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항공사, 대기오염에 북서부 지역 운항 37일간 중단
방콕에어웨이스 "시야 확보 안 돼 매홍손 공항 착륙 어려워"
대기오염 악화된 방콕 돈므앙 공항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 항공사가 대기 오염 악화를 이유로 수도 방콕과 북서부 지역을 오가는 항공편 운항을 한 달 이상 중단하기로 했다.
6일 AFP통신에 따르면 태국 주요 항공사 중 하나인 방콕에어웨이스는 오는 15일부터 다음 달 20일까지 37일간 방콕-매홍손 구간 운항을 중단한다고 전날 밝혔다.
방콕에어웨이스는 대기 오염으로 시야 확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매홍손 공항 착륙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지난해 이 지역에서 대기질 악화로 항공기 운항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겪은 바 있다고 설명했다.
매홍손은 미얀마와 인접한 태국 최북서단 매홍손주의 주도다. 매홍손주는 산림이 우거진 산간 지대로, 배낭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곳이다.
태국은 해마다 건기인 12∼3월이 되면 대기질이 세계 최악 수준으로 급격히 악화한다.
특히 북부 지역은 추수 잔여물 태우기 등으로 대기 오염이 더 심각해진다.
정부는 대기 오염을 국가적인 의제로 삼고 논밭 태우기를 단속하는 등 각종 대책을 쏟아냈지만,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방콕에서도 미세먼지 농도가 치솟으면서 돈므앙 공항에 여객기가 정상 착륙하지 못하고 회항하거나 선회비행을 하는 등 항공기 운항에 차질이 빚어졌다.
▶ 프아타이와 품짜이타이 갈등, 연정 균열로 이어질까
(사진출처 : Bangkok Post)
세타 타위신 전 총리 시절부터 시작된 집권 여당인 프아타이당과 연정 품짜이타이당 간의 갈등이 최근 지속적으로 불거지고 있다.
* 대마초 합법화 정책은 품짜이타이당의 핵심 정책이었는데, 프아타이당이 대마초 사용을 다시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갈등이 심화, 이외에도 양측은 헌법 개정 국민투표 요건, 카지노-엔터테인먼트 단지 개발안, 헌법 제256조 개정 문제 등을 놓고 대립해 왔다.
최근에는 지난해 상원 선거에서 발생한 공모 혐의* 관련 태국특별수사국(DSI)이 수사를 진행하면서, 품짜이타이당 상원 의원들이 표적이 되고 있다는 추측이 제기되어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 낙선 후보자들이 선관위에 품짜이타이당 연관 상원 의원들이 조직적인 투표를 통해 선출되었다는 의혹을 제기했으며, 태국특별수사국의 특별사건위원회는 해당 사안을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함 (“특별수사국, 상원 선거 조사 결정 연기”: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2967873/dsi-postpones-decision-on-senate-poll-probe)
이러한 정치적 긴장 속에서 최근 야당은 패통탄 친나왓 총리에 대한 불신임 안을 제출, 야당은 총리가 지도력과 국정 운영 능력이 부족하며 아버지인 탁신 전 총리가 정부 운영에 부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태국 개발행정연구원(NIDA)은 이번 불신임 안은 연립정부의 결속력을 시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품짜이타이당이 연정을 떠나면 정치적 협상력을 잃고 차기 총선을 대비한 입지 구축에도 불리할 수 있기 때문에 현 단계에서 연정을 이탈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한편, 소식통에 따르면 프아타이당이 품짜이타이당을 연정에서 배제할 가능성은 낮지만, 만약 불신임안 표결에서 한 표라도 이탈하면 심각한 연정 균열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2971511/rift-tests-coalition-unity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위구르족 中강제송환' 태국 "미중 긴장 심화 속 균형 외교"
품탐 부총리 "송환 시 법적 요건 준수…中, 인권보호 서면 보장"
위구르족 중국 도착 장면 보여주는 품탐 부총리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국 등 국제사회 반대에도 위구르족 40명을 중국으로 강제 송환한 태국 정부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의 중립 외교를 강조했다.
6일 현지 매체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은 전날 태국기자협회(TJA) 설립 70주년 기념행사에서 "미국과 중국 간 갈등으로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태국은 중립을 유지하고 균형 잡힌 외교 정책을 고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태국도 경제, 국방, 기술, 환경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도전에 직면했다"며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재집권 이후 그러한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덧붙였다.
품탐 부총리는 미국 새 정권이 세계 경제, 국제 정치, 지역 안보를 재편할 것이라며 태국 정부는 국익 보호를 위해 균형 잡힌 정책을 추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중 간 긴장 심화로 태국이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며 "그러나 태국은 모두가 친구인 작은 나라로, 강대국들이 자제력을 발휘하고 평화적으로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태국은 전통적으로 '대나무 외교'로 불리는 중립 외교를 펼치며 실리를 추구해왔다.
