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8일 태국 뉴스

2023/12/18 11:44:43

▶ 태국 경제, 향후 20년 저성장 전망…"잠재성장률 아세안 최저" 세계은행 "고령화·투자 둔화·노동생산성 저하로 개혁 필요" 태국 방문한 외국 관광객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의 잠재성장률이 향후 20여년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 중 최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세계은행(WB)이 전망했다. 17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지난 14일 발표한 태국 경제 보고서에서 경제 개혁 없이는 앞으로 20년간 태국 잠재성장률이 3% 안팎을 기록할 것이라며 이같이 진단했다. 끼아띠뽕 사리야프루챠 세계은행 태국 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고령화와 민간 투자 둔화, 노동 생산성 저하 등을 성장률 저하 원인으로 꼽았다. 세계은행은 내년과 2025년 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각각 3.2%, 3.1%로 예측했다. 이 역시 아세안 지역에서 가장 낮은 수치이다. 올해 성장률은 2.5%로 전망됐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3분기에 예상을 크게 밑도는 1.5%를 기록하는 등 경제 회복세가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부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태국은 코로나19 사태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세계 경제 둔화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회복세도 더딘 것으로 분석됐다. 투자 유치 성과도 주변국보다 부족했다. 2020년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증가했지만, 대(對)태국 FDI는 감소했다. 대태국 FDI는 2021∼2022년 개선세를 보였지만 말레이시아와 베트남 등에 비해서는 뒤처졌다. 세계은행은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 향상을 위해 태국은 인적자본, 교육, 건강, 기후변화 대응, 세제 개혁 등에 더 많이 투자해 재정 정책을 통한 구조적 개혁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태국 정부는 경제 활성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관광산업 회복을 위해 중국, 러시아, 인도 관광객 등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유흥업소 영업시간도 오전 4시까지로 연장했다. 소프트파워 강화를 경제 발전의 한 축으로 삼으려는 태국 정부는 관광, 축제, 스포츠, 음식 등 11개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16세 이상 모든 국민에게 1만밧(약 37만원)을 지급하려다가 국가 재정 부담 등을 우려한 반발 여론에 밀려 보류한 상태다. 세타 타위신 총리는 지난 9월 취임 후 첫 의회 연설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태국 경제는 병자 같다"며 경제 활성화 대책을 긴급히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태국 북부 국경서 군·마약조직 총격전…"운반책 15명 사망" 미얀마서 국경 넘어 이동 중 적발…필로폰 170만정 발견 태국 경찰이 지난 12일 압수한 필로폰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 북부 치앙라이주 국경 지역에서 군과 마약 밀매조직 간 총격전이 발생해 밀매조직원 15명이 사망했다. 17일 방콕포스트와 네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태국군은 지난 15일 오후 7시께 미얀마와 접한 치앙라이주 매파루앙 지역 순찰 중 미얀마에서 태국으로 국경을 넘어 도보로 이동하던 무리를 발견했다. 군의 정지 요구에 이들은 즉각 총을 쏘기 시작하면서 총격전이 벌어졌다. 군은 철수 후 날이 밝기를 기다렸다가 16일 오전 현장 점검에 나섰고, 마약 운반책으로 추정되는 시신 15구와 이들이 메고 있던 배낭들이 발견됐다. 배낭에서는 메스암페타민(필로폰) 알약 170만개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총격전으로 인한 군의 인명 피해는 없었다 '골든트라이앵글'로 불리는 태국·미얀마·라오스 접경지대는 세계적인 마약 생산지로 꼽힌다. 특히 2021년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미얀마의 마약 생산량이 급증했으며, 다량이 태국 등으로 흘러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는 최근 미얀마가 아프가니스탄을 넘어 세계 최대 아편 생산국이 됐다고 밝힌 바 있다. 태국은 미얀마 국경 지역에서 마약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필로폰을 1정 이상 소지하면 마약 판매범으로 징역형에 처할 수 있도록 처벌 규정도 강화했다. 지난 12일에는 경찰이 미얀마와 인접한 서부 깐짜나부리주 통파품 지역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500억원대 규모의 필로폰을 압수했다. ▶ '탁신 특혜' 이정도?…태국, 교도소 밖 수감허용 가능 규정 개정 '교도소 과밀 해법' 설명에도 야권 "탁신이 하루도 교도소에서 안보내게 됐다" 비판 탁신 전 총리가 입원 중인 경찰병원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이 재소자의 '교도소 외부 수감생활'이 가능하도록 교정 규정을 개정했다. 수감 첫날부터 약 4개월째 병원에 입원 중인 탁신 친나왓 전 총리를 봐주기 위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17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태국 교정국은 지난 15일 재소자들이 교도소 외부 공간에 머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규정을 도입하고, 각 주에 이를 통보했다. 이에 따라 조건을 충족하는 재소자는 교도소 외부 주택이나 건물 등에서 수감생활을 할 수 있다. 타위 섯썽 법무부 장관은 새 규정이 교정법과 국제 관행에 부합하며, 과밀화는 태국 교도소가 인권 측면에서 낮은 평가를 받는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당국은 사회 복귀를 위한 훈련이 필요한 재소자들이 있고, 교도소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기 어려운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야권과 시민단체 등은 탁신 전 총리에 대한 특혜를 위해 도입된 규정이라고 주장하며 반발하고 있다. 피칫 차이몽꼰 '태국 개혁을 위한 학생·국민 네트워크' 대표는 "탁신이 교도소에서 하루도 보내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며 "이번 조치는 2013년 잉락 전 총리가 추진한 사면 법안보다 더 나쁘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이후 한 달 이상 병원에서 치료받은 재소자가 115명이라며 탁신 전 총리를 위한 규정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통신 재벌 출신인 탁신은 2001년 총리로 선출됐으나 2006년 군부 쿠데타로 축출됐다. 그는 부패 혐의 등으로 기소되자 2008년부터 해외 도피 생활을 했다. 탁신의 여동생인 잉락 친나왓은 2011년 총선 승리로 총리가 된 뒤 탁신의 사면과 귀국으로 이어질 수 있는 포괄적 사면을 추진했다. 이는 대대적인 반정부 시위를 촉발했고, 반(反) 탁신 진영의 퇴진 공세 끝에 잉락은 결국 헌법재판소의 권력 남용 판결로 총리직을 잃었다. 귀국이 좌절된 탁신은 계속 해외에 머물다가 지난 8월 22일 15년 만에 귀국했다. 귀국 직후 8년 형을 선고받고 수감된 그는 당일 밤 고혈압 등을 이유로 경찰병원으로 이송돼 지금까지 입원 중이다. 이를 둘러싸고 장기 입원과 호화 병실 이용에 대한 특혜 논란이 이어졌다. 그사이 왕실 사면으로 그의 형량은 1년으로 줄었다. 탁신은 '병원 수감생활' 중 두차례 수술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탁신의 귀국일에 탁신 세력 정당인 푸아타이당의 세타 타위신이 총리로 선출됐다. 푸아타이당은 지난 5월 총선에서 제1당을 전진당(MFP)에 내줬으나 친군부 정당 등과 연대해 연립정부를 구성했다. 탁신의 막내딸인 패통탄 친나왓은 지난달 푸아타이당 대표로 선출됐고, 유력한 차기 총리 후보로 거론된다. ▶ 태국인 90% "미세먼지 문제 우려"…첫 대기오염전문병원도 설립 건기마다 공기질 세계 최악 수준 악화…"논밭 태우기·산불이 주범" 미세먼지로 뿌연 방콕 시내 전경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건기가 돌아오면서 공기질이 급격히 악화한 태국에서 현지인의 약 90%가 초미세먼지(PM2.5) 문제를 걱정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8일 현지 매체 네이션과 타이PBS에 따르면 수안두싯대학이 지난 12∼15일 실시한 전화 설문조사에서 태국인 응답자 1천123명 중 41.6%가 초미세먼지에 대해 '매우 우려스럽다'고 답했다. 48.9%는 '다소 우려스럽다'고 답해 90.5%가 대기오염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에 '전혀 우려하지 않는다'와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각각 1.3%, 8.2%에 그쳤다. 초미세먼지 문제의 원인으로는 논밭 태우기·산불을 꼽는 응답자가 79%(복수 응답)로 가장 많았다. 공장(70.6%), 건설(68.4%) 등이 뒤를 이었다. 태국은 해마다 건기가 되면 세계 최악 수준으로 대기오염이 악화한다. 정부는 대기오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당국은 내년 발효를 목표로 대기오염방지법을 마련했다. 태국 영토 외부에서 대기오염이 유발돼도 태국법에 따라 불법으로 간주, 배상금을 물린다는 내용도 포함했다. 사탕수수밭을 태우지 않는 농민들에게는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정부와 방콕시는 방콕 시내 짜뚜짝 공원에 대형 공기청정 부스를 설치했다. 태국 첫 대기오염전문병원도 문을 열었다. 정부는 방콕 근교 놉빠랏 라자타니 병원 내에 대기오염클리닉을 개설했다. 이곳에서는 대기오염 관련 질병을 가진 환자들을 관리하고, 대기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과 피해를 줄이는 방법 등을 교육한다. 보건부는 이 병원에서 수집한 정보를 대기오염 관련 질병을 줄이고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당국은 다른 지역에도 대기오염클리닉을 추가로 열 계획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태국에서 매년 약 3만명이 대기오염 영향으로 사망한다. ▶ 야구공에 넣어 밀반입한 '미친약' 41억원어치…태국인 47명 검거 야구공 안에 들어간 마약 [경북경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연합뉴스) 김선형 기자 = 경북경찰청은 18일 야구공 속에 마약을 숨겨 국내로 밀반입시킨 외국인 노동자 A(35)씨 등 16명을 구속 송치하고, 31명을 불구속 송치했다. 태국 출신인 이들은 지난 8월부터 11월까지 태국에서 국제우편을 통해 야구공 속에 마약 '야바'(YABA)를 몰래 숨겨 국내로 보내 유통한 혐의(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를 받는다. 