내로…'클럽 마약' 조직 우두머리 강제 송환 동영상 / 연합뉴스 (Yonhapnews)> https://www.youtube.com/watch?v=AXlQcbnEMfE&t=54s 검·경은 당시 국내 유통조직 총책을 검거하는 등 조직을 거의 뿌리 뽑다시피 일망타진했으나 밀수조직 총책 A씨를 붙잡는 데에는 실패했다. 이에 경찰청은 2023년 7월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 적색 수배서를 받아 A씨를 핵심 등급 국외 도피사범으로 지정했고, 국가정보원과 연계해 해외 첩보를 수집했다. 한국·태국 합동 추적팀은 지난해 11월 방콕에서 약 500㎞ 떨어진 콘캔 지역에서 A씨가 은신 중인 것을 확인했다. 이후 태국에 파견된 한국 경찰협력관을 중심으로 실시간 위치 추적과 장시간 잠복 끝에 지난해 11월 19일 A씨를 검거했다. 국정원을 통해 A씨가 태국서 석방을 시도한다는 첩보를 입수하기도 했다. 경찰은 경찰 주재관을 통해 즉각 석방을 차단했고, 방콕 외국인 수용소(IDC) 및 이민국과 긴급 교섭을 통해 추방 명령서를 신속하게 확보했다. 이준형 경찰청 국제협력관은 "한국·태국 양국이 마약 척결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갖고 합심해 범죄자를 끝까지 추적하고 검거한 성공적 공조 사례"라고 평가했다. 평창경찰서는 A씨를 상대로 조사를 벌인 뒤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마약밀수범죄 조직도(2023년) [평창경찰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트럼프, 대중국 관세 125%로 인상…나머지 국가는 관세 인상 90일간 유예 (사진출처 : CNBC)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75개 이상 국가가 미국과 협상에 나섰으며 보복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이들 국가에 대해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 및 상당히 낮춘, 10%의 상호관세를 승인했다"며 "이 또한 즉각 시행된다"라고 전했다. 한편.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84%로 인상한다고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로 즉시 인상했다. 캐롤라인 백악관 대변인은 대중국 관세 인상 배경에 대해 "중국이 경솔하게(imprudently) 보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 누구든 미국을 때릴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더 세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재무부 장관인 스콧 베셋(Scott Bessent)은 기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부터 단계적 관세 조정을 계획해왔으며, 이번 관세 완화 조치는 갑작스러운 결정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혀, 관세 유예 가능성을 부인해온 백악관의 기존 입장과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또한, 미국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은 소셜미디어에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 재임 중 가장 강력한 메시지 중 하나”라며 “세계는 미국과 함께 글로벌 무역을 바로잡을 준비가 되어 있지만, 중국은 반대로 가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 민주당 소속 상원 원내대표인 척 슈머(Chuck Schumer)는 “대통령이 혼란스러운 방식으로 국가를 운영하고 있다”며 “정책이 일관성이 없고, 내부에서도 의견 충돌이 많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이번 발표로 미국 증시는 즉각 반응하여, 4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주식시장은 급등세로 돌아섰고, S&P 500 지수는 하루 만에 7% 상승해 최근 5년 내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cnbc.com/2025/04/09/trump-announces-90-day-tariff-pause-for-at-least-some-countries.html 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25/apr/09/trump-tariffs-list-pause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외모 차별" 논란 부른 태국 식당…무슨 챌린지길래 태국의 한 음식점이 체형에 따라 음식값을 할인해 주는 독특한 프로모션을 진행하다 외모 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싱가포르 매체 더스트레이타임스는 최근 태국 북부 치앙마이에 있는 식당이 진행하는 행사를 조명하면서 “외모지상주의와 체중 강박을 부르며 불편해하는 시선이 있다”고 보도했다. 행사는 ‘바 통과 챌린지’로, 매장 입구에 설치된 철제봉을 통과하는지에 따라 할인 여부가 갈린다. 간격을 제각각으로 해놓고 최소 5%부터 최대 20%까지 할인율을 적용했다. 20%가 가장 간격이 좁다. 어떤 구간도 통과하지 못하면 “정가입니다. 죄송합니다”라는 안내문이 기다린다. 이런 이벤트는 지난 6일(현지시간) 영국인 여행 블로거가 관련 영상을 소셜미디어(SNS)에 올려 빠르게 퍼졌다. ‘당신이 날씬하다면 이 식당은 할인해준다’라는 제목으로 올린 영상마다 6만~11만 개 이상의 ‘좋아요’가 달렸고 수천 개 댓글이 붙어있다. 한 영상에는 10~15% 할인구간을 통과하려고 애쓰는 남성을 보며 동료들이 포복절도하는 모습이 담겼다. 이 남성은 5% 구간을 겨우 넘어가면서 “그래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고 말했다. 또 다른 영상에는 한 여성이 15% 구간을 넘어가는 모습도 있다. 그러나 일부에선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한 이용자는 “아시아 전역에 퍼진 체형 집착과 바디 셰이밍(외모로 상대를 평가하는 행동)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우려를 나타냈고, 또 다른 이용자는 “그렇게까지 해서 자존심을 깎고 싶지 않다. 저런 곳엔 절대 가지 않겠다”며 강한 반감을 드러냈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 음식점은 여전히 구글 리뷰에서 별점 4.3점을 기록하고 1700건 이상의 평가글이 달리는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이런 행사가 열려 화제가 됐다. 2018년 중국 산둥성 지난시에 있는 음식점에서도 이와 유사한 이벤트가 진행됐는데, 식당에선 너비 15㎝의 입구를 통과하면 음식과 맥주를 무료로 제공하는 행사였다. [기사출처 : 서울신문 나우뉴스] ▶ 태국, 셀 브로드캐스트 기반 긴급 경보 체계 구축 나서 (사진출처 : The Nation) 태국 정부는 민간 통신사와 협력해 셀 브로드캐스트(Cell Broadcast, CB) 시스템을 활용한 긴급 재난 알림 체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밝혔다. * 셀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은 휴대폰 기지국 기반으로 긴급 상황 발생 시 대규모 사용자에게 빠르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로, 자연재해가 잦은 태국에서 조기 경보 체계로 주목받고 있음 * 디지털경제사회부(DES), 재난예방완화국(DDPM), 국가방송통신위원회(NBTC), 그리고 트루(True) 통신은 공동으로 셀 브로드캐스트(CB) 시스템 시범 테스트를 진행, 이번 협력은 태국의 재난 대응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며, 테스트는 지난 3월 28일 미얀마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강진 이후 실시된 것으로 알려짐 재난예방완화국의 파사콘(Passakorn) 국장은 “테스트에서 알림 메시지가 신속하게 전송되고 설정된 지역을 정확히 커버하는 등 기대한 결과가 나왔다”며, “셀브로드캐스트 시스템은 태국의 재난 경보체계를 한 단계 진전시킬 중요한 도구”라고 강조했다. 또한, 파사콘 국장은 “재난 위험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셀브로드캐스트 시스템을 가능한 한 빠르게 도입해 국민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nationthailand.com/business/tech/40048352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교통부, 쏭크란 연휴 맞아 주요 6개 공항에서 여행객 증가에 대한 대책 강화한다고 발표 (사진출처 : Bangkokbiz) 태국 교통부는 2025년 쏭끄란 연휴 기간 동안 여행객 증가에 대비하여 전국 6개 주요 공항에서 대책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6개 공항은 쑤완나품, 돈무앙, 치앙마이, 메파루엉 치앙라이, 푸켓, 핫야이 공항 등이다. 공항 내 혼잡 완화, 질서 유지, 여행 서류 확인 보조 등을 위해 직원 증원 및 관리 체제를 강화할 예정이다. 태국 공항공사(AOT)는 4월 11일부터 17일까지 쏭끄란 연휴 기간 동안 국제선 항공편은 전년 동기 대비 9.1%, 국내선 항공편은 22.