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10개국, 국기 살펴보기

2021/02/02 15:05:30

기사참조 : 아세안문화원 대한민국 신남방정책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아세안 경제 공동체,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은 줄여서 아세안(ASEAN)이라고 부른다.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그리고 베트남(이상 알바벳 순) 등 10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대한민국 외교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아세안 10개국의 인구는 총 6억 6천만명이라고 한다. 이는 세계 3위의 수준이며 국내총생산(GDP) 2조 5천억 달러의 거대 시장으로 코로나 이전까지는 매년 5% 이상의 역동적인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들이다. 한국 정부는 이런 주요 성장 지역 아세안 국가들과 협력 수준을 미국과 중국, 일본 그리고 러시아 등 주변 4개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골자로 한 ‘신남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에 대한 의지로 지난 2019년 11월에는 부산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하기도 했다. 무한한 성장 잠재력과 젊고 역동적인 성장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아세안 10개국은 그러나 일부 유명 국가들을 제외하고는 우리 한국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지역은 아니다. 1992년 아세안 연합과 완전 대화상대국 관계가 형성된 이후에도 여전히 모든 나라들을 아우르는 수준이 되고 있지는 못하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 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아세안문화원에서 발표한 아세안 10개국에서 사용하는 국기의 모양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아세안 로고 아세안 연합을 상징하는 아세안 상징기는 노란색 볏자루 모양이다. 안정과 평화, 화홥, 역동성을 상징하며 로고에 사용된 파란색, 빨간색, 흰색, 노란색은 각각의 아세안 국가들을 대표하는 색상이라고 한다. 파란색은 평화와 안정, 빨간색은 용기와 활동성, 흰색은 순수함, 노란색은 번영을 의미한다. 중간의 노란색 볏자루 모양은 아세안 10개 회원국의 우정과 협력 증진에 대한 바램이며 동그란 띠는 아세안의 화합을 상징한다. 브루나이 다루살람(Brunai) 브루나이 다루살람 국기의 노란색은 국왕을 상징한다. 해당 국기는 영국 보호령이었던 1906년 영국과 협정 체결을 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 전체적인 노란색 배경은 국왕(술탄)을 상징하며 우측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내려가는 사선의 하얀색과 검은색 사선과 노란색은 영국과의 협정시 서명한 3인을 상징한다. 즉 노란색의 국왕과 백색과 흑색은 장관들을 의미한다고. 가운데 빨간색 국장은 브루나이 헌법이 공표된 1959년에 추가되었다. 캄보디아(Cambodia) 캄보디아 국기는 모두 파란색과 빨간색 그리고 중앙에 캄보디아의 대표 문화유적 앙코르와트를 형상화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바탕의 빨간색은 불의에 대항하는 투쟁과 강인한 캄보디아 정신을 의미하며 파란색은 농업과 환경을 상징한다. 인도네시아(Indonesia) 인도네시아 국기는 ‘쌍싸카메라푸티’(Sang Saka Merah Putih)라고 부른다. 이는 ‘빨갛고 하얀색의 보물’을 의미한다고. 전체적으로 용기를 상징하는 상단의 빨간색과 정신을 상징하는 하단의 하얀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때는 네덜란드의 식민지배에 대항해 독립 투쟁시 독립 인도네시아 깃발로 사용되다가 1945년 8월 독립선포 이후 인도네시아 정식 국기로 지정되었다. 라오스(Laos) 파란색과 빨간색 띠에 흰색 원으로 이루어져 있는 라오스 국기는 파란색은 국토를 빨간색은 용기를 그리고 흰색은 순수함을 상징한다. 광대한 국토와 그 국토를 지키이 위해 흘린 라오스인의 피와 용기 그리고 중앙 흰색은 순수한 마음과 건강을 상징한다고. 말레이시아(Malaysia)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이 결성되면서 채택된 국기로 14개의 빨간색과 흰색 가로 선은 연방정부와 13개주가 평등함을 상징하며 왼쪽 상단의 파란색은 단결을, 초승달은 이슬람교를 그리고 14개의 섬광을 발하는 별은 13개 주와 연방정부의 단결ㅇ르 의미하며 별과 초승달의 노란색은 국왕에 대한 충성을 상징한다. 미얀마(Myanmar) 2010년 10월 국명을 미얀마 연방(The Union of Myanmar)에서 미얀마연방공화국(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로 변경하면서 새롭게 채택된 미얀마 국기는 가로줄 노란색은 결속을, 가운데 초록색은 평화를 그리고 아래 빨간색은 용기를 의미하며 가운데의 흰 별은 단일성과 결속을 상징한다. 필리핀(Philippines) 1898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처음 사용된 필리핀 국기는 지금까지 변치 않고 사용되고 있다. 왼쪽 흰색 삼각형은 자유, 평등, 우애를 나타내며 파란색은 평화, 진실, 정의를 빨간색은 애국심과 용맹을 상징한다. 재미있는 것은 전생시에는 빨간색과 파란색이 서로 위치가 바뀐다고 한다. 흰색 삼각형안의 노란 태양은 자유를 의미하며, 가운데 태양의 여덟갈래 빛은 스페인 식민시절 계엄령에 최초로 대항한 8개주를 의미하며 세개의 별은 각각 루쏜, 비사야스 그리고 민다나오 등 필리핀 주요 3개 지역을 의미한다. 싱가포르(Singapore) 1959년 싱가폴 독립 자치 이전부터 사용되었던 자치정부 깃발을 독립 이후에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상부의 빨간색은 동포애와 인류애를 의미하며 하반부 흰색은 순결과 미덕을 의미한다. 5개의 별은 민주, 평화, 진보, 평등, 공정 등 5개의 이상을 의미하며 초승달은 5대 이상을 향해 전진하는 신생 싱가포르를 의미한다. 태국(Thailand) 짜끄리왕조 라마6세때부터 사용하고 있는 국기로 가운데 파란색은 국왕을, 흰색은 불교 그리고 빨간색은 국민의 피를 상징한다. 불교의 정신으로 국민의 피로써 국왕을 수호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베트남(Vietnam) ‘금성홍기’라고도 불리는 베트남 국기는 1945년 9월 29일 베트남 민주공화국이 탄생하면서부터 사용되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후 별의 각을 더욱 날카롭게 수정하여 사용한 베트남 국기는 원래 북베트남 국기로 제정되었었다가 이후 1976년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통일국가의 국기로 줄곧 사용되고 있다. 배경의 붉은색은 혁명의 피와 조국의 정신을 의미하며 가운데 금색 별의 다섯 꼭지는 노동자, 농민, 지식인과 상인 그리고 군인의 단결을 상징한다.

