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2일 태국 뉴스

2025/07/22 13:31:54

▶ 태국서 검거된 로맨스스캠 조직원 19명…경찰청, 조사팀 파견 태국 파타야 로맨스스캠 조직원 검거 현장 [경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동환 기자 = 경찰청은 태국 파타야에서 검거된 로맨스 스캠(연애 빙자 사기) 한국인 조직원 19명에 대한 공동조사팀을 현지에 파견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16일 태국에 파견된 한국 경찰청 공동조사팀은 범행에 이용된 컴퓨터 등 전자기기를 분석하고 한국인 피의자들을 직접 조사했다. 아울러 태국 정부 사기 범죄 전담팀 단장을 접견해 동남아를 거점으로 한 국제 조직 범죄를 원점 차단하기 위한 합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경찰청은 태국 당국과 협의를 통해 조직원을 신속하게 국내로 송환할 방침이다. 조직원들은 지난달 21일 파타야 풀빌라 단지 내에서 한국·태국 경찰 합동 작전으로 검거됐다. 범행 거점에 컴퓨터를 포함한 수십대의 전자기기를 설치했고, 로맨스 스캠·보이스피싱 등 범죄 시나리오를 만들고 역할을 배분해 사기를 벌였다. 경찰이 들이닥쳤을 당시 컴퓨터 앞에 앉아 있던 피의자들은 2층에서 뛰어내리는 등 도주를 시도했으나 전원 체포됐다. 태국 현지에 파견된 경찰청 공동조사팀 [경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프아타이당, ‘왕실모독죄(형법 112조)’ 관련 정치 사면법안 부결로 정치적 비판 직면 (사진출처 : Bangkokbiz) 지난 16일 태국 하원이 최근 ‘왕실모독죄(형법 112조)’ 관련 정치 사면 법안 일부를 부결시키자, 제1야당인 국민당(PP, 구 전진당)과 시민단체들이 프아타이당의 입장을 강하게 비판했다. * 하원은 총 5건의 사면 법안 중 3건은 통과시켰으나, 국민당이 발의한 ‘정치범 사면법안(Amnesty for Political Offences Bill)’과 3만 6,723명 서명으로 제출된 시민 사면법안(People’s Amnesty Bill)은 1차 심의에서 부결 (두 법안 모두 형법 112조로 기소된 청년층을 포함한 정치적 표현으로 인한 기소자에 대한 포괄적 사면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었음) 이에 대해 프아타이당은 “112조 기소 청년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 중이나,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공개할 수 없다”고 해명했으나, 야당은 이를 “모호하고 설득력 없는 변명”이라고 일축했다. 나타폰 루엉파냐웃(Natthaphong Ruengpanyawut) 국민당 대표는 “프아타이당이 연립정부 내 입장 조율을 핑계로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의원 개별표결 허용이나 연정 합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식 등 절차적 유연성을 발휘했다면 두 법안 모두 통과 가능성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한편, 프어타이당 소속 의원 중 적셔츠(Red-shirt, 친탁신계) 계열로 알려진 6명은 해당 야당·시민법안에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확인돼, 당내에서도 이견과 균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3071056/pheu-thai-blasted-for-rejecting-amnesty-bill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한·태국, 경제동반자협정 7차 협상 앞 개방범위 집중 논의 한-태국 경제동반자협정 제4차 공식협상 (서울=연합뉴스) 노건기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이 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태국 경제동반자협정 제4차 공식협상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2025.3.4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한국과 태국 정부는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을 위한 7차 공식 협상을 앞두고 시장 개방 범위 등을 집중 논의하는 회기 간 협상을 개최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부터 오는 25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우리 측 노건기 통상교섭실장(수석대표)을 포함해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대표단 약 30명이 참석한 가운데 태국 측과 회기 간 협상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는 다음 달 이후 열리는 7차 공식 협상을 앞두고 협상 진전 속도를 높이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이번 협상에서는 현재까지 논의된 상품, 서비스, 투자, 디지털, 금융 등 7개 분야에서 논의가 이어진다. 특히 상품, 서비스 분야와 관련해서는 양국 간 시장개방 범위와 수준을 정하기 위한 집중 협상이 진행될 예정이다. 노건기 통상교섭실장은 "정부는 태국 EPA를 포함해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 성장잠재력이 높고 핵심 광물을 보유한 '글로벌 사우스 국가'(남반구 신흥국·개도국)와 다양한 무역협정 체결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넷플릭스 1위를 차지한 케이팝 러브레터 애니메이션 뮤지컬 판타지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놓치지 마세요 (사진출처 : NETFLIX) 넷플릭스는 최근 애니메이션 뮤지컬 판타지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공개했고, 전 세계 시청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루미·조이·미라 세 명의 실력파 아티스트로 구성된 케이팝 걸그룹 헌터/x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들이 팬들을 위해 무대에 오르지 않을 때에는 무자비하게 영혼을 훔치는 악마들을 사냥한다는 비밀을 숨기고 있다. 하지만 악마 군주 귀마가 부하들의 실패에 분노하면서 헌터/x는 난관에 부딪혔다. 가장 고통 받던 악마 중 하나인 진우의 도움을 받아 헌터/x에 맞서는 케이팝 보이그룹 사자 보이즈를 결성했다. 진우와 네 명의 악마로 구성된 사자 보이즈는 헌터/x의 팬들과 영혼을 훔치려고 시도한다. 애니메이션 영화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와 <위시 드래곤>을 작업한 소니 픽쳐스 애니메이션이 제작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케이팝 세계에 대한 러브레터로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아이돌 그룹에서 영감을 받았다. 예를 들어 헌터/x는 ITZY, 블랙핑크, 트와이스 같은 걸그룹을 모델로 삼았다. 사자 보이즈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방탄소년단, 스트레이 키즈, 에이티즈, 빅뱅, 몬스타엑스 같은 보이그룹을 모델로 삼았다. 또한 이 애니메이션은 한국 민속 예술 스타일로 그린 전통의상과 소품뿐만 아니라 사랑스러운 동물들도 등장시켜 한국 문화에 대한 경의를 표했다. 이 영화는 화려한 애니메이션과 캐릭터를 비롯해 미국 빌보드 200 차트 8위에 오른 사운드트랙으로도 호평을 받았으며, 케이팝 팬과 현지인 모두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Don’t miss Netflix’s chart-topping love letter to K-pop / Bangkok Post, 7.22, Life 2면, Gya Assakul,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bangkokpost.com/life/social-and-lifestyle/3073400/dont-miss-netflixs-chart-topping-love-letter-to-k-pop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기업 58%, AI 사이버공격 직면…대응 역량·예산 모두 부족 (사진출처 : Bangkok Post)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업 포티넷에 따르면, 태국 내 조사 대상 기업의 58%가 지난 1년간 AI 기반 사이버공격을 경험했으며, 이 중 62%는 공격 빈도가 2배 이상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주요 AI 위협은 ① 인증정보 탈취, ② 피싱·악성코드, ③ 딥페이크 이메일 사칭, ④ AI 기반 정찰·데이터 오염 등으로 다양하며, AI는 공격의 자동화와 정밀도를 높이며 위협을 고도화하는 핵심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태국 기업 중 AI 공격에 매우 자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9%에 불과, 24%는 추적 능력조차 없다고 답해, 대응 역량이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이다. (전체 침해 사례 중 절반은 금전 피해로 이어졌으며, 4분의 1은 50만 달러 이상의 손실을 기록) * 태국 기업의 전체 매출 대비 IT 예산은 평균 9% 수준, 이 중 사이버보안 예산은 15%에 그쳐 실제 투자 규모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또한, 포티넷은 피싱(60%), 클라우드 취약점(56%), 랜섬웨어(52%), 공급망 공격(50%)이 태국 내 주요 사이버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통합 플랫폼 기반 보안 전략의 도입을 강조했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71268/fortinet-warns-ai-is-supercharging-cybercrime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캄보디아가 국경에 심은 지뢰로 태국군 3명 부상" 캄보디아 "태국군이 불발 지뢰지대 들어갔다가 사고"…진실 공방 캄보디아와 국경에서 지뢰 수색하는 태국군 지난 20일(현지시간) 태국 동부 우본라차타니주의 캄보디아와 국경 분쟁 지역에서 태국군이 지뢰를 수색하고 있다. 2025.07.22 [방콕포스트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지역에서 태국 군인들이 지뢰 폭발로 부상하자 태국이 캄보디아가 지뢰를 설치했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하지만 캄보디아는 지뢰를 설치한 적이 없다고 반박, 양국 분쟁이 진실 공방으로 번지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지난 16일 분쟁 지역인 태국 동부 우본라차타니주와 캄보디아 북부 쁘레아비히어르주 간 국경의 태국 측 지역에서 지뢰가 폭발, 순찰하던 군인 1명이 한쪽 다리를 잃는 등 3명이 부상했다. 지뢰가 터진 장소는 지난 5월 하순 양국 군이 소규모 교전을 벌여 캄보디아군 군인 1명이 사망한 곳과 가깝다. 특히 문제의 지뢰는 태국군이 사용하거나 비축하지 않은 러시아제 PMN-2 대인지뢰였다고 태국군은 밝혔다. 이후 태국군은 이 지역 지뢰 수색 작업에 나서 군인들이 부상한 장소 주변에서 같은 PMN-2 지뢰 10여발을 발견, 제거했다. 또 최근 한 캄보디아 관련 페이스북 페이지에 캄보디아군 군인이 분쟁 지역에 지뢰를 매설하는 영상이 올라왔다가 곧바로 삭제됐다고 태국 매체 네이션이 보도했다. 이에 태국 정부는 캄보디아가 이들 지뢰를 매설, 대인지뢰 사용을 금지하는 오타와 협약을 위반했다고 공격했다. 마라티 날리타 안다모 태국 외교부 부대변인은 전날 캄보디아의 지뢰 설치가 "태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명백히 침해하는 것이며, 국제법의 근본 원칙을 완전히 위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태국과 캄보디아는 1997년 나란히 오타와 협약에 서명, 가입했다. 반면 캄보디아 국방부는 성명에서 자국이 새로운 지뢰를 매설한 사실이 없으며, 태국군 군인들이 양국 간 합의된 순찰 경로를 이탈해 불발 지뢰가 있는 지역에 갔다가 사고가 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캄보디아는 1998년까지 약 30년 동안 이어진 내전 기간 매설된 지뢰와 불발탄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지뢰가 많이 묻힌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캄보디아 지뢰행동센터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에는 아직 400만∼600만 개의 지뢰가 묻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또 올해 1∼4월에만 지뢰·불발탄 폭발로 5명이 사망하고 12명이 다쳤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5월 교전 이후 양국 간 국경 분쟁이 악화하는 가운데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가 분쟁 해결을 위해 훈 센 캄보디아 상원의장과 통화한 내용이 공개된 여파로 직무 정지되는 등 파문이 지속하고 있다. ▶ 태국 관광청, 2026년 관광수입 2.8조 바트 목표… “가치 중심 성장 전략” 본격화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관광청(TAT)의 타파니 끼앗파이불(Thapanee Kiatphaibool) 청장은 ‘더 나은 태국(The New Thailand)’을 비전으로 내세우며, ① 산업 구조의 고급화, ② 관광 수익의 지역 분산, ③ 특정 관광객 대상 체험형 관광지 개발, ④ 전 부문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성 강화를 4대 전략 방향으로 제시했다. * 태국 관광청에 따르면, '26년 관광수입 목표를 전년 대비 5% 증가한 2조 8,000억 바트(약 867억 달러)로 설정, 전 세계 관광수입 상위 10개국 진입을 목표로 '수량보다 가치(Value over Volume)'를 핵심 전략으로 추진될 예정 ‘26년 외국인 관광수입은 8% 증가한 1조 6,300억 바트, 내수 관광수입은 3% 증가한 1조 1,700억 바트로 전망, 내국인 여행 횟수는 연간 2억 1,400만 건으로, 전년 대비 5%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태국 관광청은 단기적으로는 시장 회복 조치를 지속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신흥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관광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한편, 관광청에 따르면 '25년 1~5월 기준 베트남(21%), 스리랑카(15%), 일본(24%), 중국(30%) 등이 전년 대비 관광객 증가율을 보이며 강세를 나타냈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73196/tat-seeks-b2-8tn-income-next-year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파타야에서 한국·중국인 마약 밀수 용의자 체포돼 (사진출처 : Bangkok Post) 파타야에서 한국인과 중국인 마약 용의자 두 명이 잇따라 현지 경찰에 체포됐다. 7월 18일 태국 이민국은 한국인 김모(60)씨와 중국인 쑨모(39)씨를 마약 관련 혐의로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김씨는 과거 필로폰을 한국으로 밀수하려다 인터폴 적색수배를 받았고, 쑨씨는 마약 밀매와 전자담배 불법 유통 혐의로 수배 상태였다. 태국 경찰은 출입국관리국과 마약통제위원회(ONCB) 합동 수사팀과 함께 파타야 쑤쿰윗 71번가의 한 아파트에서 김씨를 검거했고, 이어 방라뭉의 주택을 급습해 도주를 시도하던 쑨씨를 체포했다. 수사 결과, 김씨는 공범들에게 필로폰 180g을 음식 용기에 숨기도록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마약은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던 항공기에 실렸다가 한국 도착 전 적발됐으며, 현지 경찰은 성공 시 최대 1800만 원에 팔릴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씨는 2년 이상, 쑨씨는 15일 이상 각각 비자 체류 기간을 초과해 불법 체류 중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두 사람은 태국 법에 따라 기소됐으며, 자국으로의 추방 절차가 진행 중이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7월 21일 태국 뉴스