이들이 밀반입한 마약은 8만2천정으로 시가 상당 41억원이다. 이 중 6만7천정(시가 33억원 상당)은 압수해 국내 유통을 사전에 차단했다. 태국어로 야바는 미친 약이란 뜻으로 강력한 각성(흥분) 효과를 일으키는 필로폰과 카페인의 합성물이다. 붉은색 알약 형태이며 대부분 태국에서 제조돼 유통된다. 일명 '미친 약' 마약 '야바' [경북경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들은 경북, 경기, 대구, 울산 등 외국인 밀집 지역에 거주하는 공장 근로자들로 각 지역 중간 판매책들을 거쳐 태국인들에게 야바를 유통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조사 결과 마약을 투약한 태국인들은 주로 불법체류자들로 농촌이나 공단 일대에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집단으로 투약했으며, 출근 직전이나 근무 중에도 상습 투약해 환각 상태에서 일을 했다. 과거 화장품이나 의약품, 식품 등에 마약을 밀반입하던 수법을 벗어나 야구공 실밥을 일일이 뜯어 해체한 뒤 플라스틱 공 안에 마약을 숨겨 재포장하는 교묘하고 치밀한 수법을 사용했다고 경찰은 알렸다. 김기범 경북경찰청 형사과장은 "태국 현지에 있는 밀반입 총책 등 공범 5명은 인터폴 적색 수배 중"이라며 "국제 공조 수사로 신속히 검거하겠다"고 말했다. 일명 '미친 약' 마약 '야바' [경북경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2023년 1~9월 외국인 태국 콘도 10,703채 구입. 1위는 중국인, 2위는 러시아인 (사진출처 : Thairath Money) 태국 정부 주택 은행(GHB) 부동산 정보 센터(REIC)는 2023년 1~9월 기간에 구입한 태국내 콘도는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37.6% 증가한 10,703채, 구매 총액은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31.6% 증가한 522억5,900만 바트였다. 지난 9개월 동안 태국 콘도(수량 기준)를 가장 많이 구입하고 양도한 상위 5위 외국인은 다음과 같다. 1위: 중국인 4,991채 2위 : 러시아 962채 3위 : 미국 422채 4위 : 대만 378채 5위 : 프랑스 372채 구매/양도 금액 순위는 아래와 같다. 1위: 중국인 247억 4천만 바트 2위: 러시아 3,436백만 바트 3위: 미얀마 3,436백만 바트 4위: 미국 21억 2백만 바트 5위: 대만 1,841백만 바트 외국인이 콘도를 구입한 지역 1위는 해변 휴양지로 알려진 파타야가 있는 동부 촌부리도로 전체의 41.7%를 차지해 1위였다. 2위는 방콕으로 37.5%였다. 하지만 콘도 구입액은 방콕이 촌부리보다 많았다. 콘도 구입액 순위는 아래와 같다. 1위: 방콕 301억 7,200만 바트 2위 : 촌부리(파타야) 141억 5백만 바트 3위: 푸켓 34억 2,500만 바트 4위: 치앙마이 20억 3백만 바트 5위: 프라추압 키리 칸(후아힌) 10억 2,800만 바트 ▶ 세타 태국 총리, 최저임금 인상폭이 너무 작다며 재검토 요청 (사진출처 : PPTV) 태국 국가임금위원회가 하루 최저임금을 지역에 따라 330~370바트로 2~16바트 인상한 안을 승인한 것과 관련해, 세타 태국 총리는“인상폭이 너무 작다”며, 인상안 재검토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세타 총리는 “정부는 전기요금과 연료비 인하 등 기업의 각종 비용이 절감되는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기업은 이 일부를 근로자들에게 환원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세타 총리는 전체적인 최저임금 인상폭이 너무 작다고 불만을 표현하며, 현재 최저임금 328바트에서 330바트로 2바트 인상에 그친 세 지역(빧따니, 얄라, 나라티왓)에서는 “이 인상액으로는 계란 1개도 사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세타 총리는 임금위원회의 인상폭 재검토 여부에 대해서는 “합당한 금액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명령하지는 않겠지만 논의해 볼 것”이라고 밝혔다. 최저임금안은 각의가 승인하면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된다. 한편,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기업의 생산거점 해외이전으로 이어진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300바트가 한꺼번에 400바트로 상승된다고 해도, 각종 자금지원책이 있어 갑자기 이전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타 총리가 소속된 여당 프어타이당의 선거공약이었떤 하루 최저임금 400바트의 현실화에 대해서는 “대도시는 몰라도 지방이나 경제 규모가 작은 지역에서는 현실화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세타 총리는 정부가 국민의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지출을 줄이고 소득을 늘리는 조치를 가속화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밝히며, 특히 전기요금을 유닛당 4.20바트 이하로 유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국가에너지정책위원회(NEPC) 회의에서 월 300유닛 미만의 전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원하자는 제안도 나왔다고 밝혔다. ▶ 블랙핑크 리사(Lisa), 제파이 세프의 7번째 미슐랭 스타 축하 행사에 합류 (사진출처 : The Nation) 블랙핑크의 리사가 7년 연속 미슐랭 스타를 획득한 제파이 셰프를 축하했다. 태국 소프트파워의 영향력 있는 두 인물인 리사와 제파이의 만남은 제파이 길거리 식당에서 열렸다. 축하행사에는 리사와 그녀의 어머니, 농심의 임원들이 참석했다. 특히 삼성 회장의 부인과 딸도 행사에 참석했다. 리사는 제파이 레스토랑의 대표 메뉴들을 맛볼 수도 있었다. 제파이 셰프는 감사의 표시로 리사에게 가방에 담긴 세트를 선물했다. 세트에는 한국의 인기 브랜드 신라면과 제파이가 협력해서 출시한 똠얌꿍 라면 특별판이 들어있었다. 리사는 유명한 게살오믈렛 요리를 비롯해 다양한 요리를 마음껏 즐겼다. 방콕 쁘라투피 지역에 위치한 제파이 레스토랑은 미슐랭 스타를 받은 길거리 식당이다. 셰프는 개방된 주방의 작은 숯불 난로를 이용해 요리하며 그 뿌리는 70여 년 전 셰프의 아버지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게살오믈렛, 뿌팟퐁까리, 볶음국수 등 대표 메뉴들은 식당의 전설적인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Lisa joins celebrations for chef Jay Fai’s 7th successive Michelin Star/The Nation, 12.17,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nationthailand.com/lifestyle/entertainment/40033876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12월 15일 태국 뉴스

2023/12/15 16:31:10

▶ 태국 정부, 최저임금 인상률 재평가하기 위해 최저임금 인상 결정 연기 (사진출처 : The Nation) 노동부 장관인 피팟은 화요일에 새로운 최저임금 인상안을 국무회의에 제시했지만 재검토하고 수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노사정위원회는 1월 1일부터 하루 최저임금을 330-370바트 범위 내에서 인상하기로 결정했으며 실제로 인상폭은 2-16바트, 즉 평균 2.4% 사이이다. 세타 총리는 새 임금 인상률에 대해 너무 적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최저임금을 더 올려야 하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총리는 “제안은 이미 제출했습니다. 이제 노사정위원회에 달려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세타 총리는 위원회의 결정을 존중하겠다고 말했으며 새해 발표를 위해 12월 25일까지 내각에 새로운 최저임금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피팟 노동부 장관은 기자들에게 새로운 임금 인상률이 2020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산되는 방식에 동의하지 않으며 위원회에 그것을 재검토하도록 조언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nationthailand.com/thailand/policies/40033725 <출처 : KTCC> ▶ 태국, 소프트파워 강화 총력…"관광 등서 연 150조원 창출 목표" 축제·스포츠·음식 등 11개 부문 집중 육성 계획 태국 찾은 외국 관광객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소프트파워 강화'를 국가 과제로 추진 중인 태국이 11개 부문에서 약 150조원을 벌어들이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제시했다. 15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품탐 웨차야차이 부총리 겸 상무부 장관은 전날 개막한 소프트파워 포럼에서 "태국 소프트파워를 세계에 알려 연간 4조밧(148조6천억원)을 창출하고 일자리 2천만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태국의 문화적 풍요로움을 지적 재산으로 전환하는 소프트파워가 국가 경제 발전과 무역 활성화를 촉진해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나고 고소득 국가가 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목표 달성을 위해 대표단이 한국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ACFM), 일본 방송영상콘텐츠마켓(TIFFCOM), 독일 국제식품박람회 아누가 등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태국은 지난 9월 국가소프트파워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세타 타위신 총리가 직접 위원장을 맡았다. 탁신 친나왓 전 총리의 딸이자 집권당 푸아타이당 대표인 패통탄 친나왓이 부위원장으로서 실질적으로 소프트파워 강화 정책을 주도하고 있다. 패통탄도 이날 행사에 참석해 "소프트파워를 강화하려는 정부 정책은 경제를 활성화하고 국민들이 더 많은 소득을 올리도록 하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관광, 축제, 스포츠, 음식, 영화, 음악, 미술, 도서, 게임, 디자인, 패션 등 11개 분야를 소프트파워 핵심 산업으로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앞서 세타 총리는 태국 전통무술인 무에타이 세계화를 위해 해외에 지도자를 파견하고 외국에서 마스터클래스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행사를 열겠다고 밝혔다. 푸아타이당은 유네스코(UNESCO)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송끄란 축제를 기존 사흘에서 확대해 4월 한 달간 개최하기로 했다. 영화와 게임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 검열을 폐지하고 제작자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등급을 책정하는 제도 도입을 추진한다. ▶ '태국 주식 부호 순위 2023' 1위에 전력회사 걸프에너지개발(GULF) 최고경영책임자(CEO) 싸랏(Sarath Ratanavadi) 선정돼, 5년 연속 1위 (사진출처 : Spring News) 태국 경제 잡지 '머니&뱅킹(Money & Banking)’과 태국 국립 쭐라롱꼰 대학이 태국 증권 거래소(SET)와 SET 2부 시장(MAI) 상장 주식 시가를 조사한 2023년 '태국 주식 부호 순위'가 발표되었다. 