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총 여객 수는 전년 대비 18.3% 증가한 7,919만 1,431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선 여객은 14.1%, 국내선 여객은 25.5%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쑤완나품 공항, 돈무앙 공항, 치앙마이 공항, 푸켓 공항 등 4개 공항에서는 '주차장 무료 서비스'가 제공된다. 쑤완나품 공항은 장기주차장 C 구역, 돈무앙 공항은 5층 주차장 앞, 치앙마이 공항은 국제선 터미널 옆 랑캉 구역, 푸켓 공항은 AOT 사무실 앞(푸켓은 11일부터 제공)이다. 무료 기간은 4월 12일 오전 0시 1분부터 16일 자정 24시까지(푸켓은 4월 11일 오전 0시 1분부터)이다. 또한, 6개 공항에서는 항공사와 연계하여 체크인 카운터 증설 및 조기 체크인 서비스도 제공될 예정이다. ▶ 아세안, 미국 관세 대응 위한 태스크포스 출범 (사진출처 : Bangkok Post) 아세안이 최근 미국의 관세 인상 조치에 대응하고 역내 경제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지경학 태스크포스(Geoeconomics Task Force)’를 신설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목요일 열린 아세안 10개 회원국 및 동티모르의 경제 장관 특별 회의에서 장관들은 4월 5일부 시행된 미국의 새로운 관세 조치에 대응하고, 무역, 투자, 글로벌 공급망, 민간, 중소기업 및 농가에 대한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아세안 경제 장관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미국과의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을 유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번 성명은 무역 갈등 해소와 균형 있는 해결책 도출을 위한 다자간 협상 및 건설적인 대화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으며, 아세안-미국 전략 무역 투자 파트너십 프레임워크에 따라 추진될 예정이다. * 피차이 태국 상무부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아세안 태스크포스 출범에 합의했다면서, 조직은 향후 미국 정책을 모니터링하고 아세안 차원의 대응 전략과 정책 제안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함 또한, 아세안은 디지털 기술, 인공지능, 신재생에너지, 첨단 산업, 전기차, 반도체, 헬스케어, 물류, 농업 등 유망 분야에서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역내 새로운 경제 기회를 창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국의 상호 관세 조치 90일 유예 관련, 패통탄총리는 피차이 장관을 수석 협상 대표로 임명해 미국과의 상호 이익을 위한 경제 협력 전략 수립을 주도하도록 지시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00522/asean-forges-geoeconomic-task-force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노동부, 감사원 빌딩 붕괴 희생자에게 최소 100만 바트 보상금 지급한다고 밝혀 (사진출처 : Bangkokbiz) 방콕 짜뚜짝 구에 건설 중이던 고층 감사원 건물이 3월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 영향으로 붕괴됐고, 아직도 수십 명의 노동자들이 잔해 밑에 깔려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현장을 방문한 분쏨 노동부 국장은 노동부가 희생된 노동자에 대해 1인당 최소 100만 바트를 보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건설업에는 미얀마, 캄보디아 등 인근국가에서 온 외국인이 많이 일하고 있는데, 감사원 건물 건설 현장에서 일해온 외국인 노종자에게도 태국인과 마찬가지로 보상금이 지급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회보장제도 범위 내에서 지진으로 실직한 사람에게는 월 7,500바트의 실업수당이 6개월간 지급된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4월 10일 태국 뉴스

2025/04/10 12:24:39

▶ 제21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고·신청 안내(~25.4.24.까지)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외국에서 투표하려는 국외부재자는, 꼭 사전에 신고·신청을 미리 하여야 합니다. 소중한 투표권을 행사하기 위하여 기한(~ 2025년 4월 24일) 내에 신고·신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신고대상】 □ 만18세 이상 선거권이 있는 대한민국 국민(2007년 6월 4일 포함 이전 출생자) ㅇ 국외부재자 :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사람으로서 외국에서 투표를 하려는 국민 ㅇ 재외선거인 : 주민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국민(주민등록 말소자 포함) ※ (유의사항) 기한 내에 신고·신청을 하지 않으면, 해외에서 투표하실 수 없습니다. ① 재외국민으로 등록되어 있더라도 반드시 신청하여야 합니다. - 재외국민등록을 했더라도, 국외부재자 신고를 하지 않으면, 국외에서 투표하실 수 없습니다. - 재외국민등록 여부는 재외선거 참여와 무관합니다. ② 국외부재자는 선거 때마다 신고해야 합니다. - 지난 대선 또는 국회의원 선거때 국외부재자 신고를 한 적이 있더라도, 이번에 국외부재자 신고를 하지 않으면 이번 대통령 선거에 투표하실 수 없습니다. ③ 사전에 신고하지 않으면, 투표 당일 투표소를 방문해도 투표가 불가합니다. - 기한(2025년 4월 24일) 내에 사전 신고하지 않으면, 투표 당일 신분증 또는 신고서를 현장에서 제출하더라도 투표하실 수 없습니다. - 국외에서 투표 참여를 희망하시면, 꼭 기한 내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신고기간】 □ 국외부재자 : 2025년 4월 4일 ~ 2025년 4월 24일(목) □ 재외선거인 : ~ 2025년 4월 24일(목)까지 【투표기간】 □ 2025년 5월 20일(화) ~ 2025년 5월 25일(일) 【신고방법】 □ PC, 모바일 이용 인터넷 신고(https://ova.nec.go.kr) □ 신고서를 전자우편(ovthailand@mofa.go.kr)으로 제출 ※ 본인의 전자우편 주소로 자신의 신고서만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신고서를 공관방문, 순회영사, 우편 또는 인편으로 제출 【제출 및 문의처】 □ 주태국대한민국대사관 (☎ 02-481-6066) □ 인터넷 신고신청 홈페이지 https://ova.nec.go.kr 【신고서 작성예시 및 신고서식】 □ 신고서는 한글 또는 로마자(영문 대문자)로 작성하셔야 합니다. □ 아래의 QR코드를 스캔하시면 신청 사이트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 팔도, 태국 CP그룹과 전략적 업무협약…현지 입점 확대 팔도 업무협약 [팔도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식품기업 팔도는 태국의 대형 식품·유통 기업인 CP그룹과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CP그룹은 팔도 제품을 태국 내 독점 유통한다. 양측은 공동 상품 개발, 오프라인 채널 확대, 현지화 전략 공동 추진 등을 협의했으며, 향후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팔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팔도의 브랜드 위상과 CP그룹의 채널 경쟁력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해외 시장 판로 확장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 태국 아동 비만 급격히 증가, 15세 이상 국민 42.4%가 비만 (사진출처 : Bangkokbiz) 태국에서 실시된 최신 건강조사에 따르면 어린이 비만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에 따르면, 1~5세 유아의 과체중 비만 비율은 5.8%에서 10.6%, 6~14세 아동의 과체중 비만 비율은 5.8%에서 15.4%로 증가했다. 이 조사는 태국 건강증진재단(สำนักงานกองทุนสนับสนุนการสร้างเสริมสุขภาพ)과 마히돈 대학(มหาวิทยาลัยมหิดล) 인구사회연구소가 공동으로 실시했으며, 조사 결과 15세 이상 국민 중 42.4%가 비만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만 원인은 어린이들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음식과 음료 광고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약 70~80%의 어린이들이 매일 식품 광고를 접하고 있으며,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간식이나 단 음료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6~14세 아동의 경우 84.1%가 하루 평균 1.35봉지의 염도 높은 간식을 섭취하고 있으며, 1~5세도 76.5%가 1.23봉지를 섭취하고 있다. 이러한 식습관은 소금, 지방, 설탕의 과다 섭취로 이어져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태국은 아세안 국가 중 말레이시아, 브루나이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아동 비만율을 보이고 있다. 