2025/07/21 14:19:14

▶ 태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3개월 연속 하락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6월에도 하락하며 3개월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다. 무역정책전략실(TPSO) 푼퐁 나이야나파콘(Poonpong Naiyanapakorn) 국장은 6월 CPI가 전년 동월 대비 0.25% 하락한 100.42를 기록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연료 및 전기 등 에너지와 계란·신선 채소·과일 등 식료품 가격 하락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태국 상무부는 이러한 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디플레이션 우려는 없다고 평가했다. 7월에도 물가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3분기 CPI 역시 2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플레이션 둔화의 배경으로는 중동 지역에서의 휴전 합의 이후 두바이산 원유 가격 하락이 지목되고 있다. 이와 함께 5월부터 8월까지 적용된 전기요금 인하(킬로와트시당 3.98바트, 약 0.12달러), 신선 채소 공급 확대, 대형 유통업체들의 판촉 활동 등도 물가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 상무부는 올해 연간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이 0~1% 범위에서 형성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중간값은 0.5%로 제시했다. 한편, 태국상공회의소대학교 타나왓 폰위차이(Thanavath Phonvichai) 총장은 CPI가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기술적 디플레이션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올해 1~5월 기준 근원 인플레이션이 전년 동기 대비 0.97% 상승한 점은 소비 여력 회복의 신호로 해석된다. 타나왓 총장은 상반기 경제성장률이 2%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며,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하해 통화정책을 완화하고, 정부는 배정된 예산을 활용해 신속한 경기부양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주태국 대한민국대사관과 유엔 아태 정보통신교육원, 아세안 지역 공공부문 혁신을 통한 디지털 전환 촉진 포럼 개최 (사진출처 : Matichon) 7월 17일,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 아시아·태평양 정보통신교육원(UN-APCICT)와 공동으로 방콕 칼튼호텔에서 동남아시아 지역 공공부문 혁신을 통한 디지털 전환 촉진 포럼을 개최하고 디지털 혁신 역량 강화와 지역 협력 증진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아세안 회원국 및 국제기구 관계자들은 디지털 전략 전환과 인공지능 그리고 인적자원 개발 전략 공유에 관심을 표명했다. 이번 포럼에는 박용민 주태국 대한민국대사, 린 양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 (UNESCAP) 사무차장, 다누차 피차야난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 사무총장이 개회사를 했다. 개회사에서 디지털 기술이 공공부문 혁신과 포용적 성장을 촉진하고 아세안 역내 협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포럼의 첫 번째 세션에서는 브루나이·인도네시아·라오스·한국·태국 대표들이 공공 서비스 효율성 개선, 시민 참여,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두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공공부문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각 국의 전략을 공유했다. 발표자들은 제도적 역량 격차, 지역 불평등, 사이버 보안위험 등의 공통적 과제를 논의하고,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명확한 정책 프레임워크와 국경 간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은 ‘AI 기반 공공서비스 제공’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인도네시아·라오스·태국·대한민국 그리고 아세안사무국 대표들이 의견을 공유했다. 패널들은 공공부문의 대응력 강화,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 및 시민참여 증진에 있어 AI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으며, 공공행정에서 AI의 책임 있는 활용을 위한 윤리적·규제적 프레임워크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AI 개발과 적용의 균형, 공공·민간 파트너십, 데이터 주권 관리와 개방성 그리고 디지털 인재양성과 같은 주요 쟁점들도 논의되었다. 아세안 사무국은 AI 거버넌스 지침과 책임 있는 AI 로드맵을 포함한 최근 이니셔티브를 소개하며 장기적인 지역 협력에 대한 광범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포럼은 아세안 회원국들 간의 구체적인 사례를 공유하고 관계를 강화하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했으며, 급속한 기술 변화 시대에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디지털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공동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สถานทูตเกาหลีจับมือ UN-APCICT จัดเสวนา ส่งเสริมการเปลี่ยนผ่านสู่ดิจิทัล ผ่านนวัตกรรมภาครัฐในอาเซียน / Matichon, 7.18,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matichon.co.th/foreign/news_5281205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인천공항공사 '태국 북부방콕대와 차세대 항공전문가 양성 위한 교육협력 MOU' 체결 [사진=인천공항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 18일 태국 북부방콕대학교와 태국 내 차세대 항공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앞으로 3년간 ▲정기 교육과정 개발·운영 ▲공동 마케팅 ▲강사 교류 및 교육정보 교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한다. 북부방콕대학교는 2000년 설립된 민간 종합대학으로, 항공서비스·디지털혁신·호텔·외식경영·영어교육 등 실무 중심의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공사는 태국 및 동남아지역의 급증하는 항공교육 수요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처 : 미디어 인천신문> ▶ 쑤완나품 국제공항, 취항 항공사 수에서 세계 1위, 113개 항공사 취항 (사진출처 : MGR Online) 지도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Brilliant Maps'와 비행 데이터 서비스 'FlightConnections'의 조사(2025년 4월 16일 기준)에 따르면, 방콕 쑤완나품 국제공항(Suvarnabhumi Airport, BKK)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항공사가 취항하는 공항(the world’s top airports with the most airlines operating scheduled flights)’부문에서 세계 1위에 선정됐다. 쑤완나품 공항에는 113개 항공사가 정기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2위인 파리 샤를드골 공항(CDG)은105개 항공사가 정기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인천 공항은 80개 항공사 취항으로 11위에 선정됐다. 항공사가 많이 취항히고 있는 세계 11대 공항(2025년)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태국 쑤완나품 공항(BKK) 113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51,699,104명 -2위 프랑스 파리 샤를드골 공항(CDG) 105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67,421,316명 -3위 두바이 국제공항(DXB) 97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86,994,365명 -4위 터키 이스탄불 공항(IST) 93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76,236,980명 -5위 이탈리아 로마 피우미치노 공항(FCO) 92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40,545,240명 -6위 이탈리아 밀라노 말펜사 공항(MXP) 86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26,100,000명 -7위 중국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PVG) 83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54,476,397명 -8위 일본 나리타 국제공항(NRT) 83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32,705,995명 -9위 싱가로프 창이공항(SIN) 82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58,900,000명 -10위 독일 프랑크푸르트 공항(FRA) 80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59,359,539명 -11위 인천 국제공항(ICN) 80개 항공사 취항, 연간 이용 승객수 56,131,064명 쑤완나품 공항은 항공사 취항 수에서는 1위이지만, 여객 수와 취항 도시 수에서는 다른 공항에 비해 열세에 있다. 하지만 이 통계는 태국이 세계적인 항공 허브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대한세팍타크로협회, 태국 랑싯스쿨과 전지훈련 업무 협약 체결 태국 랑싯스쿨과 업무 협약을 체결한 대한세팍타크로협회 [대한세팍타크로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대호 기자 = 대한세팍타크로협회(회장 김영진)는 지난 18일 태국 방콕 인근의 세팍타크로 특성화 학교인 랑싯스쿨과 국가대표 전지훈련 및 국제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 대한민국 세팍타크로 국가대표팀의 전지훈련 유치 ▲ 국제 교류전 및 공동 훈련 프로그램 운영 등이다. 김영진 대한세팍타크로협회장은 이날 직접 랑싯스쿨을 방문해 현지 체육 관계자들과 교류하며 협력을 구축했다. 김 회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은 단기 훈련 협조를 넘어 대한민국 세팍타크로의 장기적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 태국 공항 출입국관리사무소, 방학 기간 몰려드는 중국 및 기타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가족우선 입국심사대 운영 (사진출처 : Ch7Plus) 7월 20일 청론 림파디 제2출입국관리사무소 국장은 태국의 관광 비수기인 방학 기간 중 태국으로 여행 오는 중국인 및 외국인들을 위해 수완나품·던므엉·푸껫·치앙마이 공항에서 ‘행복한 중국 여름철 채널(Happy Chinese Summer Channel)’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가족 단위로 입국하는 중국 및 기타 여행객들을 위해 ‘가족우선 입국심사대’를 운영하는 것이다. 7월부터 9월까지 방학 기간을 맞아 중국인 학생들을 비롯해 미국·영국·캐나다 등에서 태국 입국이 증가하고 있다. 통계를 보면 중국 학생과 학부모가 하루 평균 1,300명 정도 입국하는데 이중 600명이 12세 미만이라고 한다. 타 국가 학생과 학부모도 하루 약 1,000명이 입국하며 그 중 약 500명이 12세 미만이다. 이에 공항 출입국관리사무소는 특별 입국라인을 만들어 이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대상자는 귀국일자와 숙박지가 명확한 가족여행객들로서 비자연장(Visa Run)을 위한 인근 국가 여행 이력이 없는 자이다. 이를 통해 최대 40분의 입국심사 대기시간을 약 15분으로 단축할 수 있다. 한편 공항 출입국관리사무소는 모든 범죄 위험 집단과 회색 집단에 대한 입국심사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올해 1만 명이 넘는 사람들의 입국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이렇듯 공항 출입국관리사무소는 기존과 같은 안정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관광 활성화 정책을 추진해 태국 경제에 기여하고자 한다. (ตม.สนามบิน ต่อยอดช่อง นร.จีน รับเด็กชาติอื่นด้วย หลังพบแห่เที่ยวไทยเพิ่มช่วงปิดเทอม / CH3, 7.20, 온라인,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ch3plus.com/news/social/morning/444124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美 관세 협상 실패 시, 태국 경제성장률 1.2% 이하로 하락 (사진출처 : Bangkok Post) 카시콘리서치센터(K-Research)는 태국 정부가 미국과의 상호 관세 협상에서 인근국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2% 또는 그 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현재 K-Research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4%로 유지하고 있으나, 하반기 경기 침체 가능성과 대외 리스크를 반영해 하향 조정 가능성을 언급 (중국발 항공편이 연초 대비 7% 감소하는 등 관광 회복의 뚜렷한 신호가 없고, 소비자 신뢰 저하와 은행 대출 감소로 내수도 여전히 부진) 카시콘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수출은 상반기 급증 이후 하반기부터는 부정적인 흐름으로 전환, 두 자릿수 감소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했다. (상반기 수출 증가의 주요 원인은 미국 관세 인상 전 선출하 효과(front-loading)로 분석) 카시콘리서치센터는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 재검토가 필요하다면서, 이전 쁘라윳 정부의 ‘반반 코페이(Co-payment)*’ 정책 같은 내수 부양책을 제안했다. *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도입한 내수 진작 정책으로, 국민이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정부가 동일 금액(일일 한도 내)을 보조하는 방식의 소비 장려 프로그램. 