2023년 태국 주식 부호 1위는 전력회사 걸프에너지개발(GULF) 최고경영책임자(CEO) 싸랏(Sarath Rattanawadee)이 선정됐다. 싸랏 CEOrk 보유한 주식 총액은 1,908억 바트로, 이 회사 주식의 35.7%를 보유했다. 보유 주식 총액은 작년보다 281억 감소했다. 싸랏 걸프에너지개발(GULF) CEO는 5년 연속 1위에 올랐다. 2위에는 드링크제 대기업 OSOTSPA 창업 일가족이며 투자가인 니티(Niti Osathanugrah)씨로 보유 주식 총액은 전년 보다 36.7억 바트 증가한 617.9억 바트이다. 3위에는 방콕 병원, 싸미티벳 병원 등을 운영하는 태국 사립병원 최대기업 방콕 두씯 메디칼 서비스(Bangkok Dusit Medical Services, BDMS)와 민간 항공 방콕에어웨이즈(Bangkok Airways, BA) 창업자인 ‘쁘라씯(Prasert Prasarttong-Osoth) 회장으로 주식 총액은 전년 보다 57.3억 바트 감소한 570억 바트이다. 4위에는 PSG Corporation Public Company Limited(PSG)의 지분 80%를 보유한 Panicha씨로 보유 주식의 총액은 410억 바트로 약 40억 바트 감소했다. '태국 주식 부호'는 개인소유 태국 상장주가 대상이기 때문에 미국 경제지 포브스가 선정하는 세계 억만 장자 순위에 단골로 올라가는 태국 대기업 재벌 CP그룹 타닌 회장 등은 선정되지 못했다. 올해 ’태국 주식 부호’의 보유주식 총액은 2023년 태국 주식 지수 하락으로 인해 작년보다 감소했다. ▶ Changan, 태국에서 전기 SUV 생산 예정 (사진출처 : Bangkok Post) 중국 전기차 제조사 Changan Automobile은 2025년 1분기부터 Rayong 주 공장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생산을 시작할 계획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태국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Changan Automobile의 자회사인 Changan Auto Sales (Thailand)의 Shen Xinghua 법인장 겸 사장은 회사가 2025년에 태국에서 SUV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태국에 공식적으로 새로운 자동차 모델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모터쇼 개최 기간 동안 Changan EV는 약 3,549대가 예약되었다. 가장 많이 예약된 모델 90%는 SUV이며 나머지 10%는 세단이었습니다. SUV는 태국에서 인기 있는 부문이라고 밝혔다. Changan의 계획에 따라 연간 100,000대의 EV를 생산하고 초기에는 30,000 ~ 50,000대의 SUV를 생산할 예정이다.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사업 확장을 위해 투자 예산을 88억 6천만 바트에서 100억 바트로 늘릴 예정이다. 출처 : https://shorturl.asia/mlEc3 <출처 : KTCC> ▶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식 정보 웹사이트 ‘TasteAtlas’ 선정, '세계 최고의 요리 100선 2023' 에서 태국 음식 ‘팟끄라파오’가 3위에 선정돼 (사진출처 : MGR Online) 유명 음식 정보 웹사이트 ‘TasteAtlas’가 ‘세계 최고의 요리 100선(100 Best Dishes in the World 2023)’을 발표했다. 태국 음식 ‘팟끄라파오’가 3위에 선정됐다. ‘TasteAtlas’는 전세계 다양한 음식의 맛을 순위로 매겨 매년 ‘100 Best Dishes in the World’를 발표하고 있다. 태국음식은 3위에 선정된 ‘팟끄라파오’ 외에도 6위에 ‘카오써이’10위에 ‘깽파넹’ 45위에 ‘똠카까이’ 73위에 ‘깽마싸만’ 등 총 4가지 요리가 올랐다. <카오써이> <깽파넹> <똠카까이> <깽마싸만> 올해 1위 요리에는 브라질의 '피카냐(Picanha) 소고기 스테이크 ’ 요리가 선정됐다. 상위 10위에 선정된 요리는 다음과 같다. 2위 말레이시아의 Roti canai 3위 태국 바질 볶음 팟끄라파오 4위 이탈리아 피자 나폴레타나 5위 중국 궈티 6위 태국 카오써이 7위 인도 버터 마늘 난 8위 중국 탕바오 9위 러시아 Shashlik 10위 태국 파낭 카레 ‘깽싸만’ ▶ 화재가 발생했던 나이트 마켓 <JODD FAIRS> 14일부터 영업 개시 (사진출처 : MGR Online) 12월 13일 화재가 발생해 1명이 부상 입고, 120개 상점이 피해를 입었던 라마 9세 로드 소재 나이트 마켓 <JODD FAIRS>가 12월 14일부터 정상 영업을 개시했다. 화재 원인은 조사 중이지만 누전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총 700여개 상점이 있는 <JODD FAIRS>는 안전 검사를 받았고, 후웨이쾅 구청은 화재로 피해를 본 매장을 지원하기 위해 구호팀을 조직하고 피해를 입은 매장에는 11,000바트를 지원하기로 했다. ▶ 중국 정부, 외국인 관광객 유치 위해 한국·일본·태국·필리핀 등에 비자발급 수수료 25% 인하 (사진출처 : vietnam.vn) 중국 정부, 상호 비자 면제와 비자 발급 수수료 인하 등을 도입하며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국 외교부 영사보호센터는 공식 계정을 통해 오는 11일부터 내년 12월 31일까지 비자 발급 수수료를 25% 인하한다고 밝혔다. 대상은 한국을 비롯해 태국, 일본, 멕시코, 베트남, 필리핀 등이다. ▶ 한국문화원, 수묵화 전시회 ‘봄을 기다리며(Waiting for Spring)’ 개최 (사진출처 : The Nation) 주태국 한국문화원은 한국 전통미술인 수묵화의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인 수묵화 전시회 ‘봄을 기다리며’를 개최한다. 2024년 3월 29일까지 진행하는 이번 전시는 재태 한인작가 예향과 예서회 소속 작가 등 총 10명이 한국 전통 수묵화의 아름다움을 담은 64개 작품을 전시한다. 수묵화는 산수의 특징을 있는 선과 먹색으로 담아 전승되어 오고 있는 한국의 전통문화로, 한국인들은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며 정신 수양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백을 중시하는 수묵화와 글자를 바르게 쓰는 서예를 하기도 한다. 전시작들은 봄을 기다리는 마음을 주제로 먹을 사용해 사랑, 평화, 자연의 아름다움 등을 담았으며 태국의 꽃과 과일 등을 그린 작품들과 서예 작품들도 있다. 예향 작가는 “예서회 회원들의 작품을 선보이게 되어 큰 영광으로 생각하며 사랑과 정성이 담긴 작품으로 봄의 설렘과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작가 대표 인사를 전했다. 이번 전시는 주중 매일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수쿰빗 도로 15∼17에 위치한 주태국 한국문화원에서 진행하며 전시 관람은 무료이다. 한편 문화원은 이번 전시 기간 중 수묵화 워크숍을 2회(회당 30명) 개최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문화원 페이스북(koreanculturalcenterTH)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뉴욕 메트미술관, 불상 16점 캄보디아·태국 반환 결정 캄보디아 정부 "내전 때 도굴돼 불법반출된 유물들"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세계적인 미술관인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메트)이 불상 십여 점을 캄보디아와 태국에 반환한다. 메트는 15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불상 14점을 캄보디아로, 2점을 태국으로 반환하는 절차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들 불상은 유물 불법 밀매로 기소돼 2019년 유죄 선고를 받은 유명 미술품 거래상 더글러스 래치포드와 연관된 소장품이라고 미술관 측은 설명했다. 앞서 캄보디아 정부는 도난당한 크메르 제국 시대 유물 45점이 메트 미술관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미술관 측에 반환을 요구해왔다. 해당 유물은 1970∼1990년대 캄보디아가 내전과 정치적 혼란을 겪던 시기에 도굴꾼들이 파헤쳐 국외로 유출한 문화재의 일부라고 캄보디아 정부는 밝힌 바 있다. 이번에 반환하는 유물들은 과거 래치포드가 메트에 기증한 작품들이다. 래치포드는 2019년 유죄 선고 후 2020년 사망했다. 유물 반환 과정에 협조한 뉴욕남부지검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메트 미술관 측의 캄보디아 유물 반환 결정 소식을 알렸다. 7세기 제작된 부처 두상을 비롯한 반환 유물은 현존하는 크메르 제국 시대 조각 중 미술사적으로 가장 훌륭한 유물들에 속한다고 메트 측은 설명했다. 반환 소장품 중 일부는 본국 반환 전까지 메트 미술관에서 관람할 수 있다. 캄보디아 반환되는 뉴욕 메트미술관 소장 유물 [뉴욕=AFP 연합뉴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12월 14일 태국 뉴스

2023/12/14 15:18:50

▶ 태국 20대 야당 의원, 왕실모독죄 등으로 6년형 자전거 유세로 방콕서 당선…의원직 상실 위기 6년형 선고 받은 락차녹 의원(오른쪽)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 20대 야당 의원이 왕실모독죄 위반 등으로 징역 6년 형을 받고 의원직 상실 위기에 놓였다. 13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와 외신에 따르면 태국 형사법원은 이날 제1당이자 야당인 전진당(MFP)의 락차녹 시녹(29) 의원에게 왕실모독죄 위반과 컴퓨터범죄법 위반 혐의로 각각 3년 형을 선고했다. 락차녹은 2021년 7∼8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국왕 사진과 함께 코로나19 백신 배분에 대해 불만을 표하는 글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락차녹 측은 혐의에 대해 무죄를 주장했으며, 판결 이후 항소 의사를 밝히며 보석을 신청했다. 보석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자동으로 의원직을 상실하게 된다고 AFP통신 등은 보도했다. 지난 5월 총선에서 방콕 지역구 의원으로 당선된 락차녹은 혼잡한 거리에서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선거운동을 펼쳐 주목받았다. 왕실모독죄로 불리는 태국 형법 112조는 왕과 왕비 등 왕실 구성원은 물론 왕가의 업적을 모독하거나 왕가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등의 경우 최고 징역 15년에 처하도록 한다. 국왕을 신성시하는 태국에서 왕실모독죄는 군주제를 보호하는 상징적인 법이다. 그러나 개혁 세력은 이 법이 반정부 인사 처벌에 악용된다며 개정을 요구해왔다. 지난 5월 총선과 이후 총리 선출 과정에서도 왕실모독죄를 둘러싼 논란이 일었다. 왕실모독죄 개정을 공약으로 내건 전진당은 젊은 층의 폭발적인 지지를 받으며 제1당에 올랐다. 그러나 당시 전진당 대표였던 피타 림짜른랏 총리 후보가 의회 총리 선출 투표를 통과하지 못해 집권에 실패했다. 친군부 정당 등 기득권 세력이 왕실모독죄 개정을 추진하는 전진당에 반대한 결과다. ▶ 태국, 국경 넘어온 대기오염물질에 배상금 물린다…법 제정 추진 대기오염방지법안 마련…논밭 태운 외국 농작물 수입에도 세금 부과 초미세먼지 가득한 방콕 시내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심각한 초미세먼지로 피해를 겪고 있는 태국이 공기 질 개선을 위해 대기오염방지법 제정을 추진한다. 14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 정부는 내년 발효를 목표로 대기오염방지법안을 마련했으며, 조만간 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오염관리국은 환경학자 분뚠 세타시롯이 이끄는 위원회가 대기오염 방지 조치를 담은 법안 초안을 작성했으며 내각이 최근 이를 승인했다고 전했다. 