다만 지난달 태국에 11년간 구금돼 있던 위구르족 40명을 중국으로 강제송환하는 등 중국 쪽으로 다소 기운 듯한 행보도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 정부 핵심 관료로 꼽히는 품탐 부총리는 위구르족 강제송환을 주도했으며, 국제사회와 인권단체의 비판 속에 전면에 나서 이번 송환의 정당성을 주장해온 인물이다.
품탐 부총리는 전날에도 위구르족 송환이 법적 요건을 준수했다는 정부 입장을 재차 밝혔다.
그는 위구르족을 본국으로 송환하거나 제3국으로 보내는 선택지가 있었으나, 그들을 받아들이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제3국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태국은 불법 이민자 상태였던 위구르족을 중국으로 돌려보낼 의무가 있었고, 중국 정부가 인권 보호를 서면으로 보장했다고 그는 설명했다.
또 그는 타위 섯성 법무부 장관과 오는 18일 신장 지역을 방문해 태국에서 송환된 위구르족 40명의 상황을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위구르족을 난민으로 수용하겠다는 국가가 없었다는 품탐 부총리 주장과 달리 그동안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이 의사를 전했으나 중국을 의식해 태국이 응하지 않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전날 보도했다.
▶ 태국, 비수기 국내 관광 활성화 위해 '공동 결제' 계획 발표
사진=뉴시스 제공
태국 관광체육부가 비수기 국내 관광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5월에 "공동 결제" 관광 활성화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해당 계획은 내각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관광객은 여행 비용의 절반만 부담하면 되고, 나머지는 정부가 보조하게 된다. 다만, 이 혜택은 태국 시민에게만 적용되며,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소라웅 티엔통 태국 관광체육부 장관에 따르면, 이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 중앙 예산 자금을 신청한 상태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 예산은 약 35억 바트(약 1512억 3500만 원)로 책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1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이 목표다. 관계자들은 우대 입장권이 빠르게 매진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태국 정부는 2020년에도 유사한 "정부와 국민이 함께 지불하는" 정책을 도입한 바 있다. 당시 총리 겸 국방부 장관이었던 프라윳 찬오차의 지도 아래 시행된 이 정책은 식품, 음료 및 상품 소비 비용의 50%를 정부가 부담하는 방식이었다.
같은 해,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관광업 회복을 위해 '우리 함께 여행하자'(We Travel Together) 숙박 보조금 프로그램도 발표했다.
태국에서는 매년 5월부터 9월까지가 관광 비수기로, 학생들의 개학과 연휴 부족으로 인해 관광객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태국 관광체육부는 이번 '공동 결제' 계획이 시행되면 국민들이 국내 여행을 더욱 활발히 하도록 유도하여 관광 수입을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사출처 : NEWS VISION>
▶ 태국 관광업, 안전 우려 속에서도 견조한 흐름 유지
(사진출처 : Khaosod)
최근 위구르족 40명이 중국으로 강제 송환된 이후 각국 대사관은 자국민에 태국 방문 시 주의할 것을 당부했으며, 미국과 일본 대사관은 자국민에 혼잡한 장소 방문을 피할 것을 경고했다.
* 2015년 태국이 위구르족 109명을 중국으로 송환한 직후 에라완 사원에서 폭탄 테러(사망자 20명)가 일어남
태국호텔협회(THA)는 관광 신뢰도 하락으로 인한 예약 취소 여부를 파악 중이며, 태국여행업협회(Atta)는 이번 사안이 관광업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심각하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 일본과 미국이 경고 수위를 높이지 않는 한 태국 관광 수요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 다만 정부가 외국인 단체 관광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
태국여행업협회는 대만이 지난달 태국을 포함한 동남아 5개국을 금융 및 온라인 사기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지정했다면서, 정부가 콜센터 사기 문제에 대한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 특히 중국 관광객들의 신뢰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올해 3월 2일까지 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700만 명을 넘어섰으며(전년 대비 5.9% 증가), 이 중 중국인 관광객은 100만 명을 차지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72803/thai-tourism-trade-unfazed-by-security-warning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기상청, 올해 폭염 예상하며 4월에 일부 지역에서 44도까지 기온 상승될 것으로 예측
(사진출처 : Naewna)
세계기상기구(WMO)와 태국 기상청은 올 여름이 태국에서 지난 70년 사이에 세 번째로 더운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4월이 연중 가장 더운 달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기온이 44도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방콕은 낮 기온이 평균 35도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며, 메홍썬, 딱, 치앙마이, 람빵, 우따라딧, 러이, 쑤코타이 등 북부 지방, 특히 분지 지역에서는 최고 기온이 42~44도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측했다. 2024년 4월에 람빵도의 최고 기온은 섭씨 44.6도였다.
올해 예상되는 폭염은 태국 대기를 지배하는 저기압과 타이만에서 유입되는 습한 공기 원인이라고 밝혔다. 습도가 높아지면서 무더위가 더 심하게 느껴질 것으로 보인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지구 온난화 영향으로 극심한 더위가 앞으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해 이미 세계 평균 기온은 산업혁명 이전보다 1.5도 상승했으며, 태국을 포함한 열대 및 적도 지역 국가에서는 여름에 44도 이상의 기온이 일상화되어 폭염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밝혔다.