소상공인 매출 증대와 소비 진작에 기여한 바 있음 한편, UOB 증권은 “미국이 최종적으로 태국 수출품에 부과할 관세율은 베트남(20%), 인도네시아(19%), 말레이시아(24% 예정)와 유사한19~25% 수준이 될 것”이라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관세를 낮출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71040/k-research-puts-gdp-growth-at-1-2-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전기요금 인하 대신 현행 유지안 검토…Egat·PTT 부채 상환이 우선 (사진출처 : Thai Publica) 태국 에너지규제위원회(ERC)는 2025년 9월부터 12월까지 적용할 전기요금에 대해 현행 수준인 kWh당 3.98바트를 유지하는 방안을 유력안으로 제시했으며, 이에 대한 국민 의견을 7월 17일부터 28일까지 온라인으로 수렴 중이라고 밝혔다. * 제시된 3가지 요금안은 3.98바트, 4.87바트, 5.10바트이며, 이 중 3.98바트는 가장 낮은 수준. 연료비 하락, 환율 강세, 전력 수요 감소 등 요금 인하 요인이 존재하지만, 전력공사(Egat)와 국영 에너지기업 PTT의 누적 적자 상환 필요성이 더 우선적으로 고려된 결과 에너지규제위원회에 따르면, 과거 요금 인하 정책으로 Egat은 약 660억 바트, PTT는 150억 바트 이상의 손실을 입었으며, 이번 요금 조정안은 이 손실의 상환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구성된다. 반면, 2025년 9~12월은 전기요금 인하 여건이 비교적 우호적이다. (가스 가격은 백만BTU당 313바트 → 299바트(-4.5%), 석탄(Lignite) 가격은 7% 하락, 전력 수요는 8.2% 감소, 환율은 달러당 32.9바트로 절상 전망) 최종 전기요금은 국민 의견 수렴 종료 이후인 8월 말에 결정될 예정이며, ERC는 세 가지 요금안 중 하나를 공식 채택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71044/commission-to-maintain-current-power-tariff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캄보디아 국경에서 태국 육군 병사 3명 지뢰 밟아 부상 입어, 양국간 책임 공방 (사진출처 : PPTV) 태국과 캄보디아 국경 지대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 사고를 둘러싸고 양국 간 책임 공방이 격화하고 있다. 지뢰를 어느 국가가 왜 매설했는지 미궁에 빠진 가운데 양측이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며 정면충돌하고 있다. 양국 간 외교적 긴장이 군사적 위기감으로까지 번지는 분위기다. 지난 16일 캄보디아 국경 인근 동북부 우본랏차타니도 남위안 지역에서 지뢰가 폭발하면서 순찰 중이던 태국 병사 3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가운데 한 명은 다리를 절단하는 중상을 입었다. 태국군은 사고 직후 해당 지역을 집중 수색했고, 20일까지 대인지뢰 8개와 집속탄(클러스터 폭탄) 수십 개를 추가로 발견했다. 쏨촉 지뢰제거부대 사령관은 “지뢰가 40~90㎝ 간격으로 묻힌 뒤 나뭇잎으로 덮여 있었다”며 “모두 최근 매설된 흔적이 있다. 오래전 설치됐다면 잡초로 뒤덮여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국 정부는 지뢰 매설 주체로 캄보디아를 지목했다. 양국이 영유권을 다투는 지역에 캄보디아 측이 병력 이동을 저지할 목적으로 고의로 지뢰를 묻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지뢰 발견 지점이 캄보디아군 참호로부터 불과 150m 떨어진 점도 근거로 제시됐다. 태국과 캄보디아는 지난 5월 말 남위안 일대에서 영유권을 둘러싸고 서로 총격전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캄보디아 병사 한 명이 사망했다. 이어 훈센 전 캄보디아 총리가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와 통화한 내용을 고의로 유출시킨 뒤 태국 내 정치적 후폭풍이 일면서 양국 관계는 급속히 냉각됐다. 파나 태국 육군참모총장은 “이번 행위는 명백한 도발”이라며 “태국이 군사·외교적으로 보복 조치를 취할 정당한 근거가 된다”고 밝혔다. 태국 정부는 캄보디아가 대인 지뢰 사용을 금지한 오타와 협약(반인도적 지뢰금지협약)을 위반했다며 유엔에 제소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런 태국측 주장에 대해 캄보디아는 이를 전면 부인했다. 캄보디아 국방부는 20일 “태국이 근거 없는 비난을 하고 있다”고 일축했고, 외교부는 “국가 주권을 침해하는 어떤 행위도 강력한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뢰 출처와 실체를 둘러싸고 양국 주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두 나라는 국경 수비 병력을 늘리고 있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7월 18일 태국 뉴스

2025/07/18 14:33:06

▶ "태국, 미국산 제품 90%에 무관세 제안키로…5년내 무역균형" "美 디지털서비스 기업 면세…LNG·항공기·농산물 수입 확대도 제안 가능" 태국 방콕 왕궁 거리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미국과 관세 협상 중인 태국이 36%의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산 수입품의 90%에 관세 철폐안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태국 측 협상단 관계자가 말했다. 차닌트 찰리사라퐁 태국 상공회의소 부회장은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과 인터뷰에서 태국이 관세 인하를 위해 미국에 3번째 제안을 할 예정이라며 1만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철폐가 포함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를 통해 향후 3년 내 태국의 대미 무역 흑자를 지금의 30% 수준으로 낮추고, 5년 내 무역 균형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또 미국 디지털 서비스 기업에 대한 세금 면제와 액화천연가스(LNG), 보잉사 항공기, 미국산 곡물·농산물 수입 확대도 포함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신 태국은 관세율을 18∼20% 수준으로 끌어내리길 원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제안은 실질적이고 실현할 수 있는 안이 될 것"이라며 "미국이 받아들일 만한 수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태국은 미국산 제품 60%에 무관세를 적용하고, 7∼8년 안에 무역 균형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찰리사라퐁 부회장은 "태국의 이번 제안은 인도네시아나 베트남보다 더 큰 양보일 수 있다"며 "태국은 제조업 기반 국가로서 미국산 원재료를 더 많이 수입해 가공 후 재수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했다. 태국 입장에서 미국은 최대 수출 시장으로 전체 수출의 약 18%를 차지한다. 흑자 규모도 커 지난해 기준 태국의 대미 무역 흑자는 456억 달러(약 63조4천억원)에 달했다. 이 때문에 미국은 태국에 36%의 고율 관세를 예고했다. 반면 태국의 경쟁국인 베트남(20%)과 인도네시아(19%)는 미국과 무역 협상을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에 합의한 상황이다. 태국 내에서는 미국과 무역 협상에 실패해 지금의 고율 관세가 적용될 경우 대미 수출이 급감하면서 경제성장률도 최대 1%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 태국 하원, 3개 사면 법안 통과…왕실모독죄 적용 여부에 갈등 (사진출처 : Infoquest) 태국 하원은 최근 정치 갈등 해소를 위한 사면 법안 5건 중 3건을 통과시키고, 과거 시민사회 네트워크 및 전진당(MFP)이 제출했던 2건은 부결시켰다. (쟁점은 형법 112조(왕실모독죄) 적용 여부) * 통과된 3개 법안은 루암타이쌍찻(UTN) 의원 위차이 솟사왓, 클라탐당(Klatham) 의원 프리다 분쁠렁, 품짜이타이당(BJT) 대표 아누틴 찬위라꾼이 각각 발의한 것으로 모두 112조 위반에 대한 사면 제외 조항을 포함하고 있음 하원은 통과된 3개 법안을 심사할 32인 특별위원회를 구성했으며, 루엄타이쌍찻당 법안이 심사 기본안(primary version)으로 채택되었다. 한편, 부결된 국민당(PP)과 시민사회 네트워크가 제출한 법안은 112조 피고인도 사면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로 다수 반대에 부딪혔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 측은 “112조를 제외한 사면은 특정 세력에게만 유리한 편파적 조치”라며 반발했고, 국민당은 “정치 갈등의 진정한 해소를 위해서는 포괄적 사면이 필요하다”며 위원회 심사 과정에서 차별적 조항을 막겠다고 밝혔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3070330/mps-back-amnesty-bill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중앙은행, 태국 관광 활성화를 위해 암호화폐 샌드박스 출시 (사진출처 : The Nation)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중앙은행과 협력하여 외국인 관광객이 디지털 자산을 태국 바트로 교환하고 태국 내 지출에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 샌드박스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이니셔티브는 관광을 활성화하고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 외국인 관광객에게 더 큰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태국에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관광객에게만 적용된다. 이 관광객은 자금세탁방지기구(AMLO) 기준에 따라 고객신원확인(KYC) 절차를 거쳐야 하며 QR코드 결제 등의 방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거래소에서 얻은 바트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외국인 관광객은 태국 QR코드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규모 판매자 (예: 노점상 또는 시장 판매자)에게 결제할 수 있으며 1인당 월 결제 한도는 50,000바트이다. 2. Know Your Merchant (KYM) 절차를 거친 판매자에게 결제 시 월 결제 한도는 1인당 500,000바트입니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자산(DA)의 사용 및 소유가 크게 증가했다. 2024년 디지털 자산 보유자 수는 5억 8,000만 명에서 6억 1,700만 명으로 6.38% 증가했으며 디지털 자산의 시가총액은 약 3조 7,000억 달러로 정점을 찍었다. 출처: https://www.nationthailand.com/business/digital-assets/40052606 <출처 : KTCC> ▶ 태국, 선박용 바이오연료 상용화 본격 추진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주요 에너지 기업들이 선박용 바이오연료 시장 진출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가 2028년까지 선박 연료의 17.6~23.3%를 바이오연료로 혼합하도록 규정한 새 기준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 국영 에너지 기업 PTT 그룹과 방착 그룹(Bangchak)은 이미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생산에 나선 데 이어, 해운 연료 부문까지 사업을 확대 중이다. PTT 산하 OR(PTT Oil and Retail)는 태국 선사 Regional Container Lines(RCL)과 협력해, 폐식용유와 초저유황중유(VLSFO)를 혼합한 ‘Bio-VLSFO’를 공급, 이 연료는 IMO의 황산화물(SOx) 배출 저감 규제에 부합하며, 친환경 연료로서 상용 확대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 현재 VLSFO는 기존 중유보다 가격이 높지만, 생산 규모 확대에 따라 향후 가격 하락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방착 그룹도 자회사 BSRC(방착 스리라차 정유소)를 통해 ‘B24’라는 선박용 바이오연료를 생산·판매 중, B24는 폐식용유에서 추출한 바이오디젤 메틸에스터 24%와 VLSFO 76%를 혼합한 저탄소 연료로, 선박 엔진 및 주유 인프라의 추가 개조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 방착은 올해 초 총 470톤의 B24 연료를 일본 NYK 트레이딩에 공급했으며, 해당 연료는 국제 지속가능성 및 탄소 인증(ISCC)을 획득 한편, 에너지사업국(Department of Energy Business)도 해당 산업의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으며, 국내 해운 연료 시장의 바이오연료 전환 가능성에 대해 정책적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70554/biofuel-for-ships-yields-promise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정부, THC 기준치 초과 대마초 함유 사탕 단속 강화 (사진출처 : The Nation) 지난 7월 14일에 정부 대변인은 정부가 THC 기준치를 초과하는 대마초 추출물이 함유된 젤리 캔디와 기타 사탕류에 대한 단속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부대변인 Sasikarn Watthanachan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법적 기준치를 초과하는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 THC)과 칸나비디올(Cannabidiol - CBD)이 함유된 식품, 음료, 사탕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식약청(FDA)과 전국 지방 보건소가 협력하도록 지시했고 대마초 추출물이 함유된 제품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기를 했다. 또한 보건부는 마약단속국(Narcotics Suppression Bureau)과 마약통제위원회(Office of the Narcotics Control Board)에 전국 대마 판매점의 법규 준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했다. 정부는 허가 없이 대마초를 음식에 섞거나 THC 함량을 경고하는 명확하고 정확한 라벨을 부착하지 않으면 음식이나 과자를 판매하는 상점 주인이 법적 조치를 받을 수 있으며 위반자는 최대 3만 바트의 벌금이나 3년 이하의 징역형 또는 두 가지 처벌을 모두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THC 함량이 법정 한도를 초과한 제품을 판매하다 적발된 사람은 최대 2만 바트의 벌금이나 최대 2년의 징역형 또는 두 가지 처벌을 모두 받을 수 있다. 출처: https://www.nationthailand.com/news/general/40052539 <출처 : KTCC> ▶ 태국, 美 36% 관세 회피 위해 추가 수정안 제시…10~20% 수준 절충 기대 (사진출처 : TNN Thailand) 태국 정부는 미국이 예고한 36%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추가 수정안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이번 협상은 8월 1일 관세 발효 전 최종 조율을 위한 것으로, 태국은 관세 면제를 포함한 다양한 수정안을 준비. 