법안은 태국 내부뿐만 아니라 국경을 넘는 대기오염 물질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태국 영토 외부에서 대기오염이 유발돼도 태국법에 따라 불법으로 간주, 배상금을 물린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정부는 법안이 통과되면 위성기술을 활용해 오염원을 찾아낸다는 계획이다. 삔삭 수라사와디 오염관리국장은 "깨끗한 공기가 중요하다는 데에는 많은 당사자가 동의하기 때문에 법안이 내년에는 통과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대기오염을 통제하기 위한 법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태국은 대기오염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대기오염을 관리할 국가위원회도 설립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초미세먼지 배출원 관리,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효과적인 대기오염 상태 보고 방법 등을 논의한다. 정부는 수확 후 논밭을 태우는 주변국 농장에서 생산한 농작물을 수입하는 태국업체에 세금을 부과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세타 타위신 총리는 전날 지속가능성포럼에 참석해 "그렇게 징수한 세금은 산불방지에 사용하고 농지를 태우지 않는 농민들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국은 이 밖에 전기차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북부 지역 대기오염의 주범인 산불을 예방하기 위한 관리요원도 고용할 계획이다. 태국은 해마다 건기가 되면 대기질이 급속도로 악화해 호흡기 환자가 급증하는 등 피해가 발생한다. ▶ 방콕 팔람 9 소재 야시장 ‘Jod's Fair’에서 화재 발생 (사진출처 : Khaosod) 방콕 팔람 9 로드에 있는 인기 야시장 ‘JODD FAIRS’에서 12월 13일 오후 4시 20분경에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로 인한 사망자나 부상자는 없었다. ‘JOD’S FAIRS’측은 화재가 발생한 시간은 오후 4시 20분경으로 즉시 소방차가 출동해 소화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소방대원들이 화재를 진압하는데 약 1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고 밝혔다. 사상자는 없었지만, Jod’s Fair 야시장에는 옷가게가 많고 구조물이 목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화재가 빠르게 번지면서 옷가게와 음식점등 약 20여 매장이 화재 피해를 입었다. 현장에 있던 상인들에 따르면 큰 폭발음과 함께 전선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bhc치킨, 내년에 태국 진출… 현지기업이 운영 태국 진출 협약 [bhc치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bhc치킨은 태국 외식전문 기업인 미션그룹과 태국 시장 진출을 위한 마스터 프랜차이즈 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미션그룹은 태국에서 브랜드 3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 태국 내 bhc치킨 운영도 맡는다. bhc치킨은 내년 1분기 방콕에 1호점을 열고 태국 진출을 본격화한다. bhc치킨은 지난달에는 대만 진출을 위해 현지 기업과 마스터 프랜차이즈 협약을 맺었다. 앞으로 아시아에서 bhc치킨 매장이 있는 지역은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에 더해 대만, 태국까지 5곳으로 늘어나게 됐다. ▶ 태국, 미얀마 국경서 역대 최대 550억원 규모 필로폰 압수 집중단속 과정서 5천만정 적발…"미얀마 생산 후 주변국 유입" 경찰이 압수한 필로폰 5천500만정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얀마와의 국경 지역에서 마약 거래가 급증하자 태국이 집중 단속에 나섰다. 14일 네이션 등 현지 매체와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태국 경찰은 지난 12일 미얀마와 인접한 서부 깐짜나부리주 통파품 지역에서 메스암페타민(필로폰) 알약 약 5천만정을 압수했다고 전날 밝혔다. 군경은 검문소에서 고철과 플라스틱병 등 재활용 폐기물 아래에 마약을 숨기고 이동하던 대형 트럭을 적발해 탑승자 부부 2명을 체포했다. 이후 거주지 등을 수색해 더 많은 마약을 발견했다. 태국 경찰이 압수한 단일 물량으로는 역대 최대로, 시가 15억밧(552억원) 규모에 해당한다. 태국은 국경 지역 순찰을 강화하고, 필로폰을 1정 이상 소지하면 마약 판매범으로 징역형에 처할 수 있도록 처벌 규정을 강화했다. 이번 단속 물량은 아시아 전체로 확대해도 2021년 라오스의 필로폰 5천500만정 압수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라고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 제레미 더글러스 아시아태평양 지역국장은 설명했다. 미얀마 소수민족 무장단체들과 협력하는 범죄조직들이 주로 미얀마 샨주에서 생산하는 마약이 태국과 주변국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샨주는 소수민족 무장단체 아라칸군(AA), 타앙민족해방군(TNLA), 미얀마민족민주주의동맹군(MNDAA)이 결성한 '형제 동맹'이 미얀마군을 상대로 합동 공세에 나서 교전이 치열하게 진행 중인 지역이다. 태국·미얀마·라오스의 접경지대인 이른바 '골든트라이앵글'은 세계적인 마약 생산지로 꼽힌다. 특히 2021년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이 지역의 마약 생산량이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UNODC는 지난 12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미얀마가 아프가니스탄을 넘어 세계 최대 아편 생산국이 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 한태 아티스트 공연 ‘메리 팝 페스타 2023’12월 23일에 므엉텅타니 썬더돔 공연장에서 개최 예정 (사진출처 : Bangkok Post) 와이글로벌(YGlobal)이 주최하는 한태 아티스트 공연 ‘메리 팝 페스타 2023’가 12월 23일 므엉텅타니 썬더돔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라인업에는 한승우, 방예담, BUS가 포함됐다. 다재다능한 한승우는 케이팝 보이그룹 빅톤의 멤버 출신으로 2021년에는 웹무비 ‘사랑#해시태그’에서 주연을 맡았다. 또한 싱어송라이터로 한국저작권협회에 40곡이 등록되어 있다. YG엔터테인먼트 산하 그룹 트레저의 보컬 출신 방예담은 2012년 <K팝 스타2>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인지도를 높였다. 파워풀한 가창력과 카리스마 넘치는 무대 매너로 호평 받고 있다. BUS는 12명의 멤버로 구성된 태국 그룹이다. ‘789서바이벌’이라는 오디션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멤버들의 다양한 재능이 두터운 팬 층을 형성하고 있다. 데뷔 싱글 ‘Because Of You, I Shine’은 공개된 지 며칠 만에 조회 수 100만회를 돌파했다. 티켓 가격은 1,900바트(약 72,000원) 2,900바트(약 110,000원) 3,900바트(약 148,000원), 5,500바트(약 209,000원)이며 yglobal-music.com에서 구매할 수 있다. (Thai, Korean artists to rock Thunder Dome this Xmas/Bangkok Post, 12.14, Life 2면, Suwitcha Chaiyong,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www.bangkokpost.com/life/social-and-lifestyle/2705228/thai-korean-artists-to-rock-thunder-dome-this-xmas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올해 열린 모터 엑스포에서 작년보다 45% 증가한 53,248대 판매 (사진출처 : headlightmag.com) 11월 30일~12월 11일 사이에 방콕 교외 무엉통타니에서 개최된 태국 최대 규모 모터쇼 ‘제40회 타일랜드 인터내셔널 모터 엑스포 2023(Thailand International Motor Expo)’의 올해서 판매 대수는 자동차가 2022년 모터 엑스포에 비해 45% 증가한 53,248대, 오토바이가 지난해에 비해 21% 증가한 7,373대였다. 브랜드별 판매 대수는 1위가 도요타로 7,245대, 2위 혼다 6,149대, 3위가 중국 전기자동차(EV) 대기업 비아디(BYD)로 5,455대, 4위가 중국 광저우 자동차 EV 브랜드 아이온(AION)이 4,568대, 5위가 중국 상하이 자동차 MG가 3,568대, 6위가 중국 ·장안 기차로 3,549대, 7위가 중국 만리장성 자동차(GWM)로 3,524대, 8위 이스즈 2,460대, 9위 닛산 2,459대, 10위 마쯔다 1,961대였다. 한국 현대차는 680대, 기아는 321대 판매했다. 한편, 자동차 판매 대수 중 전기자동차(EV)가 38%를 차지했다. 올해 모터 엑스포에서는 중국 전기 자동차가 약진했고, 한국 현대 자동차의 전기 자동차 IONIQ 5도 눈길을 끌었다. ▶ 방콕에서 교통사고를 당한 대만인 관광객이 사립병원의 치료 거부로 다른 병원으로 이송 도중 사망 (사진출처 : Matichon) 촌라난 보건부 장관은 12월 12일 방콕에서 교통사고로 의식을 잃은 대만인 관광객 치료를 사립병원이 거부해 다른 병원으로 이송 도중 사망했다고 발표하며, 치료를 거부한 사립병원의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파타나깐 도로에서 대만인 관광객이 차에 치어 의식을 잃었는데 사고 현장에서 500미터 정도 거리의 위파람 병원으로 이송됐는데, 병원측이 환자의 가족이 없어 병원비를 받을 수 없다며 치료와 입원을 거부해 약 10km 정도 떨어진 공립병원으로 이송 도중 사망했다. 촌라난 보건부 장관은 사실 관계를 조사해 위파람 병원이 실제로 대만인 관광객의 치료와 입원을 거부한 것이 밝혀지면 인도적 비난과 가장 엄격한 법적 조치가 취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12월 13일 태국 뉴스

2023/12/13 12:21:58