세계비만연맹은 2030년에는 20세 미만 태국 어린이의 절반 가량이 비만 또는 과체중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태국 비감염성 질환 연합(Thai NCDs Alliance)은 보건부 및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식품 및 음료 광고에 대한 규제 법안을 마련하고 있다. ▶ 여자배구 올스타팀 15일 소집…19~20일 태국팀과 두 차례 대결 FA 대어 이다현 등 20명 참가…강소휘는 동료였던 타나차와 격돌 한국-태국 여자배구 올스타 슈퍼매치 한국팀 명단 [한국배구연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동칠 기자 = 6년 만에 부활하는 태국과 여자배구 올스타 슈퍼매치에 나설 한국 올스타팀이 15일 소집된다. 강성형 현대건설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올스타팀은 15일 경기도 화성 롤링힐스호텔에 모인다. 올스타팀은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 담금질을 한 뒤 19일과 20일 두 차례 화성종합체육관에서 태국 올스타팀과 맞붙는다. 지난 8일에 흥국생명-정관장 간 챔피언결정전이 끝났기 때문에 두 팀 선수들은 1주일여 만에 다시 훈련에 나서는 것이다. 올스타팀 20명에는 베테랑 세터 이고은과 아웃사이드 히터 정윤주(이상 흥국생명), 세터 염혜선, 미들 블로커 정호영, 아웃사이드 히터 전다빈(이상 정관장)이 포함됐다. 또 베테랑 아웃사이드 히터 강소휘(한국도로공사)가 주장을 맡은 가운데 한국 여자대표팀 주축인 박정아(페퍼저축은행)도 이름을 올렸다. 여자 프로배구 한국도로공사의 강소휘 [한국배구연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와 함께 자유계약선수(FA)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미들 블로커 이다현(현대건설)과 초대 영플레이어상의 유력한 후보인 신인 세터 김다은(한국도로공사)도 참가한다. 여자 프로배구 현대건설의 이다현 [한국배구연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여기에 베테랑 리베로 임명옥과 미들 블로커 김세빈(이상 한국도로공사)도 올스타 슈퍼매치에 나선다. 태국팀에는 올 시즌 도로공사에서 아시아 쿼터 선수로 뛰었던 타나차 쑥솟(등록명 타나차)이 포함돼 팀 동료였던 강소휘와 스파이크 대결을 벌인다. 한국-태국 올스타 슈퍼매치는 2017년 태국을 시작으로 2019년까지 양국을 오가며 개최됐다.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잠정 중단됐다가 올해 6년 만에 부활했다. 강성형 감독은 "챔프전을 포함해 시즌이 끝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부상 선수가 있고, 휴가를 다녀온 선수들도 많다"면서 "훈련할 시간이 이틀밖에 안 되기 때문에 승부를 떠나 팬들에게 배구를 즐길 수 있는 경기를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 태국 정부, 전기차 수요 촉진 통해 EV 허브 실현 가속화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재무부 차관인 파오품(Paopoom)은 태국을 전기차(EV) 제조 허브로 전환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을 강조하며, 소비자 채택을 유도하기 위한 수요 촉진과 이에 대응할 국내 공급망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 정부는 EV 3.0 및 EV 3.5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해 내연기관차(ICE) 중심 구조에서 EV 생산 중심으로 산업을 전환해왔음 (EV 수입세 및 소비세 감면, 소비자 대상 보조금 등) 한편, 총 24개 자동차 제조업체가 EV 3.0에 참여했고, 8개 업체가 EV 3.5에 참여함 EV 3.0 정책에 따라 소비세는 8%에서 2%로 인하, 수입세는 20~40% 수준으로 낮추었으며, 차량 가격이 200만 바트(약 8,520만 원) 미만인 경우 배터리 용량에 따라 7~15만 바트(약 289~639만 원)의 보조금이 지급되며, 픽업트럭은 15만 바트(약 639만 원), 전기 오토바이는 최대 1만 8,000바트(약 76만 원)의 보조금 지원을 받는다. EV 3.5에서는 소비세 인하(2%)와 수입세 상한(40%)이 유지되나, 보조금은 5~10만 바트(약 213~426만 원), 픽업은 10만 바트(약 426만 원), 전기 오토바이는 1만 바트(약 43만 원)의 지원이 제공된다. 또한, 정부는 이와 함께 하이브리드전기차(HEV) 및 플러그인하이브리드전기차(PHEV)에 대한 세제 지원도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HEV와 마일드하이브리드(MHEV)에 대해서는 ‘24년 12월 1일 EV 정책위원회가 2026~2032년간 소비세 고정세율 적용 조치를 승인했다. (차량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6% 또는 9%의 세율이 적용) * PHEV의 경우, 2026년부터 1회 충전당 전기 주행거리 80km 이상 및 연료탱크 45리터 이하 차량은 5%, 그 외는 10% 세율이 적용될 예정 (한편, 소비세국은 연료탱크 크기 제한 폐지 등 세금 조건을 완화해 줄 것을 내각에 요청한 바 있음) 한편, 재무부 소식통에 따르면 HEV 및 PHEV 관련 세제 조정안은 4월 중 내각의 승인을 받기 위해 제출될 예정이며, 정부는 ICE 산업의 점진적 축소와 EV 전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중간단계 차량에 대한 정책적 유연성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motoring/2998079/government-vows-to-ramp-up-demand-for-electric-vehicle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Siam Commercial Bank 산하 연구 기관, 미얀마 지진 여진으로 태국 300억 바트 경제 손실 예상 (사진출처 : Bangkokbiz) Siam Commercial Bank 산하 연구 기관인 EIC (Economic Intelligence Center)는 지난달에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향후 3-4개월 동안 약 300억 바트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EIC (Economic Intelligence Center)는 2025년 국제 관광객 입국 전망치를 3,820만 명으로 하향 조정할 계획이다. 한편 카시콘 은행의 K-Research에 따르면 지진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최소 200억 바트로 추정되며 이는 초기 평가 기준 GDP가 0.06% 포인트 하락한 것과 같다고 밝혔다. ▶ 태국, 사이버범죄·디지털자산 규제 강화법 송끄란 이전 발효 예정 (사진출처 : The Room44) 태국 부총리 겸 디지털경제사회부(DES) 장관인 쁘라씃 짠톤루앙텅(Prasert Jantararuangtong)은 태국 정부가 승인한 사이버범죄 대응 및 디지털 자산 비즈니스 규제 관련 2건의 시행령 초안이 송끄란(4월 중순) 이전에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경제사회부가 기술 범죄의 확산과 디지털 자산의 관리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첫 번째 시행령은 기술 범죄 예방 및 단속 강화를 위한 시행령으로 온라인 범죄에 대한 처벌 집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디지털 자산 비즈니스와 전자지갑(e-wallet)을 포함하도록 정의의 범위가 확대, 디지털 지갑 정보의 투명성과 정보 공유를 강화하는 조항이 신설되었음. 시행령은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디지털 자산 사업 운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독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있음 번째 시행령은 디지털 자산 비즈니스 운영에 관한 시행령으로, 외국계 디지털 자산 기업이 태국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태국 법에 따라 인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명시하고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99494/new-thai-digital-regulations-effective-before-songkran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카지노 법안 논란 확산… 총리 “왜곡된 정보” 반박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엔터테인먼트·카지노 복합단지 법안을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패통탄 태국 총리는 해당 법안이 전국적으로 카지노를 합법화하려는 것처럼 왜곡되고 있다며, 사실은 단지 면적의 10% 이내에서만 카지노 운영을 허용하는 내용이라고 밝혔다. * 패통탄 총리는 이번 법안이 정부의 핵심 경제 활성화 정책임을 강조하며, 2개월간의 국회 휴회 기간 동안 각 부처가 전국적으로 법안에 대한 홍보와 설명에 나설 것을 지시함. 한편, 정부는 당초 국회 회기 종료 전날인 9일 법안을 상정하려 했으나, 반대 여론이 거세지면서 다음 회기로 상정을 연기 쁘라씃 짠톤루앙텅(Prasert Jantararuangtong) 부총리는 “여전히 많은 국민이 법안의 핵심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라며, “법안에 대한 대중의 이해가 높아지면 거부감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민단체 ‘태국개혁을위한학생·국민연합(NSPRT)’은 수백 명의 시위대를 이끌고 국회 앞에서 집회를 열고, “카지노는 범죄의 온상(dens for mafia thugs and criminals)이며 정부가 이를 정당화하려 한다”고 주장하며 국회 출입로를 봉쇄하고 천막을 설치해 시위했다. NSPRT 대표 피칫 차이몽콜(Pichit Chaimongkol)은 “우리는 단순한 연기나 수정이 아닌, 법안의 완전 폐기를 요구한다”며 하원 의장에게 심사 중단을 공식 요청했고, 만약 법안이 다시 상정된다면 이는 정치권이 부패를 정당화한 것이라며 강하게 경고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2999554/pm-reaffirms-casino-bill-defence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4월 9일 태국 뉴스