역내 경쟁국들과 유사한 수준으로 관세율을 조정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 피차이 춘하와치라 재무장관은 수정안의 세부 조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의 화상 회담에서 미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면제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태국은 이미 대미 무역흑자 축소를 위해 ① 미국산 제품 90%에 대한 수입관세 철폐, ② 비관세 장벽 제거, ③ 미국산 농산물·에너지·항공기 구매 확대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양보안을 제시한 바 있음 또한, 피차이 장관은 이번 주 초, 미국산 롱간(longan) 및 틸라피아(tilapia) 등 일부 수입 농수산물에 대해 관세율을 0%로 낮출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관세율 10%를 목표로 협상하되, 10~20% 수준은 수용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인도네시아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기존 32% 관세를 19%로 인하하는 데 합의했으며, 보잉 항공기 50대 구매를 포함한 대규모 미국산 제품 수입 계획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은 이미 20%의 관세율을 적용받고 있으며 추가 인하를 위한 협상이 진행 중, 말레이시아는 25%, 필리핀은 기존 17%에서 상향된 20%의 관세율을 적용받고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70280/thailand-makes-fresh-proposals-to-reduce-us-tariff-pain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연내 도입하려던 외국인 입국세 내년으로 연기 (사진출처 : Nate News) 현지 매체 네이션에 따르면 태국 관광체육부는 입국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징수하는 입국세 시행을 2026년 2분기 또는 3분기 중 시행하는 것으로 연기했다고 밝혔다. 관광체육부 차관은 "현재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시행 시점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이 내려졌다"라며 "성수기인 올해 4분기의 국제 관광 수요를 지켜본 뒤 구체적인 결정을 내리려 한다"라고 설명했다. 태국은 이전부터 관광세 부과를 여러 차례 추진했으나 관광업계 반대 등으로 무산됐다. 지난 2월에는 태국 내각에서 입국하는 외국 관광객에게 입국 시 1인당 최대 1만 3천 원을 받는 관광세를 연내 도입하기로 했지만, 다시 연기됐다. 태국 정부는 관광객 입국세를 관광지 개선이나 외국인 방문객 대상 보험 지원 등에 활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태국에서 관광은 직간접적으로 국내총생산(GDP)과 일자리의 약 20%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직전인 2019년에는 연간 4천만 명의 외국인이 태국을 찾았지만, 2021년엔 43만 명, 2019년의 1/100 수준으로 급감하면서 경제도 크게 흔들렸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3천5백만 명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출처: https://news.nate.com/view/20250715n29803 <출처 : KTCC> ▶ 태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대비 국영기업 개혁 본격화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가입을 본격 추진하면서, 국영기업 전반에 대한 구조 개편과 공정 경쟁 체계 도입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재무부에 따르면, 현재 정부는 OECD 기준에 부합하는 사전 협정안을 준비 중이며 국영기업은 시장가격 기반의 입찰 시스템과 자회사-모회사 간 거래의 투명성 강화 등에서 기준을 맞춰야 한다. OECD는 태국 국영기업의 다양한 조직 형태(공사형, 주식회사, 공공조직 등)에 대해 ‘주식회사 형태’로의 단일화를 권고하고 있어, 직원 처우 등 기존 구조와의 충돌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지난 6월에는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와 OECD가 공동 워크숍을 개최, 제14차 국가개발계획(2028~2032년)의 글로벌 변화 대응 전략도 함께 논의됐다. * 2025년 12월까지 OECD에 사전 양해각서(MOU)를 제출할 예정이며, 관련 부처들이 협정 초안을 마련 중임 현재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한국만이 OECD 회원국이며, 인도네시아는 가입 절차 중, 태국은 작년 가입 의향서를 제출했으며, 정식 가입까지는 통상 7~8년이 소요된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70518/state-firms-warned-of-reform-ahead-of-oecd-membership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관광업계, 일본, 한국 관광객 수 작년보다 줄 것으로 우려 (사진출처 : Prachachat) 태국 관광업계는 한국과 일본 관광객이 2024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바트화 강세, 베트남과의 경쟁 그리고 양국의 경제부진 등 부정적인 요인들이 소비력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이번 주말 여당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다. 한편 미국과의 관세협상에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소비 진작을 위해 국민들에게 최소 15만원의 현금 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아딧 태국여행사협회(ATTA) 명예사무총장은 엔화 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일본의 경제문제가 더 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해외여행을 하는 일본인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아딧 명예사무총장은 태국이 저렴한 관광 상품과 호텔, 새로운 관광지를 선보이는 베트남과의 경쟁으로 타격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새해 연휴 기간 방콕을 출발한 제주항공 항공기 추락사고도 여행 심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작년 태국은 한국 관광객 180만 명과 일본 관광객 100만 명을 맞이했다. 올해 상반기 한국 관광객 수는 17% 감소한 78만 명을 기록해 5위를 차지한 반면, 일본은 8% 증가한 51만 명을 기록해 8위를 차지했다. 한편 올해 5개월 동안 베트남은 한국 관광객 190만 명, 일본 관광객 34만 2천명을 유치해 태국을 넘어섰다. 타넷 촌부리관광협회 회장은 올해 초부터 파타야를 방문한 일본 관광객 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한국 관광객 수는 20~30% 감소했다고 밝혔다. 그는 엔화 약세와 지리적 이점이 한국 관광객들을 태국보다 일본으로 더 끌어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상반기 일본은 2,15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수치이다. 항공편 확장과 저렴한 물가 덕분에 베트남으로 몰려드는 한국인들도 늘어났다. 그는 한국 여행사에서 판매하는 파타야의 호텔비가 베트남보다 비싸다고 말했다. 또한 타넷 회장은 바트화 강세가 관광객들의 소비를 저해하고 있어서 하반기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촌부리관광협회는 촌부리 지역 관광활성화를 목표로 어제 촌부리 관광 박람회를 개최했다. 100여 명의 해외 바이어와 300~400명의 태국 판매자들이 참석했다. 추윗 태국관광청(TAT) 동아시아 담당이사는 올해 한국 관광객이 170~180만 명, 일본 관광객이 1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태국관광청(TAT)은 일본의 고액 소비층, 럭셔리 부문과 한국의 인센티브 그룹의 태국 방문을 육성하고 있다. (Unease over Japan, South Korea market / Bangkok Post, 7.18, B3면, Molpasorn Shoowong,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71064/unease-over-japan-south-korea-market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7월 17일 태국 뉴스

2025/07/17 12:45:34

▶ 불교국가 태국서 고위급 승려들 유혹해 100억대 갈취 여성 체포 원로급 스님 9명 승려직 박탈…30대 여성, 164억원 챙겨 도박에 탕진 태국서 고위급 승려들 유혹 100억대 갈취 여성 체포 태국 경찰이 지난 15일(현지시간) 태국 중부 논타부리주에서 여러 고위급 승려들을 유혹, 협박해 금품을 뜯어낸 여성(가운데)을 체포하는 모습. 2025.07.16 [방콕포스트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태국에서 유명 사찰의 주지 스님 등 고위급 승려들을 다수 유혹해 은밀한 관계를 맺고 거액을 갈취한 여성이 붙잡혔다. 불교 국가인 태국에서 일반 승려 관련 사건은 드문 일이 아니지만, 이번처럼 고위직 승려들이 무더기로 연루된 사건은 매우 이례적이어서 태국 불교계가 큰 충격을 받고 있다. 16일(현지시간) AP 통신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태국 경찰은 전날 태국 중부 논타부리주의 한 고급주택 단지에 사는 30대 중반 여성 위라완 엠사왓을 갈취, 자금 세탁 등 혐의로 체포했다. 경찰은 위라완이 금전적 이익을 위해 고위급 승려들을 표적으로 삼아 유혹, 이들과 연애 관계를 시작한 뒤에 이들로부터 거액의 돈을 송금받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경찰이 압수한 위라완의 휴대전화 5대에서는 그가 여러 유명 사찰의 고승들과 함께 찍은 사진·영상 8만 건, 여러 스님과 은밀한 관계를 맺고 이를 이용해 협박·갈취한 사실이 담긴 수많은 채팅 기록 등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위라완은 지난달 말 방콕 한 유명 사찰의 주지 스님이 잠적했다가 이후 환속한 것을 계기로 수사 대상이 됐다. 경찰은 위라완이 이 스님과 내연 관계가 됐다가 자신이 임신했다면서 양육비 등 720만 밧(약 3억700만원)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한 사찰의 60대 주지 스님은 지난 2월 자신의 사찰 계좌에서 38만 밧(약 1천620만원), 개인 계좌에서 1천280만 밧(약 5억4천700만원)을 각각 위라완에게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스님은 지난 14일 승려 생활을 그만뒀지만, 자신은 위라완과 사적인 관계를 가진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위라완은 자신이 승려 9명과 성관계를 가졌으며, 이 중 8명은 이후 환속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경찰에 따르면 위라완의 은행 계좌에는 지난 3년간 3억8천500만 밧(약 164억원)이 입금됐고, 위라완은 이 돈을 대부분 온라인 도박에 탕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이 사건에 연루된 주지 스님과 원로 스님 등 최소 9명이 승려 직에서 쫓겨났다면서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승려를 신고하는 페이스북 페이지를 개설했다고 밝혔다. 품탐 웨차야차이 총리 권한대행은 이번 사건으로 타격받은 불교계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관련 당국에 사찰 재정 투명성 제고 등 승려·사찰 관련 법 규정 강화를 검토하도록 지시했다고 지라유 후앙삽 태국 정부 대변인이 전했다. ▶ 태국 중소기업, 미 관세 여파에 폐업 위험 확대 (사진출처 : kasikornresearch.com) 카시콘리서치센터(K-Research)는 최근 미국과의 상호 관세 재협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태국 중소기업(SME)이 수익성 악화 및 경쟁 심화로 인해 폐업 위험에 처해 있다고 분석했다. *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자본금 1억 바트 미만 소기업의 폐업 수는 매년 평균 7% 증가 (2021년 19,237건 → 2022년 21,764건 → 2023년 23,280건 → 2024년 23,551건) 카시콘리서치는 “무역 긴장 재점화, 침체된 내수시장 속 수입품 증가, 태국 경제의 구조적 한계 등 복합 요인으로 인해 중소기업, 특히 소규모 기업의 경영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크게 제조업과 서비스업 업종이 위험에 처해있다고 판단되며, 구체적으로 전기 가전제품, 철강 및 관련 제품, 건설, 식품 서비스, 농업 등의 분야 경쟁력 악화가 우려된다. 한편, 태국중앙은행(BOT)은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과 태국 내 구조적 제약이 중소기업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일부 기업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전환이나 미국 이외 수출 시장 개척 등 대응 노력을 강화 중이라고 밝혔다. * 예를 들어, 일부 농업 관련 기업은 동물사료 산업 진출 또는 프리미엄 가공식품 생산으로 사업 방향을 전환하고 있으며, 대체 수출국 탐색도 진행 중 또한, 태국중앙은행은 중소기업들과의 대화를 통해 인건비 및 원자재 비용 상승, 수익성 저하, 내수 부진 등의 현장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69044/pundits-see-smes-facing-tough-time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CP Axtra, aT와 손잡고 태국시장 진출 위한 혁신적인 한국식품 개발 (사진출처 : Thansettakij) CP Axtra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사업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한국산 프리미엄 제품들을 선정해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타닛 지야라와논 마크로 타일랜드(Makro Thailand) CEO 겸 CP Axtra CCO(상업부문 최고책임자)와 홍문표 aT 사장은 한-태 무역 강화에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는 업무협약에 서명했다. 업무협약은 식품 유통, 제품 개발, 수출업체 자문, 바이어의 한국방문 지원 등을 포괄하고 있다. 양측은 태국 시장에서 잠재력이 높은 한국 식품 선정, 유통채널 확대를 위한 마케팅 활동 지원, 정보 교류를 위한 컨설팅팀 구성, 홍보비용 등에 대한 전략을 공동 수립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은 마크로·로터스 같은 전국 유통망을 통해 태국 소비자들에게 한국의 농산물 식품을 소개하고자 하는 양측의 비전과도 일맥상통함. 