▶ 태국, 보이스피싱 대응 강화…"하루 100통 거는 전화번호 정지" 최근 20개월간 온라인사기 피해액 1조8천억원 규모 보이스피싱 [연합뉴스TV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에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가 기승을 부리자 정부가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13일 네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태국 디지털경제사회부는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하루 100통 이상 거는 전화번호를 정지한다고 전날 밝혔다. 쁘라씃 잔타라루엉텅 디지털경제사회부 장관은 비정상적으로 전화를 많이 거는 번호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조치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 9∼11일 사흘간 하루 100통 이상 전화를 건 1만2천500여개 번호를 정지시켰다고 전했다. 쁘라씃 장관은 정지된 번호가 대부분 불법 등록된 번호였다고 지적하며 정지를 피하려면 자발적으로 온라인사기방지센터에 연락하라고 말했다. 디지털경제사회부는 범죄자들이 외국인 신분증 등을 이용해 전화번호를 등록한 뒤 사기를 저지르고 있다며 관련 부처와 협력해 보이스피싱 방지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당국에 따르면 온라인사기방지센터에 지난달에만 약 8만명이 보이스피싱을 신고하는 등 최근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태국 경찰이 지난해 3월부터 지난달 10일까지 약 20개월간 처리한 온라인사기 사건은 36만건이며, 총피해액은 약 490억밧(1조8천115억원)에 이른다. 세계사기방지연합(GASA)이 지난달 발표한 아시아 온라인사기 보고서에 따르면 범죄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단은 전화와 문자메시지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메신저앱이나 소셜미디어(SNS) 사용도 빠르게 늘고 있다. 태국에서 온라인사기범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수단은 전화로 조사됐다. ▶ 태국 대기오염 급속 악화…공원에 '깨끗한 공기 제공 부스' 등장 77개주 중 47곳 초미세먼지 기준치 초과…당국 "야외활동 자제" 공기오염 극심한 방콕 시내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건기를 맞아 태국 대기질이 급속히 악화한 가운데 공원에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는 공기청정 부스까지 등장했다. 13일 네이션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전날 방콕을 포함한 태국 중부 15개 주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위험'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날 오전 7시 기준 방콕 동쪽 차층사오주 초미세먼지 농도는 134.8㎍/㎥까지 치솟았고, 방콕은 99.8㎍/㎥를 기록했다. 태국 전체 77개 주 중 47개 주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정부의 안전 기준치 37.5㎍/㎥를 넘어섰다. PM2.5는 먼지 입자 크기가 2.5㎛ 이하인 대기오염 물질로 폐암, 심장질환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방콕권 초미세먼지 수준이 특히 높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는 외출을 자제하고, 야외 활동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권고했다. 태국은 비가 많이 오지 않는 건기가 되면 해마다 대기 오염이 극심해진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자 방콕 시내 짜뚜짝 공원에는 대형 공기청정 공간이 설치됐다. 방콕시와 국가과학기술개발원(NSTDA)이 공원 내에 100㎡(약 30평) 규모의 '공기청정 파빌리온'을 6개월간 시범 운영한다. 초미세먼지 농도 25㎍/㎥ 이하의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고 초미세먼지 입자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임시 공간이다.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시설 옆면은 투명한 비닐 재질로 처리해 밖이 보이도록 했다. 간편하게 설치하고 분해할 수 있는 가설 구조물로 야외 활동이 많은 공원과 운동장 등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 태국·인니 등 동남아서 코로나 재확산…"마스크·백신 권고" 태국, 신규환자 7월 이후 최대…자카르타 확진자 1주 새 3배 늘어 마스크 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민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자카르타=연합뉴스) 강종훈 박의래 특파원 = 태국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하고 있다. 12일 방콕포스트와 자카르타포스트 등에 따르면 태국 질병통제국(DDC)은 지난 3∼9일 한 주간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가 590명으로 급증했다고 전날 밝혔다. 지난 7월 이후 최대 규모다. DDC는 올해 들어 집계된 코로나19 신규 환자는 3만6천794명이며, 사망자는 831명이라고 밝혔다. 태국은 입원 환자만 신규 감염자로 집계한다. 쭐라롱꼰대 티라 워라따나랏 박사는 실제 감염자 수는 공식 집계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 면역회피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BA.2.86 변이(피롤라)가 태국에서 우세종이 되면서 앞으로 감염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수도 자카르타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환자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자카르타 보건국은 지난 4∼10일 자카르타에서만 271건의 확진자가 보고됐으며 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는 1주일 전(80건)과 비교해 200% 넘게 증가한 것이다. 이 때문에 자카르타 정부는 마스크 착용과 취약 계층의 예방 접종을 당부하고 있다. 또 공항과 항만 입국장에 열화상 카메라를 다시 설치하고, 발열 증상이 있는 승객들은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서도 확진자 수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2일까지 1주일 동안 6천796명을 기록, 전주(3천626명)보다 약 2배 늘었다. 같은 기간 싱가포르에서는 3만2천35명의 확진자가 나와 전주(2만2천94명)보다 약 50% 늘었다. 일일 평균 입원 건수도 136건에서 225건으로 증가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대해 대중이 예전처럼 불안해할 것은 없다면서 감염 시에는 5일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태국은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7월 이후 코로나19 관련 규제를 대부분 없앴다. 자정까지였던 유흥업소 영업시간을 오전 2시까지로 연장했고, 내년부터는 방콕과 푸껫 등 주요 지역 유흥업소 영업이 오전 4시까지 허용된다. 인도네시아 당국도 연말연시를 앞두고 이동 제한 등 별도의 규제를 도입할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태국 코로나19 백신 접종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태국서 열린 한복모델 대회 수상자 3명 내년 국내 초청 '제3회 태국 한복 모델 선발대회' 참가자들 [한문화진흥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사단법인 한문화진흥협회(회장 정사무엘) 산하 세계문화진흥협회가 최근 태국 방콕에서 개최한 '제3회 태국 한복 모델 선발대회' 수상자들이 내년에 국내 대회에 초청된다. 대한민국 한복 모델 선발대회 조직위원회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만다린 호텔 방콕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대회에서 진, 선, 미를 수상한 태국인 모델 3명을 내년 '대한민국 한복 모델 선발대회' 10주년 행사에 공식 초청한다고 13일 밝혔다. 조직위원회 측은 한국의 전통 의상인 한복이 어울리는 세계인을 찾기 위해 매년 미국과 프랑스, 태국 등 각국에서 한복 모델 선발대회와 한복 패션쇼를 열고 있다. 태국 대회는 364명의 지원자 가운데 75명이 결선에 진출했고, 라미다 씨 등 3명이 최종 수상자로 선정됐다. 진을 수상한 라미다 씨는 "시상식에서 내 이름을 듣고 놀라서 믿기지 않았다"며 "한국 대회에서도 자랑스러운 태국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태국 정부, 12월 15일부터 방콕, 푸켓, 촌부리(파타야), 쑤랏타니(꺼싸무이), 치앙마이 등 5개 지역 유흥업소 영업시간 오전 4시까지 연장 승인 (사진출처 : MGR Online) 태국 정부는 업종이나 지역에 따라 오전 0~2시까지 규제하고 있는 음식점, 가라오케, 클럽, 마사지점 등의 법정 영업시간을 12월 15일부터 호텔 내 영업시설, 그리고 방콕, 북부 치앙마이, 파타야시가 있는 동부 촌부리, 남부 푸켓, 남부 쑤랏타니, 꺼싸무이 일부 지역의 유흥업소에 한해 오전 4시까지 영업시간 연장을 승인했다. 정부의 이번 영업시간 연장 승인은 관광 활성화를 통해 경기 부양을 위한 조치이다. 최근 아누틴 내무부 장관은 법정 영업시간 연장에 관한 내무부 법령에 서명했다. 새 법령은 정부 관보에 발표된후 12월 15일부터 발효된다. 또한, 전국 호텔법에 의거 호텔 내에 위치한 서비스업소는 설 연휴 기간에는 관광 활성화를 위해 다음날 오전 4시까지 개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전국 모든 지역 서비스업소의 영업시간이 12월 31일부터 1월 1일(설날) 오전 6시까지로 연장된다. ▶ LG생활건강 미니 타투 프린터 ‘임프린투’, 태국 방콕에 첫 해외 오프라인 매장 오픈 (사진출처 : LG Household & Health Care) 내년 1월 14일까지 방콕 엠스피어몰 팝업 스토어 운영…동남아 시장 공략 교두보 마련 LG생활건강은 최근 태국 수도 방콕에 뷰티 리추얼 브랜드 ‘임프린투(IMPRINTU)’의 팝업 스토어를 열고 글로벌 고객과의 본격적인 만남을 시작했다. 임프린투가 해외 직영 오프라인 매장을 오픈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LG생활건강 임프린투는 고객이 모바일 앱에서 타투 도안을 선택하면 이를 그대로 신체나 사물에 구현할 수 있는 미니 포터블(portable) 타투 프린터다. 지난 5월 출시 이후 나만의 개성을 즉흥적으로 뽐내고 싶은 국내외 MZ세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임프린투가 첫 해외 매장을 연 태국 방콕은 동남아시아 최대의 쇼핑 허브로 손꼽히는 곳이다. 이달 1일 방콕 중심가인 수쿰빗(Sukhumvit)에 복합 쇼핑 문화 공간 엠스피어(Emsphere)몰이 문을 열었는데, 임프린투는 개장 당일 엠스피어몰 메인 층인 M 플로어에 팝업 매장을 차리고 태국 현지 고객과 관광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이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무료로 임프린투 타투를 체험 해보고 바로 제품 구매도 할 수 있다. 또 엠스피어몰 구매 등급에 따라 에코백 꾸미기도 해볼 수 있다. 팝업 매장은 내년 1월 14일까지 운영한다. LG생활건강 임프린투 담당자는 “태국 고객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서 체험과 구매 기회를 제공하고 동남아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해외 오프라인 매장을 개장했다”며 “해외 고객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고객경험의 접점을 꾸준히 확대하겠다”고 했다. 현재 글로벌 직영몰(www.imprintu.com)에서도 판매 중인 임프린투는 미국, 캐나다, 영국, 태국, 싱가포르 등 총 44개국으로 배송된다. 전세계 193개국에서 월 평균 6만7000명이 임프린투 글로벌 직영몰을 방문하고 있으며, 배송 가능한 국가와 지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뷰티테크 기기인 임프린투를 전세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인 ‘CES 2024’에도 처음으로 참가할 예정이다. ▶ 한류 열풍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과 태국인 입국거부 해결 방안 (사진출처 : The People) 한국은 문화를 통해 빈곤했던 나라를 일으켰으며 아시아 국가의 문화 선두주자로서 세계 시장에 입성해있다. 