한국어 능통 사용 인구 전 세계 7940만 명

2021/01/22 12:43:01

제1언어 사용 인구도 세계 14위 제2언어 사용자로 210만명 추산 경기 광명갑 임오경 의원(더불어민주당/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총 7730만 명으로 전 세계 14위(1.004%)라고 밝혔다. 임오경 의원실에서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세계의 각종 언어 관련 통계를 다루는 ‘에스놀로그(Ethnologue)’의 23판 자료(2020년 2월 발표)에 따르면 한국어 제1언어 사용인구는 7,730만 명으로, 1위 중국어, 2위 스페인어, 3위 영어, 4위 힌디어 등에 이어 13위 터키어 다음으로 14위를 기록했다. 임 의원 사무실에서 직접 받은 보도자료에 따르면, 만다린 중국어 사용자가 9억 1800만 명으로 세계 전체 인구의 11.9%, 스페인어가 6%, 영어가 4.9%였으며, 한국어는 1%였다. 또한 한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일부 재외동포를 포함한 제2언어 포함 한국어 사용인구는 7940만 명으로 전 세계 22위로 나타났다. 제2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210만명으로 추산되는 셈이다. 현재 재외동포 인구를 750만 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고 대부분이 한국어를 실생활에서 사용하고 있어, 실제로는 에스놀로그의 자료보다 더 많은 한인들이 이중언어 즉 제2언어가 아니라 복수 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나라는 대한민국과 북한뿐만 아니라 세계의 동포 사회가 한국어 사용군이라고 할 수 있으며, 외국인 유학생과 해외 한류동호인들도 한국어 수요층이라고 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한류와 우리 문화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한국어에 대한 세계적 관심도가 증가했다는 판단으로 ‘한국어 확산계획(2020-2022)’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대표적 한국어 보급 기관인 세종학당재단이 지정하는 ‘세종학당’을 2019년 180개소에서 2020년 270개소까지 확대하되,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세계적 위기상황 속에서 비대면 방식의 한국어 학습에 집중할 계획이다. 임 의원은 “한국어는 한국문화의 정수(精髓)이자 우리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정부는 세계 속에 한국어 확산을 통해 우리 문화와 산업을 확장하고, 나아가 국가 위상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한인언론인협회 공동취재단_표영태 기자