태국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을 더욱 편리하게 접하고, 선택의 폭을 넓히며, 더욱 풍성한 미식 경험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번 협력은 한식의 정통성을 유지하면서 태국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국 식재료와 태국의 풍미를 결합한 신제품 공동개발에 대한 기회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이번 업무협약은 글로벌 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품질을 향상시켜 태국 고객들에게 가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CP Axtra 의 핵심전략과도 일치한다. (ซีพี แอ็กซ์ตร้า ผนึกกำลัง aTปั้นนวัตกรรมอาหารเกาหลีสู่ตลาดไทย / Thansettakij, 7.15,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thansettakij.com/business/marketing/632890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선관위, 탁신 개입 논란 관련 프아타이 해산 청원 검토 중 (사진출처 : PPTV) 최근 선거관리위원회(EC)가 프아타이당과 전 세타 정부 연정 참여 6개 정당에 대해 정당 해산 청원을 접수하고 조사 여부를 검토 중인 가운데, 프아타이당 주요 인사들은 탁신 전 총리의 정치 개입 의혹에 대해 “우려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사안은 2024년 8월 14일, 헌법재판소가 세타 타위신 전 총리의 직무를 박탈한 직후, 당시 연립정부 정당 대표들이 탁신의 방콕 자택에 모여 후임 총리 후보자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는 의혹에서 비롯됐다. (해당 정당들 중 상당수는 현재 프아타이 주도의 연립정부에도 참여 중) * 이 자리에서 탁신 전 총리가 총리 후보자 선출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으며, 이는 정당법 제29조(정당에 대한 외부인의 부당한 영향력 금지) 위반에 해당할 수 있음 품탐 웨차야차이 부총리 겸 내무장관(현재 총리 권한대행)은 당시 카자흐스탄 공식 방문 중이었기 때문에 회의 사실을 몰랐다고 해명했으며, 세타 전 총리가 헌재 결정 직후 귀국을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프아타이당 사무총장 사라웡 티엥통은 “탁신 전 총리에 대한 존경과 조언 요청은 있을 수 있으나, 정당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주장은 사실무근이며, 구조적으로도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선관위는 총 6건의 해산 청원서를 접수받아 7월 15일 회의에서 검토를 완료했으며, 향후 정식 조사 개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관련된 조사 패널의 구성 및 절차 등은 추후 발표될 예정)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3069705/key-figures-unfazed-by-axe-threat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NITMX 사, 카드 단말기 없이도 한국 관광객으로부터 결제 받을 수 있도록 해외QR결제시스템 전국 가맹점 지원 (사진출처 : Siamrath) 태국의 National ITMX 사는 7월 7일 한국 관광객을 위한 해외QR결제시스템 출시를 공식 발표했다. ‘가맹점용 QR코드’라고도 불리는 해외QR결제시스템을 통해 가맹점들은 신용카드 단말기 없이도 태국의 금융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한국 관광객으로부터 즉시 결제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야시장·푸드트럭·주요관광지 소규모 상인들이 한국 관광객들을 더욱 편리하고 빠르고 안전하게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한국과의 연결은 태국이 말레이시아·싱가포르·인도네시아·라오스·캄보디아·베트남·홍콩·일본에 이어 9번째로 해외QR결제시스템을 사용하는 국가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관광객들은 태국 QR코드 스캔을 지원하는 금융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대금을 즉시 결제할 수 있으며, 가맹점은 다음날 실시간 알림과 함께 바트화로 계좌이체를 받게 된다. 이 서비스는 무현금 결제에 익숙한 한국 관광객들의 소비 행태에도 부합하는 전략이다. 태국관광청(TAT)에 따르면 2025년 방태 한국인 관광객은 전체의 5위를 차지했으며 작년 입국자 수는 187만 명에 달했다. 이것은 한국 관광객들이 태국 관광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번 한국과의 QR코드 결제 시스템 연계는 태국중앙은행, National ITMX 그리고 제휴 은행 간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는 태국에서의 관광경험을 향상시키고, 태국을 전 세계 관광객들에게 무현금 사회로 개방해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NITMX เดินหน้าขยายระบบการชำระเงินข้ามประเทศ หนุนร้านค้าทั่วไทยรับนักท่องเที่ยวเกาหลีใต้โดยไม่ต้องมีเครื่องรับบัตร / Siamrath, 7.15,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siamrath.co.th/n/636448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방콕시, 분리수거 참여 가정에 요금 감면 (사진출처 : Greener Bangkok) 방콕시(BMA)는 쓰레기 분리수거 활성화를 위한 새 캠페인 ‘이 집은 쓰레기를 섞지 않습니다 (This House Doesn’t Mix Waste)’를 발표하고, 참여 가정에 월 최대 40바트(약 1.2 달러)의 쓰레기 수거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 본 캠페인은 10월부터 새롭게 적용될 수거요금 체계에 앞서 시행되며, 8월 1일부터 앱 및 웹사이트를 통한 공식 등록이 시작되며 대상은 일일 쓰레기 배출량이 20리터 이하인 단독주택, 공동주택, 콘도미니엄, 주택단지 및 커뮤니티 등이며, 개별 또는 단체 단위로 등록 가능 참여자는 음식물쓰레기, 재활용품, 유해폐기물, 일반쓰레기 등 4종으로 분리하여 배출한 뒤, 해당 분리상태를 사진으로 증빙해 ‘BKK Waste Pay Pay’ 앱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제출해야 한다. * 등록을 완료한 가정에는 1년 유효의 ‘참여 인증 스티커’와 음식물용 녹색 봉투가 제공되며, 월 수거요금이 60바트에서 20바트로 감면됨 (단, 분리수거 기준 미준수 시 6개월간 감면 혜택이 중단되며, 이후 재등록을 통해 복구 가능) 한편, 스마트폰이 없는 경우 방문 등록팀이나 지역 구청 공원위생과를 통해 오프라인 등록도 가능하며, 방콕시는 앱 내 지도를 통해 수거지점을 명확히 지정하고 수거 품질을 개선할 계획이다. 7월 14일 기준 11만 2,601가구가 이미 등록을 마쳤으며, 시민들은 ‘Traffy Fondue’ 플랫폼을 통해 쓰레기 관련 민원 접수도 가능하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3069785/waste-sorting-a-money-saver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파타야에서 태국 남부 출신 여성이 한국 남성에게 속아 대마초를 피고 젤리를 먹은 뒤 완전히 취해서 몸을 떨다가 결국 도망쳐서 시민들에게 도움을 요청 (사진출처 : Ch7) 한국 남성에게 속아 대마가 들어있는 젤리를 먹고 몸을 떨고 있던 한 태국 남부지방 여성을 경찰이 출동해 병원에 이송하기 전까지 태국의 선량한 시민들이 도와주었다. 7월 16일 오전 3시 36분, 촌부리 주 파타야 경찰은 방라뭉 군 넝쁘르 면 파타야 5번 골목에 한 여성이 심하게 대마에 취해 위험하다는 시민들의 신고를 받고 출동했다. 송클라 주 출신 부어 양(25세)이 약에 취해 몸을 떨고 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시민들은 그녀의 얼굴을 씻겨주고 정신을 차릴 때까지 야돔(비강흡입기)을 코에 갖다 댔다. 부어 양은 한국인 남성 손님과 같이 왔으며 그의 권유로 대마초를 3~4번 피우고 대마성분이 들어있는 젤리를 먹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이후 부어 양은 어지러움을 느끼며 구토를 했고, 집에 가고 싶다고 말했지만 한국 남성이 거부하자 방에서 뛰쳐나와 마을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고 했다. 파타야 경찰은 부어 양을 병원으로 데려가 치료를 받게 한 후 집으로 보냈다. 만약 부어 양이 법적절차를 진행하고 싶다면 이후에 경찰 수사관을 직접 찾아갈 수 있다고 밝혔다. (“หนุ่มเกาหลี” ลวง “สาวใต้” กินเยลลี่พี้กัญชาเมาหนัก ถูกรั้งตัวไม่ยอมปล่อย ต้องวิ่งหนีไปขอความช่วยเหลือจากชาวบ้าน / CH7, 7.16,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news.ch7.com/detail/815201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미국 여행전문지 'Travel+Leisure' 가 실시한 'World's Best Awards 2025'에서 치앙마이가 ‘아시아 최고의 도시’에 선정돼 (사진출처 : MGR Online) 태국 관광청(TAT)은 미국 여행전문지 'Travel+Leisure'가 실시한 'World's Best Awards 2025'에서 태국 북부 치앙마이가 '아시아 최고의 도시(Best City in Asia)'에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치앙마이는 독자 점수 91.94점을 얻어 아시아 부문 1위는 물론 세계 순위에서도 2위를 차지했다. 1위에 선정된 이유는 독자들로부터 ‘매우 친절한 사람들과 맛있는 음식(super cordial people and amazing food)’으로 칭찬을 받으며, 왓프라탓도이쑤텝(Wat Phrathat Doi Suthep)과 같은 사원, 활기찬 야시장, 아름다운 산악 풍경 등을 매력으로 꼽았다. 또한 윤리적인 코끼리 체험도 언급하며 ‘코끼리에게 먹이를 주거나 씻겨줄 수 있는 멋진 장소(a great place to see the elephants and to feed and wash them)’라는 평가가 나왔다. 한편, 수도 방콕도 높은 평가를 받으며 아시아 3위(91.34점), 세계 4위에 올랐다. 세계적인 미식, 유서 깊은 사원, 활기찬 시장과 밤문화 등 다양한 매력이 소개됐다. 독자들은 ‘가장 매혹적이며 아름압고 신나는 도시(the most fascinating, beautiful, and exciting city)’라고 평가했다. 또한 ‘아시아 최고의 섬’ 부문에서는 태국에서 2개 섬이 상위 5위 안에 선정됐다. 푸켓이 4위(89.47점), 꺼싸무이가 5위(89.31점)를 차지했다. 타빠니 태국 관광청장은 "치앙마이를 비롯해 방콕, 푸켓, 꺼싸무이가 여행자들의 기억에 남는 여행지로 선정된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태국이 제공하는 다양한 매력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Travel+Leisure World's Best Awards 2025'는 18만 명에 가까운 독자들의 투고와 65만 표 이상의 투표가 있었고, 관광지와 도시를 ‘관광지, 문화, 음식, 친근감, 쇼핑, 가성비’ 등의 관점에서 평가했다. Travel+Leisure가 선정한 2025년 아시아 최고의 도시 15곳은 다음과 같다. 1위 태국 치앙마이 91.94점 2위 일본 도쿄 91.39점 3위 태국 방콕 91.34점 4위 인도 자이푸르 91.33점 5위 베트남 호이안 91점 6위 일본 교토 90.61점 7위 인도네시아 우붓(발리) 90.48점 8위 캄보디아 씨엠립 89.27점 9위 인도 뭄바이 89.17점 10위 인도 아그라 88.44점 11위 일본 오사카 87.67점 12위 베트남 하노이 87.61점 13위 대만 타이베이 86.89점 14위 싱가포르 86.47점 15위 한국 서울 85.85점 ▶ 캄보디아, 전국 사기 작업장 단속 사흘만에 1천여명 체포 훈 마네트 총리 지시…인도네시아인·베트남인 등 외국인이 대다수 캄보디아, 사기 작업장 단속 사흘만에 1천여명 체포 지난 16일(현지시간) 경찰에 적발된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한 사기 작업장에서 용의자들이 손이 묶인 채 고개를 떨구고 있다. 2025.07.17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사기 산업의 세계적 중심지'라는 악명에 시달리는 캄보디아 정부가 대규모 사기 작업장 단속에 나서서 관련 용의자 1천여명을 붙잡았다. 17일(현지시간) AP·AFP 통신에 따르면 캄보디아 정부는 지난 14∼16일 실시한 온라인 사기·보이스피싱 등 사기 조직 단속을 통해 전국적으로 관련자 1천 명 이상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당국은 이 기간 수도 프놈펜, 캄보디아 북서부의 태국 국경과 인접한 도시 포이펫, 남서부 해안 도시 시아누크빌을 포함한 전국 여러 장소를 급습했다. 체포된 이들의 대다수는 외국인으로 인도네시아인 271명, 베트남인 213명, 대만인 75명 이상이 포함됐다. 이와 관련해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지난 15일 성명을 내고 "온라인 사기가 현재 전 세계와 이 지역에 위협과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면서 사법 당국과 군에 사기 예방·단속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 이 같은 지시를 이행하지 않는 당국 소속 인원은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런 움직임은 캄보디아에서 당국 묵인하에 사기 산업이 번성하고 있다는 국제 사회의 비판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는 보고서를 내고 캄보디아에서 대규모 사기 작업장 53곳을 확인하고 의심 장소 수십 곳을 파악했다고 발표했다. '범죄단지'로도 불리는 사기 작업장들은 취업 사기 등을 통해 끌어들인 수많은 각국 피해자를 감금하고 온라인 사기·보이스피싱 등 사기 범죄를 강요하거나 폭행·고문했다. 캄보디아 사기 산업은 현재 캄보디아 국내총생산(GDP)의 약 절반에 달하는 연간 125억 달러(약 17조4천억원) 이상을 창출하고 있다고 미국 싱크탱크 미국평화연구소(USIP)는 추산했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7월 16일 태국 뉴스

2025/07/16 13:30:54