2025/04/09 18:56:00

▶ 태국, 미국인 학자 왕실모독죄로 체포…美국무부 "경악" 30여년 태국 거주 정치학자…국제세미나 문제삼아 태국, 미국인 학자 왕실모독죄로 체포 (방콕 AP=연합뉴스) 8일(현지시간) 태국 북부 핏사눌록주 경찰서에 미국인 학자 폴 체임버스가 조사받기 위해 출석한 모습. 2025.04.09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30년 넘게 태국에서 살면서 태국 정치를 연구해온 미국인 학자가 왕실모독죄 혐의로 외국인으로는 이례적으로 체포돼 논란이 일고 있다. 9일(현지시간) AP·AFP·로이터·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태국 북부 핏사눌록주 나레수안대 강사인 폴 체임버스(58)가 전날 왕실모독죄 혐의 등으로 현지 경찰에 체포됐다. 체임버스는 경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고 붙잡혔다. 그는 보석을 신청했으나, 현지 법원은 체임버스가 중형을 받을 가능성이 있고 외국인이어서 도주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이를 기각했다. 1993년부터 태국에서 살면서 태국 군부의 정치적 영향력 등을 연구해온 체임버스는 올해 초 태국 군 당국에 의해 고소됐다. 체임버스는 지난해 10월 열린 국제 온라인 세미나에서 자신이 총리와 왕실의 권한에 대해 발언한 것을 군이 문제 삼았지만, 자신은 법을 어기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미 국무부는 성명을 내고 체임버스의 체포에 "경악"했다면서 "이 사안을 면밀히 살펴보고 폴 체임버스에 대한 공정한 처우를 옹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사건으로 태국의 왕실모독죄 적용에 대한 우리의 오랜 우려가 더욱 강화됐다"면서 "우리는 태국 당국에 표현의 자유를 존중할 것을 계속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태국에서는 최근 수년간 왕실모독죄로 고발돼 처벌받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인권·언론 자유 탄압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인권단체 '인권을 위한 태국 변호사들'(TLHR)에 따르면 2020년 초부터 지금까지 학생운동 참가자 등 270명 이상이 해당 혐의로 기소됐다. 2023년에는 군주제 개혁 요구 시위의 상징인 노란색 오리를 등장시켜 마하 와찌랄롱꼰(라마 10세) 태국 국왕을 풍자하는 만화 달력을 만들어 판매한 남성이 왕실모독죄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또 같은 해 과거 국왕이 해외에서 입은 '배꼽티'를 흉내 내서 입고 시위를 한 10대 소년이 왕실모독죄로 징역 1년 형에 처해졌다. 이에 2023년 총선에서 제1당에 오른 야당 전진당(MFP)은 왕실모독죄 개정을 추진했다가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결을 받고 당이 해산됐으며, 피타 림짜른랏 전 대표 등 전진당 지도부 11명은 10년간 정치활동이 금지됐다. ▶ 태국, 미국과의 협상 앞두고 비관세 장벽 개선 추진 (사진출처 : Bangkok Post) 지난 8일 피차이 재무부 장관은 미국 관세 대응을 위한 미국무역대표부(USTR)와의 협상에 앞서 실현 가능한 비관세 장벽 개선안을 마련 중이며, 조만간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USTR은 보고서를 통해 태국의 느슨한 지적재산권 보호, 위생 및 식물위생 규제, 수입 허가 규정 등의 태국의 높은 무역 장벽을 주 요인으로 꼽은 바 있다. 피차이 장관은 다음과 같은 5가지 개혁 방향을 제시했다. ① 태국과 미국 간 무역 균형 조정: 태국은 사료 원료인 옥수수 등 미국산 원재료 수입 확대를 검토하고 있음 (식용 부속고기 등 가공 가능한 육류 수입) ② 미국산 제품 100여 개 품목에 적용 중인 비관세 장벽을 제거 또는 완화: 품목들에 낮은 관세를 적용하고 있지만 수입 허가, 검역 등 복잡한 비관세 절차로 인해 미국의 불만이 제기, 태국은 이러한 장벽을 줄이거나 철폐하는 방안을 검토 중 ③ 비효율적 통관 제도 개선: 태국은 복잡하고 중복된 무역 절차를 정비해 행정 효율성을 높일 계획 ④ 원산지 증명 관리 강화: 일부 중국산 제품을 소량 가공한 후 태국산 원산지 증명서를 발급받아 제3국으로 수출하는 방식에 대해 통제 강화 ⑤ 태국, 미국산 가스 도입 검토: 에너지 분야에서는 현재 중동에서 연간 27억 입방피트의 천연가스를 수입 중이나, 미국산 가스의 가격 경쟁력이 높은 만큼 미국산 도입도 검토 중 (태국 기업이 미국 내 가스 생산, 식품 가공 공장 등에 직접 투자하는 방안도 추진) 피차이 장관은 “이번 조치는 미국의 요구에 따른 것이 아니라, 태국이 자발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라며, “이를 통해 무역 구조를 개선하고 모두에게 보다 공정한 세금 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패통탄 총리는 협상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진행돼야 하지만 여러 단계의 논의가 필요한 만큼 성급한 결론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98591/thailand-sets-out-tactics-for-us-tariff-talk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트럼프 관세정책 쇼크로 태국 증권거래소(SET) SET 지수, 한때 5% 가까이 하락 (사진출처 : MONEY & BANKING)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전 세계 주식시장에서 10조 달러 이상이 증발했다. 매도 주문은 전 세계로 파급되어 2020년 코로나 사태 이후 최대 규모였다. S&P 500 지수는 지난 주말까지 10% 이상 하락하며 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고, 월요일에도 급등락을 거듭하며 결국 1.33%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주가의 하락과 기업의 차입 비용 상승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유럽과 일본 은행주는 지난 3 영업일 동안 약 20% 하락했고, 유가도 브렌트유는 3일간 약 15% 하락하며 2021년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또한 호주 달러는 중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에 영향을 받아 이틀 동안 4.5% 급락했고, 베트남에서는 미국의 높은 관세(46%) 영향으로 베트남 동화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태국 증권거래소(SET) SET 지수는 4월 8일 오전 10시 49분 현재 54.33포인트 하락한 1,070.88포인트(-4.83%)를 기록했다. ▶ 카지노 합법화 법안, 연정 균열 우려 속 하원 표결 임박 (사진출처 : Bangkok Post) 카지노 복합단지 법안이 하원에서 1차 심의를 앞둔 가운데, 탁신 친나왓 전 총리가 프아타이당 주도의 연정 소속 정당들에 법안 지지를 압박했다. (법안에 반대표를 던질 경우, 연정에서 축출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전해짐) 연정 내 대부분의 정당들은 법안 지지를 약속한 상태지만, 쁘라차찻(Prachachat) 정당은 종교적 이유로 반대 입장을 유지했다. (쁘라차찻당은 하원에 9명의 의원을 두고 있으며, 대부분이 무슬림 밀집 지역인 남부 국경지방 출신) * 지난 3월 27일 쁘라차찻당의 타위 썻썽 대표는 법안 승인 내각 회의에 불참했으며, 앞서 1월 13일에는 내각 사무처에 서한을 보내 도박 합법화로 인한 범죄 증가, 공무원 부패 등의 부작용을 우려하며 추가 연구를 요청한 바 있음 프아타이당 사무총장이자 체육관광부 장관인 쏘라웡(Sorawong)은 “쁘라차찻당은 대부분 무슬림 유권자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당의 우려는 정상적인 반응”이라면서도, “탁신 전 총리가 연정 이탈을 언급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며,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가 별도의 충분한 연구 없이 카지노·엔터테인먼트 복합단지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키려는 움직임에 대해 의료계, 학계, 학교 등에서 반발이 확산되고 있으며 야당인 국민당 자투폰(Jatuporn) 대표는 시민들의 항의 집회 참여를 촉구한 상태이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2997749/parties-told-to-back-casino-bill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서 탈북브로커 행세하며 돈만 챙긴 탈북민, 국제공조로 검거 2명에 61차례 1억3천만원 가로채…"가족 中공안에 넘기겠다" 협박도 (평택=연합뉴스) 권준우 기자 = 태국에 불법 체류하며 탈북 브로커를 사칭해 "북한에 남은 가족들을 탈북시켜 주겠다"고 북한이탈주민(탈북민)들을 속여 돈만 가로챈 40대가 국제 공조수사로 경찰에 붙잡혔다. 