좋아하는 아이돌 콘서트에 가거나 한국 드라마의 흔적을 찾고 한식을 맛보는 등 다양한 이유로 관광객들은 한번쯤 한국을 여행하길 원한다. 한국관광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8월까지 25만 명 이상의 태국 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했으며 이는 코로나19 이전 연간 57만 명보다는 적은 수치이다. 또한 민주적이고 좋은 복지제도가 있는 한국에서 태국 노동자들은 새로운 삶을 시작하길 원한다. 그러나 한국 내 대부분의 태국 노동자들은 불법체류자이다. 이들은 한국에서 범죄 등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전에 태국인들에게 한국 입국은 어렵지 않았으나 코로나19 동안 한국은 K-ETA(전자여행허가) 시스템 도입을 통해 사전 입국신청을 받고 있다. K-ETA에서 거부당한 태국인들을 중심으로 온라인에서 반한국(Ban Korea) 운동이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탐마삿대 동아시아연구소의 파이분 한국학센터장과 한국 문화 수출 및 양국 노동교류에 대해 이야기해봤다. 파이분 센터장은 "1960년대 한국은 수출산업에 집중했지만 국가적 이미지 형성 문제에도 부딪혔습니다. (인접한) 일본과 중국에 대비해 한국은 자국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매력적인 이미지가 필요했습니다. 1990년대는 한류 1.0 시대로 대장금과 겨울연가 등의 한국 드라마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유명해졌습니다. 한국은 드라마의 강세를 음악으로 확대했으며 한류 2.0 시대에 들어 케이팝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YG, JYP 등 유명 기획사들이 2000년대 초반 설립되었으며 정부 또한 케이팝 발전을 지원했습니다"라고 말했다. 2008년 한국정부는 한국 콘텐츠의 세계 수출을 돕는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을 설립했다. 콘진원은 패션, 웹툰,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드라마, 음악, 연극 등 9개 문화산업을 지원하고 있다. 파이분 센터장은 콘진원 설립이 전통 한국문화를 세계에 알리게 된 중요한 터닝포인트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국은 관광없는 한국여행을 촉진하고 있다며 "태국에서 매일 아침 일어나서 한국 드라마를 보고 케이팝을 들으며 점심에는 한식을 먹습니다. 직접 여행가지 않아도 한국을 여행하는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한국에 있어 불법체류자를 더할 우려가 있는 관광보다는 문화소비가 더 가치있을 것입니다" 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5월 31일 기준 한국에 체류 중인 태국인은 20만3,614명으로 이중 15만3,093명이 불법체류자이다. 파이분 센터장은 임금격차 외에도 중동 등 타 이주노동 국가 대비 한국의 안정되고 좋은 생활환경도 노동자들을 유입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많은 한국 젊은이들도 사회의 압박 등을 피해 해외 이주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한다. "한국은 민주적 정부 하에 표현의 자유를 갖고 있지만 여전히 문화적으로 유교주의, 가부장제의 영향력이 있습니다. 또한 한국에서는 태국처럼 LGBTQ(성적 소수자)를 주제로 한 영화 또는 Y-시리즈(동성애 주제 드라마)를 찾기 어렵습니다. 한국과 가까운 동남아시아 국가들 중 태국과 베트남은 비교적 안정적인 국가로 한국이 이들 국가에 투자하는 것은 놀랍지 않습니다." 파이분 센터장은 약 2만 명의 한국인들이 태국에서 거주하고 있다며 주로 사업 또는 한국 회사의 태국 지사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말했다. K-ETA 관련 파이분 센터장은 "K-ETA는 입국 전 서류를 제출하는 것일뿐입니다. 이 시스템에서 승인되었다고 해도 실제 입국 절차 중 입국이 거부될 수도 있습니다"라며 만약 입국심사 중 거부될 우려를 줄이고 싶다면 입국 전 대사관에서 비자를 신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자는 1-2주 이상 소요될 것이고 많은 서류가 요구되겠지만 입국거부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라고 설명했다. (ถอดบทเรียนการปั้นกระแส K-Wave และทางออกทำไมคนไทยไม่ผ่าน ตม. เกาหลี/The People, 12.12, 온라인,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www.thepeople.co/social/look-up/52715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대비 0.44% 감소해 2개월 연속 하락 (사진출처 : PPTV)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정부의 지원책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하락과 기본 식품 가격이 낮아졌기 때문에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07.45포인트, 전년대비 0.44% 감소했고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올해 11개월 평균 물가상승률은 1.41%, 핵심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는 104.52포인트, 전년대비 0.58% 증가했다. 한편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생활비 절감 대책으로 -0.3%에서 1.7% 사이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12월 12일 태국 뉴스

2023/12/12 15:36:12

▶ 태국서 코로나19 재확산…신규 환자 7월 이후 최대 태국 코로나19 백신 접종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에서 진정세를 보이던 코로나19가 재확산하고 있다. 12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 질병통제국(DDC)은 지난 3∼9일 한 주간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가 590명으로 급증했다고 전날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이후 최대 규모다. DDC는 올해 들어 집계된 코로나19 신규 환자는 3만6천794명이며, 사망자는 831명이라고 밝혔다. 태국은 입원 환자만 신규 감염자로 집계한다. 쭐라롱꼰대 티라 워라따나랏 박사는 실제 감염자 수는 공식 집계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 면역회피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BA.2.86 변이(피롤라)가 태국에서 우세종이 되면서 앞으로 감염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대해 대중이 예전처럼 불안해할 것은 없다면서 감염 시에는 5일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태국은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7월 이후 코로나19 관련 규제를 대부분 없앴다. 자정까지였던 유흥업소 영업시간을 오전 2시까지로 연장했고, 내년부터는 방콕과 푸껫 등 주요 지역 유흥업소 영업이 오전 4시까지 허용된다. ▶ 세타 태국 총리, 내년 초 베트남 방문…'포괄적전략동반자' 격상 논의 세타 "관계 격상 준비돼…2025년 교역 33조원 규모로 확대" 세타 타위신 태국 총리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 총리가 내년 초 베트남을 방문해 양국 관계 격상 방안을 논의한다. 11일 현지 매체 타이PBS에 따르면 세타 총리는 지난 8일 태국을 방문한 브엉 딘 후에 베트남 국회의장과 만나 "양국 관계가 모든 분야에서 빠르고 효과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내년 초 베트남을 방문해 외교 관계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시킬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양국은 세타 총리 베트남 방문을 계기로 관계 격상에 합의하면 합동 내각 회의도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세타 총리는 후에 의장에게 2025년까지 양국 교역 규모를 250억달러(33조원) 규모로 늘리겠다는 목표도 재확인했다. 태국은 베트남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내 최대 교역국이다. 지난해 양국 교역 규모는 220억달러(29조원) 수준이었다. 베트남이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나라는 한국과 미국, 인도, 러시아, 중국 등 5개국이며, 일본과도 최근 관계 격상에 합의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태국과 처음으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게 된다. 후에 국회의장은 태국 의회 초청으로 태국을 찾았다. 태국 방문 기간 그는 양국 입법기관 간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우돈타니주에 자리 잡은 세계 최초 베트남타운도 방문했다. ▶ 태국 임금위원회, 내년 태국 최저임금 인상안 발표, 최고는 푸켓으로 370바트, 전국 평균은 345바트 (사진출처 : Postjung) 태국임금위원회는 전국 최저임금(ค่าแรงขั้นต่ำ) 인상안을 발표했다.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지역은 푸켓으로 하루 354바트에서 370바트(약 13,687원)로 인상됐다. 방콕 및 수도권은 363바트, 가장 낮은 지역은 남부 국경지대 나라티왓, 빧따니, 얄라로 330바트, 전국 평균은 345바트이다. 이번 최저임금 인상안은 12월 12일에 국무회의에서 결정되었으며, 2024년 1월 1일에 발효될 예정이다. 인상되는 지역별 최저임금은 아래와 같다. -370바트 : 푸켓 -363바트 : 방콕, 나콘파톰, 논타부리, 빠툼타니, 싸뭍쁘라깐, 싸뭍싸콘 -361바트 : 촌부리, 라용 -352바트 : 나콘라차씨마 -351바트 : 싸뭍쏭크람 -350바트 : 아유타야, 싸라부리, 차청싸오, 쁘라찐부리, 컨껜, 치앙마이 -349바트 : 롭부리 -348바트 : 쑤판부리, 나콘나욕, 넝카이 -347바트 : 끄라비, 뜨랏 -345바트 : 깐짜나부리, 쁘라쭈업키리칸, 쑤랏타니, 쏭크라, 팡아, 짠타부리, 싸께오, 나콘파놈, 묵다한, 싸콘나콘, 부리람, 우본랏차타니, 치앙라이, 딱, 피싸누록 -344바트 : 펫차부리, 춤폰, 쑤린 -343바트 : 야소톤, 람뿐, 나콘싸완 -342바트 : 나콘씨타마랏, 븡깐, 까라씬, 러이엣, 펫차분 -341바트 : 차이낫, 씽부리, 파타룽, 차야품, 앙텅 -340바트 : 라넝, 싸뚠, 러이, 넝부워람푸, 우돈타니, 마하싸라캄, 씨싸쎋, 암낫쩌른, 메홍썬, 람빵, 쑤코타이, 우따라딧, 캄펭펫, 피찓 -338바트 : 뜨랑, 난, 파야오, 쁘레 -330바트 : 나라티왓, 빧따니, 얄라 ▶ 현대차, 태국 전기차 투자 압박 심해져…"상황 지켜봐야" 태국 정부, 내년 전기차 보조금 줄여...투자 늘려야 인센티브 지원 현대자동차가 태국 재진출 이후 전기차를 앞세워 승부수를 던진 가운데 태국의 자국주의 정책과 중국 공세에 추가 투자 압박을 받고 있다. 