▶ 국가부패방지위원회, 총리 윤리위반 조사 개시…헌재 이어 이중 심리 진행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국가부패방지위원회(NACC)는 패통탄 친나왓 총리가 캄보디아 훈센 상원의장(전 총리)과의 통화 녹취 유출 사건과 관련해 윤리 위반 혐의로 정식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 이번 결정은 NACC 위원 전원 만장일치로 내려졌으며, 독립적인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사실관계 확인 및 법적 판단 절차에 돌입 (헌법재판소는 7월 1일 상원의원들이 제출한 탄핵 청원을 받아들여 패통탄 총리의 직무를 정지시키고 심리에 착수한 바 있음) 해당 통화 녹취 음성파일은 패통탄 총리가 태국 제2군 사령관을 비판하고, 훈센 전 캄보디아 총리에게 과도하게 유화적인 입장을 보이며 국경 갈등과 관련된 민감한 발언을 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이에 따라 총리의 국정 리더십 및 헌법적 책무 위반 여부가 논란이 됐다. 국가부패방지위원회는 10일 이내 예비조사 시한을 설정했으며, 유출된 녹취 내용을 정확히 필사·번역하고, 관련 증인 진술 및 기존 헌법재판소 판례를 검토할 방침이다. (특히 세타 타위신 전 총리가 전과가 있는 피짓 추언반을 총리실 장관에 임명한 사례가 유사 윤리위반 사례로 참고되고 있음) 하지만 현재 조사는 아직 초기 단계로 국가부패방지위원회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피의자에게 소명 기회 부여 후, 혐의가 입증될 경우 공식 처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한편, 헌법재판소 나카린 멕뜨라이랏 소장은 “패통탄 총리는 윤리심판 관련 소명서 제출 기한 연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최소 한 차례의 연장은 일반적인 절차 관행”이라고 밝혔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3068932/nacc-takes-up-pms-phone-call-case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서 패싸움·베트남선 현지인 폭행…한국인 '추태' 물의 파타야 식당서 10여명 패싸움…하노이서 한국 여성 2명이 현지 여성에 폭력 태국 파타야서 한국인 관광객 패싸움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최근 태국, 베트남 등지에서 일부 한국인들이 패싸움을 벌이거나 현지인을 폭행하는 등 추태를 부리는 사례가 잇따라 현지에서 비판이 나오고 있다. 15일(현지시간) 파타야뉴스·파타야메일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지난 11일 태국 관광지 파타야의 한 식당에서 한국인 관광객 10명 안팎이 패싸움을 벌였다. 소셜미디어로 퍼진 영상에는 건장한 체격에 문신을 하고 웃통을 벗은 남성 등 여러 명이 서로 엉켜 주먹질하고 몸싸움을 벌이는 모습이 담겼다. 관광객 등이 많이 이용하는 대형 식당에서 이들이 싸움을 벌이자 많은 손님이 비명을 지르고 달아나는 등 아수라장이 펼쳐졌다. 출동한 현지 경찰은 한국인 관광객 4명을 연행해 조사했다. 이들은 같은 테이블에서 식사하다가 말다툼 끝에 싸움을 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식당은 패싸움 관련자들에게 내지 않은 밥값과 보상비 등 10만 밧(약 426만원)을 요구했고, 이들은 식당의 요구에 응해 이 돈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들을 공공장소에서 싸움을 벌인 혐의 등으로 기소해 벌금을 부과한 뒤 석방했다. 베트남 하노이서 한국인 여성들, 베트남인 여성들 폭행 [베트남뉴스(VNS)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또 같은 날 베트남 하노이의 한인타운인 미딩 지역의 한 즉석사진관에서도 한국인 여성 2명이 베트남인 여성 2명을 폭행했다고 뚜오이째·베트남뉴스(VNS) 등 현지 매체들이 전했다. 폐쇄회로TV(CCTV) 영상 등에 따르면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던 한국인 여성 중 1명이 앞서 사진을 찍고 있던 베트남인 여성을 손바닥으로 때리고 모자를 쳐서 떨어뜨리는 등 먼저 폭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양측 사이에 머리채를 잡는 등 몸싸움이 벌어졌으며, 가장 먼저 폭력을 행사한 한국인 여성이 넘어진 베트남인 여성을 발로 차기도 했다. 가게 직원 등에 따르면 한국인 여성들은 베트남인 여성들의 사진 촬영 시간이 남아 있었는데도 빨리 마치라고 소리를 지르고 재촉하면서 시비를 건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한국인 중 1명은 현지 한국 기업에 다니는 직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건의 장면이 담긴 CCTV 영상과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측의 설명의 담긴 게시물이 온라인에 퍼지면서 베트남 네티즌들은 분노하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건을 파악한 현지 경찰은 우선 영상을 검토하고 목격자 등을 상대로 조사했으며, 조만간 피해자들을 우선 조사할 방침이다.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일부 개인의 일탈에 가까운 이번 사건이 양국 국민감정에 나쁜 영향을 미칠까 봐 우리 대사관은 물론 베트남 측도 우려하고 있다"면서 "우리 국민이 베트남에서 각종 사건에 휘말리지 않게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인 여성, 베트남서 현지인 폭행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동영상 : http://cdnvod.yonhapnews.co.kr/yonhapnewsvod/202507/MCM20250716000005038_700M1.mp4 ▶ 태국 관광청, 관광수입 목표 하향 조정…2026년 3조 바트 회복 기대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관광청(TAT)은 2025년 관광 수입이 당초 목표였던 3조 바트(약 923억 달러)에 못 미치는 2.87조 바트(약 883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 중국 시장 부진과 글로벌 불확실성에 따른 결과로 올해 외국인 관광객은 약 3,550만 명, 외국인 관광 수입은 1.77조 바트, 내국인 여행 수입은 1.1조 바트 수준으로 집계 예측 태국 관광청에 따르면, 2025년 관광업은 중국의 치안 우려로 인한 수요 위축 속에서도 중동 등 신규 시장을 공략하고 소비 지출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전세기 유치 지원책과 글로벌 항공사와의 공동 프로모션을 통해 해외 관광 수요 회복을 추진 중이며, ‘26년에는 단순 방문객 수 확대보다 관광 수입 증대에 중점을 두고 전년 대비 최소 7% 증가한 3조 바트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관광청은 향후 ‘신뢰할 수 있는 목적지’로서의 이미지 강화, 고부가가치 시장 타겟팅, 지속가능 관광, 공급망 개선, 소프트파워 강화를 핵심 전략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원래 올해부터 도입 예정이었던 관광세(입국세) 300바트(약 9달러) 부과 시점을 연기하여 이르면 2026년 2~3분기 시행을 검토 중이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68885/tourism-body-estimates-revenue-to-miss-b3tn-target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의 주요 통상 현안: 관세 협상부터 국경 분쟁까지" -태국 재무부는 미국측과 관세율을 기존 36%에서 10~2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 -태국은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 관세 인하 및 시장 개방, 비관세장벽(NTBs) 제거, 원산지 규정 강화, 미국 내 태국 기업 투자 확대 등 ‘5대 협상안’ 제시 -캄보디아와의 국경 분쟁이 무역 차단 및 군사적 긴장으로 확산 KOTRA(방콕무역관 김지현)는 14일 "태국의 주요 통상 현안: 관세 협상부터 국경 분쟁까지" 제하의 리포트를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최근 태국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예고 및 캄보디아와의 국경 긴장으로 인한 무역 차단 위기 직면 등 다방면에서 국제 통상 리스크가 증대하고 있다. 태국중앙은행(BOT)은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태국 수출이 역풍에 직면할 것이며, 가계소득과 소비자 신뢰 약화에 따라 소비가 침체될 것으로 전망, 지난 6월 24일 2025년 경제성장률을 2.3%로 하향 조정했다. ■ 최근 태국의 주요 통상 현안 1. 미국과의 관세 협상 현황 미국은 태국산 수입품에 대해 최대 36%의 고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하며, 관세 유예(10% 관세) 종료 시점을 2025년 7월 9일로 설정했다. 이에 태국은 6월 중순에 고위급 실무협상을 개시하고 공식 제안을 준비했다. 태국은 ①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 ② 관세 인하 및 시장 개방, ③ 비관세장벽(NTBs) 제거, ④ 원산지 규정 강화, ⑤ 미국 내 태국 기업 투자 확대 등 ‘5대 협상안’을 제시했다. 특히 최혜국대우(MFN) 체계 하에 1만 1,000개 품목의 평균 관세를 14% 인하하고, 미국산 체리·사과·밀·가공육 등에 대한 시장 접근을 확대할 방침이다. 현재 태국 재무부는 미국 측과 온라인 및 현지 협상을 병행하고 있으며, 관세율을 기존 36%에서 10~2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협상 진행 상황에 따라 태국의 대미 수출 품목 및 통상 정책 전반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2. 원산지 증명(C/O) 대응 강화 태국 정부는 미국의 고관세를 회피하기 위한 중국산 제품의 위장 수출을 차단하기 위해, 원산지증명서(C/O) 발급 절차를 대폭 강화했다. 태국 대외무역국(DFT)은 감시 대상 품목을 기존 49개에서 65개(총 224개 HS코드)로 확대하고,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부품 등 미국의 Section 232 규제 대상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전 ‘원산지 확인 절차’를 의무화했다. 이에 따라 C/O는 대외무역국의 직접 검토와 승인 아래 발급되며, 수출 기업은 인증 준비와 행정 절차에 대한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태국 대외무역국(DFT) 산하 원산지증명 발급 시스템의 온라인 C/O 진위 확인 시스템(TCOIS: Thailand Certificate On-line Inquiry System) 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DFT 지정 웹사이트: https://verify.dft.go.th/ 3. 태국–EU FTA 협상 진전 미국의 관세 인상이 글로벌 무역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며, 태국 정부는 현재 전체 수출의 약 18%가 미국 시장에 집중된 상황에서 수출 시장 다변화와 자유무역협정(FTA) 확대를 통한 새로운 수출 경로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진행 중인 태국–EU FTA 협상은 전략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제 6차 FTA 협상은 6월 23일 방콕에서 진행되었으며,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중소기업(SMEs), 무역 장벽 완화 등 다방면에서 진전이 있었다. 양측은 2025년 말 내 타결을 목표로 인내·관세 규제, 서비스 및 투자 접근성, 원산지 규칙 등을 집중 조율하는 중이다. EU는 지속가능한 개발과 무역 촉진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으며, 타결 시 태국 수출 심화와 유럽 투자 확대가 기대된다. 한편, 태국 상무부(MOC)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5월까지 태국과 EU 간 교역은 총 180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0.6% 증가했으며, 이 중 태국의 대EU 수출은 106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8.9% 상승해 협상 타결 후 실질적인 수출 확대 효과가 기대된다. 4. 캄보디아와의 국경 긴장 및 교역 차단 2025년 5월 28일 에메랄드 트라이앵글(Emerald Triangle) 인근 분쟁 국경 지역에서 1명의 캄보디아 병사가 사망한 무력 충돌이 발생한 후, 양국 군은 긴장 상태에 돌입했다. 2025년 6월 8일 협상에서 양국은 군대 이전 등을 약속했으나, 사태는 악화되었다. 이후 태국은 6월 23일 국경 7개 도에서 대부분의 통행을 군사 통제 하에 폐쇄했고, 캄보디아는 태국산 연료·농산물 수입을 중단했다. 이후에도 갈등은 완화되지 않았다. 6월 14일, 양국은 ‘태국–캄보디아 공동경계위원회’ 회의를 개최했으나 실질적인 합의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이어서 6월 15일 저녁, 태국 총리 패통탄과 캄보디아 훈센 전 총리의 통화 내용이 유출되면서 국내 정치적 파장이 확산되었고, 6월 19일에는 연정 참여 정당인 품짜이타이당(Bhumjaithai)이 탈퇴를 공식 발표하며 정치권에 큰 파장을 불러왔다. 같은 달 26일, 패통탄 총리와 훈센 전 총리는 갈등 지역을 각각 방문했지만, 분쟁 해소에는 여전히 진전을 보지 못한 채 6월 28일에는 방콕 시내에서 총리 사퇴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이번 국경 갈등은 양국 간 외교 갈등을 넘어, 태국 내 통상·정치·안보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양국 간 연간 교역 규모는 약 104억 달러 수준이이며, 태국산업연맹(FTI)에 따르면 국경 통행 통제로 일일 5억 바트(약 1540만 달러)의 교역량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경 분쟁은 태국 내 정치 불안에도 영향을 미쳐, 패통탄 친나왓 총리 내각 재편 압력에 직면했으며, 군 개입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캄보디아는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 의사를 밝힌 상태이나, 태국은 이를 거부하여 양국 간 외교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 시사점 및 전망 최근 태국은 대외 통상 환경 뿐만 아니라 국내 정치·외교적 불확실성 속에서 복합적인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 EU와의 FTA 추진은 모두 수출 시장 다변화 및 리스크 대응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로 해석되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관세 부담 완화 및 신규 시장 개척이라는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캄보디아와의 국경 분쟁이 무역 차단 및 군사적 긴장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태국 패통탄 총리와 캄보디아 훈센 상원의원 간의 통화 내용이 유출되면서 정치적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태국 내에서는 총리의 외교적 판단 미숙과 군 사령부와의 조율 실패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패통탄 내각은 연정 내 갈등과 함께 내각 개편 또는 조기 정치적 변동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으며, 대외 통상 정책의 연속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캄보디아가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 의사를 밝히고, 태국이 이를 거부하면서 양국 간 외교 마찰이 더욱 심화되는 양상이다. 향후 태국 정부는 국경 무역의 조속한 정상화와 함께 정치적 불안 요인에 대한 관리 방안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EU와의 주요 통상 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내정 안정과 국제사회로부터의 신뢰 회복은 협상 성과를 뒷받침하는 핵심 요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수출 기업 입장에서도 국경 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공급망 차질에 대비하고, 새로운 시장을 발굴하는 등 장기적인 수출 전략 재정비가 요구된다. 작성: KOTRA 방콕무역관 김지현, 이태형 자료: Bank of Thailand, Bangkok Post, Reuters, The Nation, Channel NewsAsia, EABC Thailand, Department of Foreign Trade, 현지언론 및 KOTRA 방콕무역관 자료 종합 ▶ 태국 음식값, 13년 만에 106% 올라 (사진출처 : Thairath) 태국 국내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한 끼 식사 가격이 2012년 평균 31바트에서 2025년에는 64바트로 13년 만에 무려 106.5%로 두 배 이상 올랐다. 이번 조사는 부동산 조사 기관 'Agency for Real Estate Affairs(AREA)' 가 실시했고, 방콕 주요 상업 지역으로 직장인들이 많은 씰롬(Silom), 쑤리웡(Surawong), 싸톤(Sathorn) 지역 음식값을 조사했다. 이 지역의 음식값은 관광지가 아닌 방콕의 '표준 음식값(ราคามาตรฐาน)'과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지역의 조사가 방콕 생활비를 반영할 것으로 에상했다. 