평택경찰서 [촬영 김은비] 경기 평택경찰서는 사기 혐의로 40대 남성 A씨를 태국 현지에서 체포해 국내로 송환한 뒤 9일 검찰에 구속 송치했다. 탈북민 출신인 A씨는 탈북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카페를 통해 알게 된 피해자 B씨 등 2명에게 탈북 브로커 행세를 하며 2023년 1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61차례에 걸쳐 착수금, 숙박비, 병원비 등 명목으로 1억3천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2016년부터 태국에 불법체류 중인 A씨는 범행 기간 내내 태국에 머물고 있었음에도, 마치 북한과 중국 국경 지역을 오가며 피해자들의 가족들을 탈북시킨 것처럼 속여 온 것으로 조사됐다. 그는 "돈을 보내지 않으면 가족을 중국 공안에 넘겨 북한으로 보내겠다"고 협박하는 등 집요하게 돈을 요구했고, B씨 등은 생활고에도 지인들에게 돈을 빌리거나 집 보증금을 빼 A씨에게 건넨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4월 피해자들로부터 고소장을 접수한 경찰은 A씨에 대해 인터폴 적색수배를 내리고, 태국 내 파견 중인 한국 경찰관을 통해 태국 경찰과 긴밀하게 공조한 끝에 지난해 12월 현지에서 A씨를 검거했다. 이후 인터폴, 태국대사관의 협조를 받아 이달 2일 A씨를 국내로 송환한 뒤 공항에서 A씨를 체포했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태국에서 불법 체류 생활을 하며 생활고를 겪다가 탈북 브로커를 찾는 탈북민들이 많은 것 같아 범행했다"며 "건네받은 돈은 생활비로 썼다"고 진술했다. ▶ 방콕시, 지진 피해 주민 대상 긴급 재정 지원 실시 (사진출처 : Bangkok Post) 방콕시(BMA)는 최근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시민들을 대상으로 재정 지원에 나섰다면서, 방콕 내 50개 구청에서 지진 피해 주민을 위한 지원 신청 접수를 받고 있으며 신청 마감일은 4월 27일까지라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내·외국인 모두 포함되며, 상시 거주 중인 주택이나 콘도미니엄이 이번 지진으로 손상된 경우에 한해 신청할 수 있다. * 신청자는 신분증이나 여권, 등본 또는 임대 계약서, 피해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와 함께 신청서를 해당 구청에 제출 지원 항목으로는 주택 수리 자재비 최대 4만 9,500바트(약 211만 원), 임시 거처 또는 임대료 보조로 월 최대 3,000바트(약 13만 원) 씩 2개월간 총 6,000바트, 장례비는 1인당 2만 9,700바트(약 126만 원), 세대주 사망 시 추가로 2만 9,700바트를 지원한다. 또한 부상자에 대해선 중상자 4,000바트(약 17만 원), 장애 발생 시 1만 3,300바트(약 57만 원), 일반 부상자에게는 2,300바트(약 10만 원)의 의료비가 지급되며, 생계지원 기금으로 최대 11,400바트(약 49만 원)가 별도로 지원된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2997969/financial-relief-for-quake-hit-resident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정부, 쏭끄란 연휴 기간동안 4개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승인 (사진출처 : Sanook) 태국 내각은 태국 송크란 연휴 동안 4월 12일부터 16일까지 4개의 고속도로의 통행료 면제를 승인했다.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되는 4개 고속도로는 아래와 같다. 1) 9번 고속도로, 방콕 외곽 순환 도로 (Kanchanapisek 도로, Bang Pa-in - Bang Phli 구간, Phra Pradaeng - Bang Khae 구간) 2) Burapha Withi 고속도로 3) 7번 고속도로 (Bangkok - Ban Chang) 4) Kanchanaphisek 고속도로 (Bang Phli - Suk Sawat)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4월 8일 태국 뉴스

2025/04/09 10:36:43

▶ 태국관광청,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한 관광수요 잠재적 영향 모니터링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관광청(TAT)은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미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약화되면서, 더화이트로터스(The White Lotus) 촬영지로 주목받고 있는 사무이 지역의 기대 관광 수익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 미국의 고율 관세로 인해 미국 내 생계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미국 관광객들이 여행 예산을 줄여 필수 지출에 집중할 가능성이 있음.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USAID(미국국제개발처) 예산 축소는 일부 장기 체류 중인 미국인들의 철수로 이어지며 관광업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됨 태국관광청에 따르면, 3월 31일 기준 태국을 방문한 미국인은 총 32만 631명으로, 전년 대비 14.4% 증가함 (아메리카 지역 전체 방문객 수 48만 4,270명 가운데 66.2% 비중을 차지) * 작년 1년 동안 태국은 총 103만 명의 미국인을 유치, 올해는 113만 명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으로 알려짐. 한편, 2024년 미국 관광객 1인당 평균 지출은 7만 5,663바트(321만 원) 수준임 미국 내 태국관광청 지사는 현재 여행 수요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며, 관광수요가 줄어드는 것을 막기위해 항공사와 공동 프로모션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나이티드항공은 10월부터 로스앤젤레스 및 샌프란시스코에서 홍콩을 경유해 방콕으로 매일 운항을 시작할 예정) 또한, 태국관광청은 에어캐나다(밴쿠버-방콕 노선)와 델타항공(대한항공과 협력하여 태국 운항) 등 북미 항공사들의 운항 확대도 유도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98014/trump-tariffs-imperil-samui-boom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이민청, 5월 1일부터 태국 입국시 입국신고서(TM6)를 대체하는 디지털 입국 카드(TDAC, The Digital Arrival Card) 제도 시행한다고 공지 (사진출처 : tdac.in.th/ko) 태국 이민청은 2025년 5월 1일부터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 여행객을 대상으로 디지털 입국 카드(TDAC, The Digital Arrival Card) 제도를 시행한다고 공지해, 태국에 입국하시는 외국인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어 준비해야 한다. o TDAC 개요 : 과거 종이로 작성하였던 입국신고서(TM6)를 대체하는 온라인 입국신고서 o 작성 및 제출 방법 1. TDAC 홈페이지(http://tdac.immigration.go.th)에 접속(필요 시 우측 상단 언어 변경을 통해 한국어로 전환) 2. 홈페이지 안내에 따라 개인정보(성명, 국적,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여권 정보), 여행 정보(항공편 번호, 여행 목적, 태국 내 주소) 등 입력 3. 입력 사항 확인 후 제출, 이메일로 발송되는 접수 확인 메일 수신 4. 태국 입국심사관에게 여권과 함께 접수 확인 메일을 제시 o 작성 시점 : 태국에 입국하는 날을 포함하여 입국 전 3일 이내에 작성 및 제출해야 함. * 예시) 5월 4일 태국 입국 시 : 5월 2일~5월 4일 사이에 작성하여 제출 - TDAC를 제출한 이후에 여행 일정이 연기된 경우 도착 일정에 맞춰 다시 작성하여야 함. o 주의사항 - 통해 입국한 외국인 뿐만 아니라 육로, 해로 등으로 입국한 경우에도 적용됨. - 입국심사 시 인터넷 환경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접수 확인 메일을 별도로 소지(출력 또는 캡쳐 등) - 입국신고는 비자와는 별개의 제도이므로 비자 소지 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적용. - TDAC 작성 시 별도 비용은 없음. o 그 외 자세한 사항은 TDAC 홈페이지(http://tdac.immigration.go.th)와 한국어 설명 동영상(http://youtu.be/7Wj3uH619Lk) 참고. ▶ 방콕 국제 모터쇼 예약대수, 작년보다 45% 증가, EV 차량이 65% 차지 (사진출처 : Posttoday) 3월 26일부터 4월 6일까지 개최된 태국 최대 규모 모터쇼 '제46회 방콕 국제 모터쇼 2025(Bangkok International Motor Show)' 예약 대수가 작년 53,438대에서 45% 증가한 77,379대로 크게 증가했다. 