태국 보건 당국은 열사병 등에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열사병은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상승할 때 발생하며, 극심한 피로, 현기증, 근육 경련, 경련 발작, 심할 경우 장기 부전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태국 장기 체류 비자 정책을 둘러싼 찬반 논쟁
(사진출처 : Bangkok Post)
최근 외국인이 방콕시내 콘도를 관광객 대상 불법 임대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관광객에 대한 60일 비자 면제를 둘러싼 온라인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 태국 장기 체류 비자 : 외국인을 대상으로 장기체류비자(LTV), 디지털 노마드 및 원격 근무자를 위한 목적지태국비자(DTV), 태국특권카드(Thailand Privilege Card) 비자 등이 있음
태국 정부는 지난해 비자 면제 국가를 기존 57개국에서 93개국으로 확대하고 체류 기간을 60일로 연장, 태국에서 학사 이상 학위를 취득한 국제학생은 최대 1년간 체류 연장이 가능한 비이민 교육 비자(Non-Immigrant Visa ED)를 신청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관광업계는 60일 체류 기간 정책이 관광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 특히 호텔 대신 단기 임대 콘도를 이용하는 방문객이 증가해 불법 단기 임대 논란과 맞물려 비자 정책이 악용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태국 관광체육부는 관광 업계와 추가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며, 보안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될 경우 비자 면제 체류 기간을 다시 30일로 줄이는 방안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70683/the-lowdown-on-long-stay-visa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미세먼지 PM 2.5 대응 강화… 불법 소각 단속 나서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재난예방완화부(DDPM)는 PM 2.5 미세먼지 농도와 화재발생지역(핫스팟) 감시를 강화하고, 불법 소각을 엄격히 단속할 것을 각 지방정부에 촉구했다.
* 3월 3일 기준 중부, 동부, 남부 지역 및 방콕 일대는 여전히 안전 기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북부와 동북부 일부 지역에서는 미세먼지 농도가 ‘주의’ 수준을 초과함 (태국의 안전 기준은 50 µg/m³ 를 초과하면 안됨). 특히 우본랏차타니(Ubon Ratchathani) 지역은 ‘위험’ 수준에 도달하여 3월 6~7일까지 지속적인 대기질 감시가 필요하다고 경고
태국재난예방완화부에 따르면, 태국 전역에서 760개 화재 화재발생지역(핫스팟)이 발견되었으며, 핫스팟이 가장 많은 지역은 딱(Tak, 154곳), 람빵(Lampang, 119곳), 차이야품(Chaiyaphum, 50곳), 깔라신(Kalasin, 34곳), 싸께오(Sa Kaeo, 34곳) 순이다.
태국 산림청(Forest Department)은 현재까지 산불 진화 작전 3,247건이 진행(북부 2,007건, 동북부 628건, 중부 612건), 불 방화 연루자 28명을 대상으로 법적 조치가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또한, 태국 산업부(Ministry of Industry)는 설탕 생산을 위한 사탕수수 소각이 올해 4,51만 라이(rai, 약 7,200㎢)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태국재난예방완화부 모든 관련 기관의 협력에 감사를 표하며, 북부 및 동북부 지역에서 미세먼지와 화재 핫스팟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고위험 지역을 중심으로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thethaiger.com/news/national/thailand-battles-pm-2-5-with-strict-anti-burning-measure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대법원, 시대에 뒤떨어진 두발 규정 철회
(사진출처 : aboutmom)
태국 대법원이 두발 자유를 금지하는 50년 된 교육부 규정을 철회하는 판결을 내렸다.
3월 5일 대법원은 교사·학생·학부모들 사이에서 논란이 가득했던 이 문제에 대해 최종적으로 판결했다.
대법원은 헌법에서 명시한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고 변화하는 사회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며, 교육부가 1975년 발표한 규정을 즉시 폐지하라고 명령했다.
대법원은 이 규정이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2003년 아동보호법 조항에도 위배된다고 밝혔다.
이 규정에 따르면 학생들에게 머리 스타일을 정해 놓고 이를 교육부가 감독하도록 되어 있었다. 남학생들은 수염이나 콧수염을 기르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고, 머리는 짧게 깎아야 했다.
여학생들은 귀 아래로 머리를 기르거나 화장을 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이 목적은 학생들을 단정하고, 국가에 헌신하고 이익을 주는 착한 시민과 자녀로 키우는 것이었다.
이 규정은 학생들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머리 스타일에 관한 1972년 군사정권의 명령에 근거하고 있다.
법원은 “논란이 되는 군사 정권의 명령과 교육부의 규정은 학생들에게 최대한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라고 밝혔다.
(Court revokes ‘anachronistic’ haircut rule / Bangkok Post, 3.6, 1면, 태국발, 전문번역)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