조사결과 지난 13년간 최저임금이 300바트에서 400바트로 33.3% 상승하는데 그쳐, 생활비와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권별 물가 변동을 살펴보면, 잉락 정권(2012~2014) 시대에는 식품 가격이 연평균 5.2% 상승한 반면, 쿠데타 이후 9년 동안 정권을 잡은 쁘라윧 정권(2014~2023) 식품 가격은 연평균 6.6% 상승했다. 또한 쎗타 정권(2023~2024) 때는 식품 가격이 3.3% 상승했고, 페텅탄 정권(2024~2025) 최근 1년 동안에는 2.0% 상승했다. 많은 상인들이 식자재 가격보다 음식값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급격하게 오른 '임대료 상승'을 들었다. ▶ 태국, 美 관세 위협 대응 위해 무관세 품목 확대 검토 (사진출처 : Thansettakij) 지난 14일 피차이 춘하바지라(Pichai Chunhavajira) 재무부 장관은 무역세미나 ‘The Art of The (Re)Deal’에서, “태국은 미국산 롱간(longan)과 틸라피아(tilapia)에 대한 수입관세를 0%로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미국산 좌측 핸들 차량 수입 허용과 함께, 기존 FTA 체결국에 무관세로 적용 중인 품목에 대해 동일한 혜택을 미국에도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 태국은 미국산 제품의 90%에 대해 관세를 철폐하고, 비관세 장벽 해소 및 농산물·에너지 수입 확대 등을 약속했으나, 미국 측은 “보다 야심찬 제안”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 (수정 협상안을 마련해 8월 1일까지 타결을 목표로 하고 있음) 또한, 피차이 장관은 “미국이 요구하는 일부 조항은 단순한 무역 차원을 넘어 지정학적 사안까지 포함되어 있어 국내 여론의 반발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며, “모든 협정은 상호호혜적이고 지속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중국산 제품을 제3국을 경유해 우회 수출하는 국가들에 대해 최대 36%의 고율관세 부과 가능성을 경고, 태국도 우회수출 혐의국 중 하나로 경고서한을 받은 상태로 협상 결과에 따라 향후 대미 수출 구조에 중대한 영향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태국은 올해 1~5월 대미 수출이 관세 시행 전 밀어내기 수요(front-loading)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상이 결렬될 경우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최대 1%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68740/thailand-mulls-zero-duty-for-more-us-goods-to-win-tariff-deal?tbref=hp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케이팝 걸그룹 스테이씨(STAYC), 방콕 공연 예정 (사진출처 : PPTV) 스테이씨(STAYC)는 2020년 11월 데뷔한 하이업엔터테인먼트 소속 6인조 케이팝 걸그룹이다. 탄탄한 보컬과 중독성 있는 멜로디, 에너지 넘치는 퍼포먼스로 케이팝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2023년 곡 ‘테디베어(Teddy Bear)’는 한국차트 5위에 오르는 등 전 세계 차트를 휩쓸었다. 라이브네이션테로(Live Nation Tero)가 주최하는 ‘스테이씨 투어 스테이 튠드(Stay tuned) 인 방콕’ 이 이번 주 토요일(7월 18일) 아이콘시암 트루아이콘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티켓 가격은 2,800바트(약 12만원) / 4,800바트(약 20만원) / 5,600바트(약 24만원) / 6,600바트(약 28만원) / 11,600바트(약 49만원)이며, 타이티켓메이져(thaiticketmajor.com) 온라인 및 전국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다. (K-pop girl group STAYC to perform in Bangkok / Bangkok Post, 7.15, Life 2면,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www.bangkokpost.com/life/social-and-lifestyle/3069256/k-pop-girl-group-stayc-to-perform-in-bangkok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AI 기반 ‘TISI Watch’ 전면 도입…온라인 불량제품 실시간 감시 (사진출처 : Bangkokbiz) 태국 정부는 소비자 안전 확보와 온라인 제품 유통의 공정경쟁 촉진을 위해 AI 기반 온라인 제품 감시 시스템 ‘TISI Watch’를 공식 도입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플랫폼 내 불량·비표준 제품을 24시간 자동 탐지 및 차단·법적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 * ‘TISI Watch’는 인공지능(AI) 기반 분석 기술을 활용해, 태국 산업표준원(TISI) 기준을 위반할 가능성이 있는 의심스러운 제품 링크를 실시간으로 감지·분석함 정부 부대변인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5개월간의 시범 운영 결과, 해당 시스템은 12만 5천 건 이상의 의심 링크를 식별, 2,800건 이상을 차단했으며, 이 중 777건은 현재 법적 조치가 진행 중이다. * 적발된 비표준 제품은 대부분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유통된 것으로, 식품용 플라스틱, 어린이용 장난감, 오토바이 배기구, 멀티탭, 보조배터리, 헬멧 등 소비자 안전과 직결된 품목들이 포함 또한, 정부는 향후 위조 상품 및 가짜 인증서 탐지 기능까지 확대 적용하고, 국민 누구나 신고할 수 있는 LINE 채널 ‘Report to Industry’도 함께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3068141/system-flags-dubious-link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파타야 살인' 공범들 항소심도 무기징역·징역 30년·25년 선고 지난해 5월 한인 살해 후 시신 훼손 은닉…재판부 "엄한 처벌 불가피" 부산고법 창원재판부 [연합뉴스 자료사진] (창원=연합뉴스) 이준영 기자 = 지난해 5월 태국 파타야에서 30대 한국인 관광객을 납치해 살해한 일당 3명이 항소심에서도 모두 중형을 선고받았다. 부산고법 창원재판부 형사1부(민달기 고법판사)는 16일 강도살인 등 혐의로 기소된 A(27)씨, C(28)씨, D(40)씨에 대한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과 같은 징역 25년, 무기징역, 징역 30년을 각각 선고했다. A씨 등은 지난해 5월 파타야에서 30대 한국인 관광객 B씨를 납치, 살해한 뒤 시신을 유기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들은 사건 당일 술에 취한 B씨를 클럽에서 데리고 나와 범행을 저질렀다. 당시 C씨가 B씨를 차에 태웠고, B씨가 차 이동 방향이 다른 것에 항의하자 C씨는 B씨 목을 조르며 마구 폭행했다. 조수석에 있던 A씨도 B씨 결박을 시도하면서 폭행했고 운전하던 D씨도 차를 세운 뒤 폭행에 가담했다. 결국 B씨는 혈액순환 장애 등으로 숨졌다. 이들은 해외에서 전화금융사기(보이스 피싱) 등으로 생활해오다 한국인 관광객 금품을 빼앗기로 공모해 해외여행 정보를 공유하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에서 범행 대상을 물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B씨 시신 일부를 훼손하고 파타야 저수지에 유기한 뒤 B씨 가족에게 전화해 "1억원을 송금하지 않으면 아들을 해치겠다"는 취지로 협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1심 재판부는 "보이스피싱 목적으로 해외에 체류하면서 돈벌이가 여의치 않자 금품을 갈취하기로 공모한 뒤 일면식도 없는 피해자를 폭행해 숨지게 하고 시체 은닉까지 했다"며 "범행을 주도한 C, D씨는 목적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성향이며 유가족을 위한 진지한 사과보다 책임을 전가하거나 납득하기 어려운 변명으로 일관하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이들은 항소심 과정에서 다른 공범들이 범행을 주도했다거나 일부 공소사실과 같은 범행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차 안에서 폭행이 이뤄지고 B씨를 살해한 뒤 시체를 은닉하는 과정과 범행 동기 등을 종합했을 때 공소사실과 같은 죄가 모두 인정된다고 판단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사람의 생명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존엄한 것인데도 피고인들은 이를 부인한 바 엄한 처벌이 불가피하다"며 "여러 사정을 고려했을 때 원심의 형은 모두 적정하다"고 항소 기각 사유를 밝혔다. ▶ 북부 치앙마이·람빵 집중호우… 주택·농경지 침수 피해 (사진출처 : Bangkok Post) 지난 15일 밤부터 16일 오전까지 이어진 집중호우로 인해 태국 북부 치앙마이와 람빵 지역에 홍수 피해가 발생했다. * 치앙마이 재난예방완화국에 따르면, 이번 폭우로 차이쁘라깐, 치앙다오, 도이사껫, 팡, 매아이, 매텡, 프라오, 위앙행 등 8개 지역의 주거지와 농경지 침수가 보고됨 이 중에서도 치앙다오가 가장 큰 피해 지역으로, 특히 무엉나(Muang Na)와 퉁카오푸앙(Thung Khao Phuang) 지역에는 100mm 이상의 폭우가 집중된 것으로 전해졌다. 재난예방완화국은 현재까지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16일 오전부터는 비가 잦아들어 상황이 점차 호전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람빵주 응아오(Ngao) 군의 반행, 반롱, 루앙타이, 퐁타오 지역에서도 15일 밤 침수 피해가 발생했으며, 고령자와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이 긴급 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3070062/persistent-rain-causes-flooding-in-chiang-mai-lampang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7월 15일 태국 뉴스

2025/07/15 13:06:43

▶ 방태 외국인관광객 계속 감소 추세, 올해 상반기 5% 줄고, 중국·말레이시아·한국·라오스 관광객 크게 감소 (사진출처 : Matichon) 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에 5% 감소했고 6월 한 달 동안 15% 급감했다. 중국·말레이시아·한국·라오스 관광객이 크게 감소했다. 7월 11일 까시껀 연구센터는 외국인 관광객 통계를 발표했다. 2025년 상반기 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1,670만 명으로 전년대비 5% 감소했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관광객은 12% 감소했다. 그리고 올해 6월 한 달만 보면 방태 외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향후 전망은 세계 경제성장 둔화로 인한 여행 계획의 불확실성, 중동전쟁의 지속에 대한 우려, 태국-캄보디아 국경문제, 남부 국경 3개 주의 불안정한 정세, 국내 정치상황 등의 부정적인 요인으로 인해 올해 방태 총 외국인 관광객 수는 3,450만 명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상위 10대 방태 관광객 중 중국·말레이시아·한국 관광객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태국 관광체육부 통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6%, 중국은 34%, 한국은 17%, 라오스는 19% 감소했다. 한편 관광객 수가 증가한 국가로는 독일 11%, 일본 8%, 미국 9%, 미국 18%, 러시아 19%, 인도 14% 가 있다. (ต่างชาติเที่ยวไทย หดตัวต่อเนื่อง ครึ่งแรกปี’68 ติดลบ 5% ‘จีน-มาเลย์-เกาหลี-ลาว’ ร่วงหนัก / Matichon, 7.11,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matichon.co.th/economy/news_5271243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오토바이 산업, 하반기 둔화 전망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산업연맹(FTI)은 2025년 1~5월 오토바이 생산 및 판매 실적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반기에는 내수 경기 둔화와 교역국 경기 침체,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 산업 전반의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 ‘25년 1~5월 태국의 전체 오토바이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106만4,381대를 기록. 이 중 완성형(CBU)은 86만5,858대(3% 증가), 부분조립(KD)은 19만8,523대(13% 증가) 동기간 내수 판매도 75만1,848대로 전년비 1.6% 증가했지만, 산업연맹은 여전히 하반기 전망이 어둡다며, “높은 가계부채 수준 및 금융기관의 대출 심사 강화”를 둔화 요인으로 꼽았다. * 태국중앙은행(BOT)에 따르면, '25년 1분기 기준 가계부채는 16.3조 바트(GDP 대비 87.4%)로 전 분기(16.4조 바트, 88.4%)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 (차입 수요 약화 및 금융기관의 대출 기준 강화에 따른 결과로 분석) 이외에도 국내 정치 불안 역시 소비심리 및 대출 여건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 특히 패통탄 총리와 훈센 전 캄보디아 총리 간의 영토 분쟁 관련 통화 녹음 파일 유출 사건은 정부의 안정성과 신뢰도에 타격을 입힌 사건으로 평가됐다. (현재 상원의 탄핵 청원으로 헌법재판소 심리를 앞두고 있는 상황)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67202/motorcycle-production-and-sales-set-to-slow-in-2nd-half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씬의 설계: 미술감독이 디자인한 영화 속 세계’ 전시를 만나보세요 (사진출처 : Matichon) 주태국 한국문화원은 ‘씬의 설계: 미술감독이 디자인한 영화 속 세계’ 전시를 개최중이다. 이 전시는 2016년 칸 국제영화제에서 벌칸상(the Vulcan award of technical artist)을 수상한 류성희 감독의 <헤어질 결심>과 <아가씨>, 조화성 감독의 <한산: 용의 출현>, 한아름 감독의 <길복순>과 <킹메이커> 등 5편의 작업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스토리보드, 콘셉트 디자인, 세트 플랜, 그래픽 디자인 등 다양한 작업물과 함께 3D 세트 및 영화 장면을 편집한 영상을 통해 영화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이선주 문화원장은 한국영화의 약진이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강화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영화의 완성도와 전달력을 높이기 위한 미술감독들의 치밀하고 정교한 장면 구성이 이 영화들의 세계적인 성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오는 18일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류성희 감독을 초청해 태국 영화계 인사 및 영화학도, 영화를 사랑하는 태국 분들과 함께 '감독과의 대화'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이 원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양국 영화산업 발전과 문화교류가 확대되길 기대합니다”라고 마무리했다. <씬의 설계> 전시는 문화원 1층과 2층 갤러리에서 열리며 평일 8시 30분부터 17시까지 누구나 관람이 가능함. 