판매 1위는 중국 BYD가 10,353대로 부동의 1위였던 도요타(9,819대)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주최측인 '그랑프리 인터내셔널'의 발표에 따르면, 예약 판매 10위 브랜드는 아래와 같다. 1위 중국 BYD(10,353대) BYD 9819대, DENZA 534대 2위 도요타(9,819대) 3위 중국 광저우 자동차(7,018대) : AION(AION)/ HYPTEC(하이텍) 4위 중국 심랑 자동차(6,589대) : DEEPAL 및 창안기차 'ChangAn' 6067대, 창안기차 'AVATR' 522대 5위 혼다(5,948대) 6위 중국 상하이자동차 MG(5,910대) 7위 중국 장성기차 GWM(4,959대) 8위 미쓰비시(4,398대) 9위 닛산(3,139대) 10위 이스즈(2,989대) 방콕 국제 모터쇼 주최사 차투론 부회장은 올해 방콕 국제 모터쇼에 총 160만 명이 방문했으며, 방콕 국제 모터쇼 2025의 자동차 예약 비율은 EV 차량이 65%였으며, 내연기관 차량은 35%였다고 밝혔다. ▶ 태국 정부의 카지노 법안 추진 반발 확산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카지노·엔터테인먼트 복합단지 법안'에 대해 전직 헌법 초안 위원, 의료계, 경제학자 등 강한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반대 측은 해당 법안이 국가와 국민을 해칠 수 있다고 주장) 지난 6일 2007년 헌법 초안에 참여했던 전직 위원 50명이 공개서한을 발표, “법안이 집권 여당인 프아타이당과 연정의 선거 공약이 아닌, 탁신 전 총리의 비전을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의회에 해당 법안의 폐기를 요구했다. 또한, 헌법 초안에 참여했던 전직 위원 50명에 따르면 해당 복합단지 법안이 국가 전략이자 국왕의 지시에 포함된 'Sufficiency Economy' 철학과도 상충된다. (국가 소유 토지를 민간의 오락시설 개발용으로 전환하는 것은 사실상 공공 자산을 민간에 넘기는 것으로, 국가 재산 개발 원칙에 위배) 한편, 탐마삿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진은 카지노가 단기적 경제 효과에 비해 범죄, 가정 및 아동 문제, 자금 세탁 등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사회적 폐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정부가 법안을 강행할 경우 정권의 정당성마저 잃게 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외에도, 치앙마이대학교 의대 15기 졸업생 27명도 성명을 통해 태국은 풍부한 천연자원과 문화를 지닌 국가로서, 카지노는 미래 세대에 장기적인 사회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2996854/campaigns-mount-against-thai-govts-casino-bill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2997094/casino-bill-could-land-govt-in-hot-water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병역면제 받으러 왔다”…태국 징병검사장에 등장한 미모의 여성들(?) 지난해 징병 선발장에 등장해 화제가 되었던 태국 인플루언서 파리다 케라유판(오른쪽)과 ‘파이페이 천사’로 불리는 칸통 파사르아폰. [사진 = 인스타그램 캡처] 태국군 징병 검사장에 미모의 여성들이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6일 채널7 등 태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지난 1일(현지시각) 우타이타니도에 위치한 징병 검사장에서 2명의 여성이 선발과정에 참여했다. 이 여성들은 트랜스젠더로, 성전환 수술 증명서를 제출해 징병 면제 신청을 하러 온 것이다. 이들 중 한 명인 아리트 카니카(23)는 “2년 전 징집 때에는 건강검진이 끝나지 않아 미뤘지만, 올해는 검사를 받고 성 정체성 증명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트랜스젠더 타넷 샌롭(21)은 “올해 처음 선발 시험을 보러 왔는데, 아직 규정을 잘 모르겠고 정신이 없다”며 “징집을 연기할 수 있다면 연기한 뒤 내년에 의료서류를 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태국은 우리나라처럼 징병제 국가로, 매년 4월 출생률을 바탕으로 8만명에서 10만명 사이의 병력을 모집하고 있다. 통상 군 복무 기간은 지원병의 경우 고졸은 1년, 대졸은 6개월이다. 지원병 모집 후 모자라는 인원은 ‘제비뽑기’ 방식으로 뽑는다. 징집 대상자가 통 안에서 빨간색 카드를 뽑으면 현역 입대, 검은색을 뽑으면 면제다. 이 방식으로 현역 입대하는 이들은 2년간 의무 복무를 해야 한다. 징병검사를 위해 지난 1일(현지시간) 징병 검사장에 ‘성 정체성 증명서’를 들고 나타난 트렌스젠더 여성들. [사진 = 채널 7, 유튜브 AMARINTV] 트랜스젠더는 신체적·정신적 정체성 관련 진단서를 제출할 수 있는 경우 병역면제가 가능하다. 태국은 남성만을 징집 대상으로 삼고 있어 성전환 여성의 경우 공식적으로 면제 신청을 할 수 있다. 한편 지난해에도 중북부 카셋위사이 지역 징병장에 트랜스젠더 파리다 케라유판과 칸통 파사르아폰이 등장해 이목을 끌었다. 파리다는 인스타그램 팔로워 6만9000명을 보유한 대학생이자 캠퍼스 홍보대사다. 칸통은 약 100회의 미인대회에 참가해 팬들 사이에서 ‘파이페이 천사’로 불리는 인물이다. 이들 역시 성전환 증명서를 제출하고 군 면제를 신청했다. <기사출처 : 매일경제> ▶ 치앙마이·매홍손 북부 지역서 소규모 지진 16차례 발생 (사진출처 : Thai PBS) 지난 7일 오전 치앙마이와 매홍손 북부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Richter scale) 1.9~3.8의 소규모 지진이 총 16차례 발생했다. (지역 주민들이 3.2~3.8 규모의 지진 3차례를 체감했다고 보고) * 태국 지진관측국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오전 4시 22분부터 10시 57분 사이에 발생, 치앙마이 위앙행(Wiang Haeng) 지역 쌘하이(Saen Hai)에서는 1.9~3.5 규모의 지진이 10차례 발생했으며 매홍손 빠이(Pai) 지역 위앙느어(Wiang Nuea)에서는 3.8 규모를 포함한 지진이 6차례 기록 한편, 지난 3월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로 치앙마이 지역 내 3개 건물에 피해가 발생, 그중 하나인 두앙카몰(Duangkamol) 콘도는 30년 이상 된 8층 건물로, 1층에서 구조적 균열과 변형이 발견되어 긴급 대피 및 출입 통제 조치가 취해졌다. 나머지 2개 건물은 22층 규모의 콘도로, 외관 손상만 확인되었으며 구조적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2997869/16-minor-tremors-felt-in-the-north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AI·복합물류 기반 이커머스 허브로 도약 모색 (사진출처 : Bangkok Post) 이커머스 관계자들은 태국이 무역 갈등과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AI) 기술 및 복합운송(multimodal transport) 기반의 물류 혁신을 통해 아시아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허브로 도약 가능성을 꼽았다. * 싱가포르 유니엑스엑스포(UniEx Expo)의 마이크 리 대표는 오는 6월 11~13일 방콕 퀸 시리킷 국립컨벤션센터에서 처음 개최되는 ‘아시아 디지커머스 서비스 엑스포(Asia DigiCommerce Services Xpo)’의 개최지로 태국을 선택한 이유로, 동남아 중심이라는 전략적 입지와 이커머스 성장 잠재력을 꼽았음 KEX Express (Thailand)의 스티븐 바오(Stephen Bao) 운영 책임자(COO)는 모회사인 중국 SF홀딩스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드론 배송, AI 경로 설계 등을 통해 물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특히 태국 농산물의 중국 수출에서 물류 체계를 간소화해 농가 수익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 통관 간소화, 디지털 시스템 확대, 보세창고 확충 등을 통해 전체 배송 리드타임(Lead time)을 단축할 수 있음 또한, 태국 창고·냉장협회(Warehouse Silo and Cold Storage Business Association)의 나타품(Nattapume) 회장은 태국이 중국과 동남아를 잇는 물류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면서, 고속철도 등 복합 운송망과 효율적인 배송 시스템의 통합이 핵심이며 물류 자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기업 간 협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경간전자상거래공급망협회(Shenzhen Cross-Border E-Commerce Supply Chain Service Association)의 앨리 왕 사무총장은 이커머스 산업이 ① 물류의 전략자산화 ② 플랫폼의 생태계화 ③ 기술의 산업 유전자화라는 세 가지 구조적 전환을 겪고 있다고 분석, 틱톡숍과 아마존 등 플랫폼 간 경쟁도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98114/thailand-fights-for-e-commerce-crown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지진 공포에 부동산시장 냉각…"고층 콘도 구매 주저" 미분양 2018년 이후 최대…매수 지연·공급 과잉 심화 전망 지진으로 건물 연결 다리 끊어진 방콕 콘도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얀마 강진의 여파로 수천개 고층빌딩이 피해를 본 태국 수도 방콕의 부동산 시장이 급속도로 냉각됐다. 3일 블룸버그통신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발생한 지진으로 방콕에서 주택 구매를 고려하던 매수 예정자들이 발을 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층 콘도미니엄(콘도) 구매에 무게를 두고 있던 이들의 매수 심리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이번 지진이 단기적으로 콘도 판매에 타격을 입힐 것이며 방콕 시내와 외곽에서 공급 과잉이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부동산컬설팅업체 콜리어스 태국 법인 시장분석 책임자 팟타라차이 다위웡은 "이번 지진은 이미 미분양으로 재고 부담을 안고 있던 방콕 콘도 부문에 심각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태국콘도협회에 따르면 부동산개발업체들이 보유한 방콕 권역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말 기준 약 23만5천가구에 달해 2018년 이후 가장 많았다. 