태국 정부가 전기차 판매량이 늘면서 공장 설립 기업 외 지원금을 줄이는 상황이 오자 전기차 경쟁력 차원에서 신공장 설립 등 투자 카드를 쥐어야 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태국은 내년부터 전기차 보조금을 기존 15만바트(554만원)에서 5만바트(184만원)를 줄인 10만바트(369만원)로 책정했다. 태국은 2030년까지 연간 자동차 생산량의 250만대의 약 30%를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태국 정부는 이 같은 목표를 위해 최대 15만바트의 전기차 보조금을 책정하고 해외 기업들의 투자를 장려 중이다. 정부의 이같은 투자에 올해 2분기 태국에서 판매된 전기차 대수는 동남아시아 전체 전기차 판매량의 절반을 차지하기도 했다. 현대자동차 태국 법인 '현대모빌리티(태국)'이 제40회 태국 국제 모터 엑스포 2023에 부스를 마련했다. (사진=현대자동차) 이처럼 전기차 전환 속도가 가팔라지자, 태국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을 축소하기로 했다. 태국은 전기차 보조금을 점차 줄여가지만, 제조공장과 전기차 연구개발(R&D)센터를 설립하는 업체에 추가 인센티브와 세금감면을 제공하는 등 투자를 장려하고 있다. 외국 투자를 총괄하는 태국투자위원회(BOI) 사무총장 나릿 터엇사티라숙디(Narit Therdsteerasukdi)는 "최근 2~3년간 태국 전기차 사용률이 많이 증가해 정부는 예산에 큰 부담이 되지 않도록 상황에 맞춰 지원을 점진적으로 줄여 나갈 것"이라며 "정부는 태국을 이 지역 최고의 생산기지로 만들기 위해 전동화 홍보를 계속 장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기업은 특히 태국 전기차 시장에 사활을 걸고 있다. 중국에서 전기차를 가장 많이 파는 비야디(BYD)는 179억바트(6천624억원)를 투자해 전기차 공장을 짓고 있다. 내년에 준공되는 이 공장은 연간 15만대를 생산하며 일부는 동남아시아와 유럽에 수출 예정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태국에 14억4천만달러(1조9천억원)가량 투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현대모빌리티(태국)이 지난 4월 3일 공식 출범을 알렸다.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차는 지난 4월 태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10월 기존 합작 법인으로부터 사업을 인도받았다. 공격적인 투자를 위해 올해 공장 설립에 대한 계획도 밝혔으나 추가 소식은 없는 상황이다. 현지 법인 설립과 함께 태국 공략에도 본격적으로 나섰다. 현대차는 지난달 태국에 아이오닉5를 출시했다. 태국 전기차 시장이 팽창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 조치로 분석된다. 하지만 내년 전기차 보조금이 줄어들게 되면 수입에 의존하는 현지법인 입장에서 가격경쟁력이 과제다. 현대차는 한국자동차산업모빌리티협회(KAMA)와 시장조사업체 마크라인즈(Marklines) 기준 올 1월부터 10월까지 5천63대를 판매했다. 현대차는 약 80만대 규모의 태국 시장에서 꾸준히 성장세이긴 하지만 점유율은 0.5%에 불과하다. 현대차는 현지 시장에서 지난해 4천372대, 2021년 3천450대, 2020년 1천393대를 판매했다. 현대차가 태국 자국주의 정책에 압박받을 여지도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인도네시아에 준공한 공장이 있고 동남아시아 특성상 동남아 국가 간 불이익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태국은 전세계 자동차 공장지대 중 하나로 새로운 전기차 공장을 짓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다만 현대차는 인도네시아 공장이 있기 때문에 큰 불이익은 없겠지만 태국의 자국주의 정책으로 인한 불이익은 여전하기 때문에 눈여겨보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출처 : 디지털경제> ▶ 세타 태국 총리, ‘타일랜드 비엔날레 치앙라이 2023’ 개막 (사진출처 : TNAMCOT YouTube 캡쳐) [남자 아나운서] 날씨가 좋은 지금 치앙라이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타일랜드 비엔날레 치앙라이 2023’ 행사가 내년 4월까지 진행됩니다. 세타 태국 총리가 행사를 개막했습니다. 소프트파워를 통해 전 세계 관광객들이 치앙라이를 방문하기를 희망합니다. 어제 열린 개막식은 불꽃놀이를 비롯해 아주 아름다웠습니다. 태국 문화부 주최로 개최된 이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태국 및 전 세계 21개국에서 참여한 세계적인 예술가 60명의 작품 감상이었습니다. [00:49∼00:52] 조재일 문화원장, 패텅탄 태국 프어타이당(여당) 대표 영상 전시는 어제부터 시작해 내년 4월 30일까지 약 5개월간 계속됩니다. 전시 이외에도 세미나나 워크숍 등 각종 활동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치앙라이 각지에 있는 62개 이상의 장소에서 행사가 펼쳐집니다. 이에 앞으로 국내외 관광객들이 치앙라이를 많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며 호텔이나 식당 등 지역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금 치앙라이는 날씨가 좋고 미세먼지도 없습니다. 성수기라 호텔이 거의 만실이니 서둘러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นายกฯ เปิดงาน Thailand Biennale Chiang Rai 2023/MCOT, 12.10, 방송, 12:43∼12:45,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www.youtube.com/watch?v=_GKyHB5wpII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쑤완나품 국제공항, ‘자동 출국 여권 심사기(Automatic channel) 시스템’ 가동 (사진출처 : kebun.firenews) 쑤완나품 국제공항에서 ‘자동 출국 여권 심사기(Automatic channel) 시스템’이 12월 15일부터 가동한다. 전자여권을 소지한 외국인도 이용이 가능하다. 쑤완나품 국제공항에는 2012년부터 16대의 기계가 설치되었으며, 태국인만 이 시스템을 아용할 수 있었지만, 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서 전자여권을 소지한 외국인도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자동 출국 여권 심사대를 이용하게 되면 시간당 5,000명에서 12,000명으로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존 16대에서 80대로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자동 출국 여권 심사기는 태국에서 출국이 금지된 법원 명령이 내려진 사람, 체포영장이 발부된 사람, 오버스테이를 한 사람은 여전히 담당 직원에 의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돈므앙 공항에도 국제선 출발기 4대, 국제선 도착기 4대를 대체해 8대를 설치해 이전보다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인 최신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 ▶ 한국문화원, ‘봄을 기다리며(Wating for Spring)’ 전시에 여러분을 초대 (사진출처 : The Nation) 주태국 한국문화원은 12월 7일 문화원에서 ‘봄을 기다리며’ 전시 개막식을 개최했다. 12월 7일부터 2024년 3월 29일까지 진행하는 이번 전시는 재태 한인작가 예향과 예서회 소속 작가 등 총 10명이 한국 전통 수묵화의 아름다움을 담은 64개 작품을 전시한다. 개막식에는 박용민 주태국 한국대사, 조재일 문화원장, 전시 참여 작가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박용민 대사는 개회사를 통해 “수묵화에 스며든 묵향을 통해 보는 사람도 함께 공감하며 작가의 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을 것”이라며 “‘봄을 기다리며’ 전시를 통해 한국의 봄을 태국에서 만나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예향 작가는 “예서회 회원들의 작품을 선보이게 되어 큰 영광으로 생각하며 사랑과 정성이 담긴 작품으로 봄의 설렘과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작가 대표 인사를 전했다. 이날 축하공연으로 신민원 소프라노가 가곡 ‘봄처녀’와 ‘강 건너 봄이 오듯’을 열창했다. 수묵화는 산수의 특징을 있는 선과 먹색으로 담아 전승되어 오고 있는 한국의 전통문화로, 한국인들은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며 정신 수양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백을 중시하는 수묵화와 글자를 바르게 쓰는 서예를 하기도 한다. 전시작들은 봄을 기다리는 마음을 주제로 먹을 사용해 사랑, 평화, 자연의 아름다움 등을 담았으며 태국의 꽃과 과일 등을 그린 작품들과 서예 작품들도 있다. 이번 전시는 주중 매일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수쿰빗 도로 15∼17에 위치한 주태국 한국문화원에서 진행하며 전시 관람은 무료임. 한편 문화원은 이번 전시 기간 중 수묵화 워크숍을 2회(회당 30명) 개최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문화원 페이스북(koreanculturalcenterTH)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vites you to the "Waiting for Spring" Exhibition/The Nation, 12.9,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nationthailand.com/lifestyle/art-culture/40033644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방콕 유명 사원과 국립박물관, 12월 24일~1월 2일 기간 동안 밤에도 오픈 (사진출처 : Komchadleuk) 새해를 축하하며 태국 관광과 '소프트 파워'를 홍보하기 위해 방콕 유명 10개 사원과 국립박물관이 12월 24일부터 2024년 1월 2일까지 야간에도 오픈한다. 썸싹 문화부 장관은 더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관광 분야의 소프트 파워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태국 정부가 ‘Thailand Winter Festivals’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문화부는 태국 관광청, 방콕시청(BMA)과 협력하여 2023년 12월 24일부터 2024년 1월 2일까지 야간에도 오픈하는 방콕 소재 10개의 사원은 다음과 같다. 1. 라차보핏 사원 (Wat Ratchabophit) 2. 황금 불 사원 (Wat Traimit) 3. 왓포 (Wat Pho) 4. 쁘라유라웡싸왓 워라위한 사원 (Wat Prayurawongsawas) 5. 마하탓 사원 (Wat Mahathat Yuwaratrangsarit) 6. 쑤탓 사원 (Wat Suthat) 7. 새벽 사원 (Wat Arun) 8. 대리석 사원 (Wat Benchamabophit) 9. 라차낫다람위한 사원 (Wat Ratchanatdaram) 10. 라캉코씨따람 사원 (Wat Rakhang Khositaram) * 위 10개 사원은 오후 6시부터 밤 9시까지 야간에 조명을 켜고, 왓 수탓 테프와라람 방콕 국립박물관은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개장한다. 자세한 사항은 문화부 핫라인 1765로 문의할 수 있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12월 10일~11일 태국 뉴스