자세한 내용은 문화원 페이스북 (@koreanculturalcenterTH) 등 SNS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Explore Korean film design at ‘Build On-Screen Worlds’ / Bangkok Post, 7.10, Life 2면,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bangkokpost.com/life/arts-and-entertainment/3066616/explore-korean-film-design-at-build-on-screen-worlds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소형 원자로(SMR) 도입 검토…청정에너지 전환 가속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정부가 데이터센터 확산과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청정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응해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을 본격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태국투자청(BOI)에 따르면, ‘25년 1분기 외국인 투자신청은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한 4,312억 바트(약 133억 달러)를 기록, 디지털 및 데이터센터 산업이 투자 유치를 견인함. 그러나 태양광·풍력 등 기존 재생에너지는 출력의 불안정성과 부지 확보의 어려움으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옴 정부는 현재 ‘2024~2037 전력개발계획(PDP)’에 300MW급 SMR 2기 도입 방안을 포함했으며, 국가에너지정책위원회(NEPC, 총리 주재)의 최종 승인을 기다리는 중이다. (SMR은 대형 원자로에 비해 소형이지만,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음) 또한, 정부는 킹몽쿳기술대학 등과 협력해 원자력 인재 양성에 착수했으며, PTT 산하 GPSC는 덴마크 Seaborg사와 SMR 공동연구를 2027년까지 진행 중, 당국은 SMR이 탄소중립(2050년 목표) 달성을 위한 전력 부문 탄소 감축(1억 톤 → 4,100만 톤)의 주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68594/small-reactors-to-signal-new-chapter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아이돌과 문화자본이 한류의 길을 열었음 (사진출처 : Bangkokbiz) 지난 10여 년간 ‘한류’로 불리는 한국 문화의 인기는 매우 높아지고 한국의 문화 산업은 세계적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케이팝 시장의 성장은 정부의 지원과 민간기업의 전략적 협력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한국에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 케이팝 시장은 아이돌 아티스트들을 활용해 대중을 끌어들이면서 소프트파워로 자리매김 했다. 케이팝 산업의 상징인 ‘아이돌 문화’는 외모·체형·재능·의상 등 모든 면에서 탁월함을 보여주고 있다. 아이돌을 만드는 과정은 문화산업의 가치를 창출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이러한 아이돌 육성은 팬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철저히 구축되어야 한다. 이것은 경제 현상이 권력 및 통제와도 연관이 있다는 시사점을 담고 있다. 필자는 ‘한국 아이돌의 자본 축적과 사회적 지위 상승’이라는 논문을 통해 이 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이러한 권력적 현상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볼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한국의 아이돌은 화려한 조명 아래 서기까지, 혹독하고 체계적인 훈련을 거쳐야하고 이 과정에서 끊임없는 평가와 압박을 받으며 치열한 경쟁을 이겨내야 한다. 일부 아이돌은 데뷔하기까지 5년 이상의 시간을 연습생으로 보내기도 한다. 이 같은 연습 시스템은 완성된 아이돌을 만들어 내기 위한 필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연습생들은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소속사의 기대에 부합하는 음악적인 능력과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연습생들은 인성과 정신자세, 예의범절 등 '아이돌다움'을 갖추기 위한 훈련도 받는다. 이렇게 아이돌이 되기 위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면 대중에게 수용될 수 있는 존재로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완벽한 아이돌’이라는 개념 자체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완벽함이란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 (과연 현실에서 ‘완벽함’이라는 것이 존재하는가?) 이 ‘완벽함’에 있어 첫 번째로 언급되는 것은 바로 외모와 몸매이다. 외모에 가치를 두는 현상은 좋은 이미지가 사회적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믿는 유교문화의 영향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는 ‘미의 기준’에서 벗어나거나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난 외모를 가진 사람은 사회로부터 밀려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한국의 아이돌 대다수가 예쁘고 잘생겼으며, 균형 잡힌 몸매와 하얀 피부를 갖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님. 이는 체계적인 선별과 훈련으로 만들어낸 결과이기도 하다. 성격 또한 중요한 부분이다. 아이돌은 항상 밝고 명랑한 모습을 유지해야 하며 감정이나 질병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는 팬들이 ‘평소와 같지 않다’라고 인식할 수 있는 요소를 철저히 차단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완벽함’은 혹독하고 강도 높은 훈련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것이다. 10대 초반의 어린 연습생들은 하루 12시간이 넘는 혹독한 연습을 감내하며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 같은 환경은 결국 연습생들의 육체적·정신적 건강문제로 이어지며 아이돌 산업의 미래와 지속 가능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로 샤이니의 종현과 에프엑스 설리는 정신적 고통과 우울증으로 고통을 겪다가 생을 마감하였eㅏ. 이러한 것들은 케이팝 산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화적 현상이다. 기획사들은 수익창출을 위한 수단으로 아이돌을 만들어내며 이 과정에서 연습생은 상품처럼 생산·소비되는 존재가 된다. 아이돌이 ‘생산요소’로서 기획사의 투자를 받는다는 것은 ‘문화자본’을 투입 받는다는 의미이다. ‘문화자본’은 쉽게 말해 연습생 시스템과 같은 능력개발 구조를 말함. 대중의 인기를 끌기 위해 이미지로 무장한 아이돌을 만들어 내지만 정작 이러한 ‘문화자본’은 아이돌들에게 많은 압박과 스트레스를 주고 있음. 아이돌은 혹독한 연습과 평가, 외모 관리를 인내하고 ‘완벽함’을 갖춰야만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 시장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팬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존재가 된다면 그것은 곧 사회적 명성과 인지도를 얻는 길일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아이돌 집단 내에서 사회적 지위 상승을 이루고 나아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이돌로 도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남기고 싶은 의견은 한국 아이돌의 세계적인 명성은 문화상품에 대한 신뢰와 팬들의 충성심이 만들어 낸다는 점이다. 따라서 태국이 태국 문화를 소프트파워로 발전시키고자 한다면, 정부는 먼저 하나의 문화상품에 집중하여 민간부문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규제를 줄이고, 상품에 대한 고유한 정체성과 이미지를 브랜드화하여야 한다. 동시에 세계적인 아이돌이 된다는 것은 수많은 땀과 눈물, 육체적·정신적 피로, 감정, 대중의 기대를 수반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신건강에 대한 교육과 스트레스 속에서 건강한 마음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문화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복지 또한 중요한 투자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เปิดเส้นทางปั้น ไอดอลเกาหลี ทุนวัฒนธรรมและชื่อเสียง สู่กระแสฮันรยู / Bangkokbiznews, 7.11, 온라인, 칼럼, 팟타난 쭐라롱껀대 정치경제학부생,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www.bangkokbiznews.com/lifestyle/entertainment/1188859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첫 자체 개발 항암제 ‘임크라닙 100’ 출시…FDA 공식 승인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이 자국 최초로 개발한 표적항암제 ‘임크라닙 100 (Imcranib 100)’을 출시하며, 항암제 국산화 및 제약 주권 강화의 첫걸음을 내딛었다. * 임크라닙 100은 쭐라폰 공주(Princess Chulabhorn)의 주도로 출범한 왕실 프로젝트의 결실로, 쭐라폰왕립학술원(CRA) 산하 촌부리 사타힙 지역에 위치한 피만맛 궁 내 생산시설에서 생산. 해당 공장은 국제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GMP)인 GMDP PIC/s 인증을 획득한 태국 최초의 항암제 생산 시설로, 연구부터 산업 생산까지 전 과정이 자국 내 기술로 운영 해당 약은 백혈병(CML), GIST, 드문 피부암(DFSP) 등에 사용되는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로, 건강한 세포 손상 없이 암세포만 정밀 표적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최신 치료 방식이다. (‘25년 5월 20일 태국 식약처(FDA)에 정식 등록됐으며, 현재 쭐라폰 병원에서 투약이 시작) 또한, 쭐라폰왕립학술원은 태국 최초의 표적형 바이오의약품 ‘허다라(Herdara)’도 개발해 동일 일자에 FDA 승인을 획득, 허다라는 외국 기술이전 없이 전 과정이 태국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바이오 항암제로, 자국 생명공학 기술 자립의 상징적 성과로 평가된다. 쭐라폰왕립학술원은 이번 성과에 대해 “태국의 제약 산업 역량 강화는 물론, 국민 의료비 부담 경감과 항암 치료 접근성 확대에 중대한 진전을 이뤘다”며 “향후 지속 가능한 공공보건을 위한 국가 의약품 자립 기반을 마련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3067468/thailand-produces-its-first-targeted-cancer-drug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외국인 관광객 입국세 징수 내년으로 연기 연내 도입 추진하다 "국제 정세 불확실성 지속돼 미뤄" 태국 관광 관광객들이 태국 방콕 왕궁을 둘러보고 있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태국 정부가 연내 도입하겠다던 입국세 징수를 내년으로 연기하기로 했다. 15일 현지 매체 네이션에 따르면 태국 관광체육부는 입국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징수하는 입국세 시행을 2026년 2분기 또는 3분기 중 시행하는 것으로 연기했다고 밝혔다. 착라폴 탕수띠탐 관광체육부 차관은 "현재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시행 시점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이 내려졌다"며 "성수기인 올해 4분기의 국제 관광 수요를 지켜본 뒤 구체적인 결정을 내리려 한다"고 설명했다. 태국은 이전부터 관광세 부과를 여러 차례 추진했으나 관광업계 반대 등으로 무산됐다. 지난 2월에는 태국 내각에서 입국하는 외국 관광객에게 입국 시 1인당 최대 300밧(약 1만3천원)을 받는 관광세를 연내 도입하기로 결정했지만, 다시 연기됐다. 애초 계획은 징수한 돈을 관광지 개선이나 외국인 방문객 대상 보험 지원 등에 활용하려는 것이었다. 이런 가운데 태국 관광청은 내년도 관광 수입 목표를 3조 밧(약 127조7천억원)으로 설정했다. 이는 올해 예상 수입보다 7% 성장한 수치다. 태국에서 관광은 직간접적으로 국내총생산(GDP)과 일자리의 약 20%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직전인 2019년에는 연간 4천만명의 외국인이 태국을 찾았지만, 2021년에는 43만명으로 급감하면서 태국 경제도 크게 흔들렸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3천500만명 수준으로 늘어나는 등 회복세다. ▶ 예쁘다고 만졌다간 극심한 통증…푸껫 '블루 드래곤' 주의보 태국 푸껫 해변에서 강한 독성을 지닌 ‘푸른갯민숭달팽이’가 발견돼 당국이 주의보를 발령했다.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연체동물”…그러나 치명적 독성 11일(현지시간)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 안다만해 북부 해양연안자원연구센터는 푸른빛 생물이 해변에 밀려왔다는 제보를 접수했다. 센터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10일부터 이틀간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해당 생물은 몸길이 약 0.5cm의 ‘푸른갯민숭달팽이’(Blue Dragon)로 확인됐다. 날개처럼 펼쳐진 몸통과 선명한 파란색을 띠는 외형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연체동물’로 불리지만, 강한 독성을 지닌 위험 생물로 분류된다. ■ 해파리에서 얻은 독으로 방어…접촉 시 극심한 통증 유발 푸른갯민숭달팽이는 주로 우산관해파리(Porpita porpita)와 베렐라 해파리(Velella velella)처럼 독을 가진 해파리를 먹고, 그 독을 자신의 몸에 저장한다. 이후 위협을 느끼면 자극 반응으로 독을 방출해 외부 공격에 대응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생물에 접촉하면 해파리에 쏘인 것과 유사한 극심한 통증과 화끈거림을 유발하며, 일부 사례에서는 통증이 최대 3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다. 고깔해파리보다 독성이 강하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 “절대 만지지 마세요”…죽은 개체에도 독성 남아 연구센터는 “푸른갯민숭달팽이는 죽은 상태에서도 독성이 남아 있어 절대 만져서는 안 된다”며, 만약 접촉했을 경우 해파리 응급처치처럼 식초로 부위를 씻어야 한다고 안내했다. 당국은 해변 일대를 중심으로 추가 출현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관광객과 주민들에게 해변 산책이나 수영 시 주의를 기울일 것을 요청했다. <기사출처 : Nate News>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