부동산판매플랫폼 프로퍼티스카웃은 "콘도 구매자들이 일시적으로 검색을 중단하고 있다"며 "(지진 공포에) 고층 건물 구매를 주저하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지진이 향후 3∼6개월간 콘도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본 고층 콘도들은 안전 진단과 내부 수리도 거쳐야 한다. 당국도 부동산 시장 냉각 가능성을 인정했다. 파오품 로짜나싸꾼 재무부 차관은 지진으로 부동산 거래가 일부 지연되고 있다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날 취재진에 밝혔다. 산시리 등 대형 부동산개발업체들은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건물 안전 검사 내용을 소개하며 지진으로 인한 구조적 손상은 없었다고 알리고 있다. 지난달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 빌딩이 완전히 붕괴되고 시민들이 대피하는 등 방콕도 큰 혼란을 겪었다. 당국은 이번 지진으로 약 1만3천개 건물에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방콕시는 지진 이후 전날까지 정부청사, 호텔, 쇼핑몰, 고층 빌딩 등 3천375개 주요 건물에 대한 안전 진단을 실시했으며, 이 중 34곳이 심각하게 손상된 것으로 확인했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4월 7일 태국 뉴스

2025/04/07 12:24:43

▶ 태국 "美에너지·농산물 더 수입"…금주 대표단 파견 베트남, 트럼프에 상호관세 부과 최소 45일 연기 요청 태국 방콕 무역항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미국산 수입 확대 방침을 재차 밝혔다. 7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전날 성명을 통해 미국산 에너지, 항공기, 농산물 수입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패통탄 총리는 피아치 춘하와치라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이 이끄는 대표단이 이번 주 미국을 방문해 무역 문제를 논의하며 '태국은 미국에 대한 수출국일 뿐만 아니라 미국의 동맹이자 신뢰할 수 있는 친구'라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미국 상호관세가 태국 전자제품, 가공식품, 농산물 수출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수입 장벽 완화, 태국을 통한 타국 제품 재수출 억제 방침도 밝혔다. 패통탄 총리 성명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고율 상호관세에 대한 대응이 다른 아세안 지도자들에 비해 느리다는 비판 속에 나왔다. 미국은 태국에 상호관세율 36%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태국의 최대 수출국이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456억 달러(약 67조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비상이 걸렸다. 상호관세율이 46%에 달하는 베트남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AFP통신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공식 서한에서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최소 45일 연기해달라고 요청했다. 럼 서기장은 서한에서 호 득 폭 부총리에게 가능한 한 빨리 합의에 도달하는 것으로 목표로 미국과의 협상을 맡겼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트럼프 대통령과 다음 달 말 미국에서 만나 관세 문제를 마무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럼 서기장이 최근 통화에서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베트남의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한 바 있다. 베트남은 지난해 중국·유럽연합(EU)·멕시코에 이어 미국 교역 상대국 중 4번째로 큰 1천235억 달러(약 181조원)의 대미 흑자를 기록했다. ▶ 태국,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설립…디지털 경쟁력 강화 박차 (사진출처 : The Nation) 태국 정부가 글로벌 기술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국가인공지능위원회(National AI Committee)’ 설립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패통탄 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4월 초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 * 위원회는 디지털경제사회부, 고등교육부, 디지털경제진흥원, 국가혁신청 등 정부 및 민간 부처 관계자들로 구성되며, 태국 전역의 AI 도입 촉진과 글로벌 시장 내 경쟁력 확보를 주요 목표로 함 부위원장으로 임명된 쁘라씃 짠톤루앙텅(Prasert Jantararuangtong) 디지털경제사회부 장관은 “AI는 미래의 핵심 기술로, 태국도 명확한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국산 대형 언어 모델 개발, 딥테크 육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AI·데이터 통합을 통한 효율성과 경쟁력 향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쁘라씃 장관은 태국을 아세안 AI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디지털 인프라를 강화하고, 글로벌 기술기업의 투자를 유치, 이와 함께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AI 접근을 지원하고 IT 인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역량 강화 및 재교육 프로그램도 병행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nationthailand.com/business/tech/40048295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미얀마 지진 여파로 붕괴된 감사원 건물 건설에 참여한 중국계 기업, 태국 국내에서 병원, 공항 터미널 등 다수의 건설 프로젝트 수주 (사진출처 : Khaosod)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태국에서 유일하게 붕괴된계감사원 건물 시공을 맡았던 중국계 기업이 남부 쏭클라도에 최근 지어진 9층짜리 쏭클라 병원', 남부 나라티왓도에서 완공이 지연되고 있는 나라티왓 공항 새 터미널 등의 공사에도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쏭클라 병원 원장은 건설 자재의 품질 등은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었고, 아직까지는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건설공사 책임자는 “미얀마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진동을 느낄 수 있었지만, 구조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나라티왓 공항 새 터미널에 대해 마나폰 교통부 차관은 전체 공정률은 39.24%"보고했다. 총 공사비 6억3,989만 바트의 신 터미널은 올해 1월 16일에 완공될 예정이었지만, 이 역시 지난해 대홍수의 영향 등으로 공사가 크게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 [특파원 시선] 최악 지진 이용하나…'통치강화' 노리는 미얀마 군정 4년 내전에 극심 혼란 지속…일시 휴전, 평화 정착 기회 삼아야 지적 태국 국제회의 참석한 미얀마 군정 수장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강종훈 특파원 = 2021년 쿠데타 이후 고통의 나날을 보내던 미얀마인들에게 또 다른 최악의 시련이 닥쳤다. 군사정권의 무차별 폭력과 공포 정치, 극심한 경제난과 내전으로 인한 혼란에 더해 끔찍한 자연재해까지 터졌다. 지난달 28일 발생한 규모 7.7 강진에 미얀마 수도 네피도와 제2 도시 만달레이를 비롯해 국토가 찢어지듯 처참히 파괴됐다. 정상 국가라도 감당하기 힘들 막대한 피해가 났지만, 미얀마 군정은 이를 수습할 능력도 의지도 부족해 보인다. 