2023/12/10 19:53:51

▶ 태국, OECD 가입 추진…인도네시아와 '동남아 1호' 경쟁 정부, 가입 신청 준비…"승인 과정에 5∼7년 예상" 방콕항 전경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이 선진국 진입 관문의 하나로 꼽히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을 추진한다. 10일 현지 매체 네이션에 따르면 정부가 곧 OECD 가입을 위한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 다누차 피차야난 사무총장이 전날 밝혔다. 다누차 사무총장은 먼저 OECD에 가입의향서를 제출해야 하며, 이후 승인 과정이 5∼7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기간 필요한 요건 등을 충족하도록 OECD 측과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OECD는 경제 발전과 세계 무역 촉진을 목표로 1961년 설립된 국제기구로, 현재 회원국은 38개국이다. 회원국 중에는 개발도상국도 일부 포함돼 있지만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호주 등 선진국들이 대부분 가입해 '선진국 클럽'으로도 불린다. 아시아에서는 한국과 일본이 회원국이다. 현재 기준으로 태국이 가입하면 아시아 세 번째, 동남아시아에서는 첫 번째 회원국이 된다. 동남아 국가로는 태국 외에 인도네시아가 OECD 가입을 추진 중이다. 다누차 사무총장은 "다른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와 비교하면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가입에 다가간 상태"라며 "회원국이 되면 투자자들 신뢰를 높이고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태국이 가입 목표를 달성하려면 아직 규정과 법률 개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가입을 위해서는 OECD 산하 22개 위원회 평가를 거쳐야 한다. 입법, 정책, 관행 등이 OECD 표준에 부합하면 공식 회원국으로 초청되고, 의회 비준 등을 거쳐 정식 가입하게 된다. ▶ 11월 태국 물가상승률 33개월 만에 최저치 기록 (사진출처 : The Nation) 지난 7일 무역정책전략실(TPSO)은 태국의 11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2개월 연속 하락해 33개월 만에 최저치인 -0.4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무역정책전략실 사무총장 푼퐁 나이야나파콘은 연료 가소홀 91과 디젤의 가격을 제한하는 정부의 조치로 물가가 하락했기 때문에 디플레이션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태국 상무부는 2023년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1~1.7%의 중앙값인 1.35%로 예측하였고 2024년에는 -0.3%에서 1.7%로 전망했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nationthailand.com/thailand/economy/40033592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700334/thai-inflation-lowest-in-33-months-commerce-ministry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무에타이 세계화 박차…"수출 1순위 소프트파워" 지도자 파견·해외 마스터클래스·무에타이 유학 등 추진 태국 무에타이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이 전통 무술 무에타이를 '소프트파워'로 주목하며 세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10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세타 타위신 태국 총리는 지난 8일 정부 청사에서 국가소프트파워전략위원회 등 관련 부처 관계자들과 무에타이 세계화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무에타이 수요 증가에 대비해 지도자 해외 파견을 준비하고, 이들의 비자와 취업 허가 신청 등에 편의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외국에서 마스터클래스를 개최하는 등 무에타이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태국을 찾는 무에타이 유학생에게 거주 허가를 제공하고, 무에타이를 학교 수업 과목으로 장려하는 방안도 계획 중이다. 세타 총리는 "전통 무술은 최우선으로 수출할 소프트파워 분야로, 큰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며 "무에타이의 인기가 확산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부아카오'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전설적인 무에타이 선수 솜밧 반차멕(41)도 참석했다. 역대 최고의 무에타이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부아카오는 태국의 국민적인 영웅으로 '툼디: 부러진 검의 전설' 등 영화에도 출연했다. 태국은 소프트파워 진흥을 역점 사업으로 삼고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무에타이를 비롯해 영화, 음식, 음악, 축제, 관광, 패션 등의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지난 9월 국가소프트파워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세타 총리가 직접 위원장을 맡았다. 정부는 소프트파워 강화를 책임질 핵심 기관으로 한국의 콘텐츠진흥원을 벤치마킹한 태국콘텐츠진흥원(THACCA)도 설립한다. ▶ 국무회의서 디지털 지갑 정책의 대출 법안 합법성 여부 결정 (사진출처 : The Nation) 지난 4일 세타 타위신 태국 총리는 내각 회의 후 언론에 재무부가 이번 주에 5,000억 바트 규모의 디지털 지갑 계획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대출 법안 발행의 적법성에 관해 국무회의를 통해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태국 재무부 차관 쭌라펀은 차입 법안과 관련된 금융법이 많지 않기 때문에 국무원들의 승인을 받으면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일 내각 회의에서 디지털 지갑 지급을 받을 자격이 없는 태국인들에게 최대 50,000바트의 세금 환급을 제공하는 E-Refund로 알려진 간편 전자 영수증(Easy E-Receipt) 프로그램을 승인했다. * 간편 전자 영수증(Easy E-Receipt) 프로그램은 1월 1일부터 2월 15일, 즉 45일간 운영되며, 전자 세금계산서 및 전자영수증을 발행하는 적격 사업체에서 지출한 금액에 대해 세금 환급받을 수 있음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nationthailand.com/thailand/policies/40033503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주태국 한국문화원, 한국 전통 수묵화 전시회 '봄을 기다리며' 개최 (사진출처 : Thai Post) 주태국 한국문화원이 '봄을 기다리며'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한국 전통 수묵화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12월 7일부터 2024년 3월 29일까지 재태 한인작가 예향과 예서 아트클럽 등 작가 10명의 작품 40여 개를 전시한다. 박용민 주태국대사는 개회사를 통해 모든 참석자들에게 감사를 전하고 작가들이 영감을 받아 창작한 작품은 오랫동안 존재해 온 한국의 정체성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또한 조재일 주태국 한국문화원장은 전시를 소개하며 이번 '봄을 기다리며'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한국의 봄을 느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대사, 문화원장, 한인 작가 10명은 함께 리본을 자르며 전시를 개막했다. 한국은 오랜 수묵화의 역사를 갖고 있고 이는 재태 한인작가 10명이 세심하게 창작한 작품에 중요한 특징으로 남아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봄의 설렘을 표현했다. 지금 한국은 겨울이지만 이번 전시를 통해 태국에서 한국의 봄을 경험할 수 있다. 전시작들은 선과 먹색으로 사랑, 평화, 자연의 아름다움 등을 독특하고 매력적으로 표현했다. 또한 몇몇 작품들은 태국의 꽃과 과일 등을 작가들의 시각으로 그려내 관람객들이 친숙하고 편안하게 느낄 수 있다. 개막식에는 한국인 소프라노 신민원 씨와 태국인 현악 5중주의 공연도 있었다. 이번 전시는 수쿰윗 대로에 위차한 문화원에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하며 전시 관람은 무료이다. (“เอกอัครราชทูตเกาหลี” เชิญคนไทยเที่ยวชม นิทรรศการศิลปะ “Waiting for Spring”/타이포스트, 12.7, 방송,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youtube.com/watch?v=39w24FLOtcM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인도네시아, 태국 쌀 최대 수입국으로 등극 (사진출처 : The Nation) 인도네시아, 엘니뇨 현상으로 인한 극심한 가뭄과 우기 시작 지연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으면서 태국 쌀의 인도네시아 수출이 급증했다. * 인도네시아는 올해 1~10월 동안 태국 쌀 105만 톤(5억2,345만 달러)을 수입해 최대 수입국이 됨 한편, 태국의 1~10월 누계 쌀 수출량은 총 692만 톤, 39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4%, 24.7% 증가했으며, 태국의 상위 5개 쌀 수입국은 인도네시아, 미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라크, 중국 순이다. 지난 5일 나핀톤 쓰리싼팡 상무부 차관은 인도네시아로 수출되는 쌀의 대부분은 백미라고 밝히며, 태국은 소비자 수요에 초점을 맞춰 쌀 품종 개발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원문 기사 출처: https://www.nationthailand.com/thailand/economy/40033524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푸켓 유흥업소 12월 15일부터 영업시간 새벽 4시까지 시범 연장 운영 (사진출처 : Matichon) 세계적인 태국 남부 휴양지 푸켓에서는 술집이나 클럽 등 유흥업소에 대한 영업시간이 12월 15일부터 시험적으로 오전 4시까지 연장된다. 푸켓 도청 관계자는 “푸켓에서는 시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공청회를 열었으며, 공청회에서 유흥업소 영업시간이 오전 4시까지로 연장하는 것이 합의됐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푸켓 빠통(Patong) 지역 등 6개 zone 및 6개 zone 밖에 위치한 229개 중 106개 업소에서 영업시간이 연장된다. 영업시간 연장에 따라 업소 매출이 30~50% 상승하고, 종업원 고용도 20~30%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