오히려 인도주의적 위기를 군정의 장악력을 높일 기회로 삼으려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군정이 밝힌 지진 사망자는 3일 기준 3천100명을 넘어섰다. 실제 사망자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의료시설 파괴, 의료품과 장비 부족으로 구조와 부상자 치료가 매우 어렵고, 우기가 다가오면서 전염병과 산사태 등 추가 피해도 예상된다. 전 국가적 위기에도 군정은 '아군'과 '적군'을 나누고 있다. 그동안 난민 지원을 위한 국제구호단체 접근을 제한하던 군정은 이번 강진 이후 이례적으로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나 군정 통제로 국제사회 지원이 분쟁 지역에는 제대로 닿지 않고 있다. 군정은 지진 발생 이후에도 반군 점령 지역에 공습을 계속했다. 민주 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와 소수민족 무장단체 연합인 '형제동맹'의 일시 군사활동 중단 선언도 무시했다. 군정 수장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반군이 적극적으로 전투에 나서지 않아도 훈련하며 공격 준비하는 것도 침략의 한 형태"라며 군사작전을 계속하겠다고도 말했다. 앞서 군정은 형제동맹 등의 총공세로 위기에 처하자 "정치적 해결책을 찾자"며 대화를 제안했고, 반군이 받아들이지 않자 중국 중재로 휴전회담에 나서기도 했다. 정작 강진으로 반군이 휴전을 선언하자 태도를 바꿔 공세를 이어간 것이다. 미얀마 출신 연구자 싸웅 뚠 아웅 린은 "대형 자연재해 발생에도 공격을 계속하기로 한 것은 얼마나 군부가 권력을 계속 유지하려 하는지 보여준다"며 "이 위기에서도 갈등이 완화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고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미얀마 지진 피해 현장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군정은 강진 발생 엿새째인 지난 2일에야 뒤늦게 3주간 휴전을 선포했다. 다만 군정은 교전이 멈추는 동안 반군이 전열을 가다듬거나 공격할 경우 필요한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위협했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강진 피해가 나날이 증가하는 와중에 3일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BIMSTEC) 정상회의 참석을 이유로 태국을 방문했다. 군정을 지지하는 중국, 러시아를 제외하면 외국 방문이 거의 없던 그의 태국행을 두고도 군정 통치 정당화와 장기화를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얀마 땅에는 수많은 희생자를 낸 지진이 일어나고서야 잠시나마 포성이 잦아들게 됐다. 일각에서는 이번 휴전이 유지되면 평화 정착으로 나아갈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태국에 기반을 둔 싱크탱크 미얀마전략정책연구소는 지난 2일 보고서에서 "이번 재난이 적대 세력 간 협력을 촉진하고 갈등을 줄이며 평화 토대를 마련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연구소는 반대로 이번 지진이 내전 지속과 사회적 혼란이라는 결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군정의 휴전 선포 이후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미얀마군과 반군 간 교전이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지진이 평화로 가는 디딤돌이 되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는 현실이지만, 미얀마는 엄청난 희생 위에 만들어진 이번 기회를 어떻게든 살려야만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021년 쿠데타 이후 내전이 길어지면서 미얀마는 국제사회의 관심에서 멀어졌고, 미얀마인들의 삶은 점점 어둠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국제사회도 일회성 지진 피해 지원에 그치지 않고 미얀마에 대한 관심과 연대를 이어가야 할 시점이다. ▶ 품짜이타이당 “패통탄 총리 부리람 방문은 정치적 의도 없다고” 밝혀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품짜이타이당(BJT)은 최근 프아타이당과의 불화설을 일축하며, 지난 4일 패통탄 친나왓 총리의 부리람 방문에 대해 정치적인 의도가 있는 행보가 아니라고 밝혔다. * 패통탄 총리는 정부 주최 지방 개발 워크숍 참석을 위해 부리람 지역을 방문, 부리람은 품짜이타이당의 정치적 기반으로 알려져 있는 곳으로 내무부 장관, 내무부 차관 등 주요 내무부 관계자들도 함께 동행 품짜이타이당 사무총장 차이차녹(Chaichanok)은 “당 공동창립자 누윈(Newin)이 패통탄 총리를 맞이하고 부리람 지역 경제 활성화 모델인 ‘Chang International Circuit’을 안내한 것은 단순한 환대였으며 정치적 의미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차이차녹 사무총장은 “총리 방문 중 모토 GP 대회 개최 계약 연장과 관련한 논의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 Chang International Circuit은 태국 부리람 지역에 위치한 국제 규격의 모터스포츠 경기장으로 부리람 지역 경제 활성화 모델로도 자주 언급된 바 있음. 정부는 2018년부터 매년 모토 GP를 이곳에서 개최해 왔으며 올해까지 계약이 연장된 상태임 (연간 개최 비용은 약 3억 2,400만 바트(약 137억 원) 규모로 알려짐) 한편, 올해 대회는 ‘2025 PT Grand Prix of Thailand’라는 명칭으로 2월 28일부터 3월 2일까지 개최됐으며, 22만 4,624명의 관중을 기록해 서킷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부리람 및 인근 지역 경제에 50억 4,000만 바트(약 2127억 원)의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집계됐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2994976/bhumjaithai-says-no-deal-making-in-premiers-visit-to-buri-ram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올해 송끄란 호텔 예약,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 (사진출처 : Bangkokbiz) 태국 호텔협회(THA)는 쏭끄란 기간 동안 태국 주요 도시의 호텔 예약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5% 감소했다고 밝혔다. 태국 호텔협회는 방콕, 동부 촌부리, 북부 치앙마이, 치앙라이, 남부 쑤라타니, 푸켓, 끄라비 등 7개 도내 관광명소에 위치한 호텔 5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대상 기간은 쏭끄란 연휴(4월 12일~16일)가 포함된 4월 11일~17일 1주일간으로 조사 결과, 지난해 42,761박에서 올해 예약은 32,244박으로 감소했다. 4월 외국인 입국자 수도 전년도 2,757,128명에서 70만 명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태국 호텔협회는 2,067,846명으로 예측). 외국인 입국 감소 원인 중 큰 원인은 지진으로 인한 건물 안전에 대한 불안감으로 외국인뿐만 아니라 태국인도 국내 여행을 자제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올해 쏭끄란은 지난해 만큼 붐비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주태국 한국문화원, 경주 소개하는 'Encounter Gyeongju, the Golden City' 전시회 개최 (사진출처 : Thairath) 주태국 한국문화원은 한국의 동쪽, 경상북도에 위치한 경주를 소개하는 전시 'Encounter Gyeongju, the Golden City'를 개최하고 있다. 경주는 기원전 57년부터 한국의 고대 왕국인 신라의 수도였다. 이번 전시는 경주의 주요 유적지와 풍경 사진, 유적지를 소재로 한 한국 국립박물관의 기념품 '뮷즈' 전시 등을 통해 경주를 소개하는 것이다. 경주는 올해 10월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개최지로서 태국 등 24개국 정상들이 한 자리에 모여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Building Sustainable Tomorrow)'에 대해 발전적인 논의를 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오는 8월 26-27일에는 '디지털시대 문화와 창조산업의 비전과 역할 (The vision and Roles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n the Digital Era)'을 주제로 문화 고위급회담도 개최할 예정이다. 전시는 3월 31일부터 5월 30일 평일 8시 30분부터 17시까지 문화원 1층과 2층 갤러리에서 개최하며, 누구나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원 페이스북(@koreanculturalcenterTH)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ชมนิทรรศการคยองจู / Thairath, 4.4, 온라인, 야티따 에라완,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thairath.co.th/news/foreign/2850978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