태국 수입규제 세미나

2020/12/10 15:04:55

-비관세장벽, 반덤핑관세, 상계관세와 세이프가드 등 무역 구제제도 -최근 태국의 무역구제제도의 변화와 발전 강사 : Mr. Apisith John Sutham (Senior Council of Weerawong Chinnavat & Partners) 지난 12월 2일 방콕 소재 레디슨블루 플라자 호텔에서는 주태대한민국대사관 주최, 한태상공회의소 주관 태국 수입규제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주요 주제는 태국의 무역구제제도와 반덤핑관세, 세이프가드 그리고 상계관세 등이었으며 강사는 태국 Weerawong C&P - Thailand’s Leading Law Firm의 수석변호사 Mr Apisith John Sutham씨가 해 주었다. 무역구제제도(trade remedies , 貿易救濟制度)는 특정 물품의 덤핑수입이나 외국정부로부터 보조금이나 장려금의 수령 또는 특정 물품의 수입증가로 인해 국내 산업이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을 경우 해당 수입물품에 대해 관세조치 및 비관세 조치 등의 구제 조치로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런 무역구제제도의 주요 구제조치로는 반덤핑관세, 상계관세, 반덤핑관세와 세이프가드로 구분할 수 있다. 주태국대한민국대사관 박태현 상무관 주태국대한민국대사관 박태현 상무관은 우리 대한민국과 태국간의 무역구제제도로 발생한 반덤핑 규제와 세이프가드 조치의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해 주었다. [반덤핑 규제] 태국은 2002~2020년 9월까지 우리나라에 대해 총 15건의 반덤핑 조사를 하였으며, 이 중 5건에 대해서는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7건은 조사 종료, 3건은 조사 중에 있다. 특히 태국의 대한국 반덤핑 조사가 2010년대에 들어 10건이나 이루어지는 등 최근 태국이 보호주의 수단으로 반덤핑제도를 활용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태국 상무부 대외무역국 산하 무역통상구제조치국에 의하면, 2020년 9월 기준 태국이 한국에 대해 반덤핑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5건 모두가 철강금속제품(스테인리스 압연강판(냉간압연품), 재압연용 열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스테인리스스틸 파이프 및 튜브, 강관)에 대한 것이다. 대 한국 반덤핑 조사 관련, 태국 정부는 2019년 10월 17일부로 한국산 및 중국산 도색아연도금강판(HS 7210.70, 7212.40, 7225.99, 7226.99)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 또한, 2020년 4월 7일 한국, 대만, 중국, 유럽산 석도강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하였으며, 2020년 5월 15일부로 한국, 중국, 유럽산 크롬 도금강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다. [세이프가드 조치] 태국은 한국과 관련하여 6건의 세이프가드 조사를 하였고, 이 중 5건은 조사 종료되어 현제 규제중인 세이프가드 품목은 없으나, 2020년 1건에 대해 신규 조사에 착수했다. 2014년 12월24일부터 부과되었던 비합금 평판 열간압연강에 대한 세이프가드 관세는 2020년 6월 7일부로 재연장 없이 부과 종료되었다. 한편, 태국 상무부 대외무역국은 2020년 9월 17일부로 알루미늄호일에 관한 세이프가드 조사에 착수했다. 태국 상무부 대외무역국(Department of Foreign Trade)은 자국 철강업체의 요청에 따라 중국, 한국, 대만, 베트남 등 수입산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규제를 강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반덤핑과 세이프가드 조치 모두 규제가 시작되면 연장되는 경우가 많아(반덤핑의 경우 5년 부과 후 5년 연장, 세이프가드 규제의 경우 3년 부과 후 3년 연장 등) 이들 품목을 수출하는 우리기업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GBC(경기비지니스센터)
Korea Trade Mission 방콕! 개최

2020/12/10 11:47:29

-유투브 라이브, 온라인 수출상담회로 태국 시장을 뚫는다 -경기도와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 경기비지니스 방콕 센터(이하 GBC)에서는 지난 11월 25일 방콕 수쿰빗 소재 웨스틴 호텔에서 “2020 Korea Trade Mission”(경기도 동남아 화상 상담 통상 촉진 수출상담회)을 진행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일명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GBC방콕(센터장 이상준)이 개소 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주로 온라인으로만 징행되던 화상미팅을 처음으로 대면과 비대면을 병행하는 형식으로 처음 진행한 행사였다. 페이스북과 유투브 등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한 이번 상담회는 기존의 한가지 방식만으로 자칫 진행에 오류가 있거나 단순한 포맷으로 집중이 안되는 점을 보완해 좋은 호응을 얻은 상담회였다. 한층 업그레이드 된 이번 라이브 상담회로 인해 한국기업과 태국기업 모두 직접 현장에 나와있는 느낌을 적극적으로 살려 진행되었다. 한국 기업 10여개사와 태국 바이어 회사 47개사가 참여한 이번 상담회는 유아용품, 스킨케어 화장품, 디지털 도어락, 애견용품 등 다양한 업종으로 구성되었으며 B2C와 B2B를 통시에 진행하는 방식이어서 현장 방문 35개 업체, 참석인원 50여명 모두에게 좋은 반응을 얻어냈다. 한편 이번 행사에 특별 초대된 코트라 방콕무역관 김현태 관장은 “GBC방콕 개소후 첫 대면 행사를 축하하며 태국에 한국 기업 진출과 관련하여 코트라 방콕무역관 역시 교류와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태상공회의소 김도순 회장도 이번 행사를 참관하여 유투브 라이브 스티리밍을 통해 실시간 바이어와 기업간 피드백을 빠르게 주고 받는 시스템을 보고 놀라워 했으며 현재의 코로나19 상황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우리 한국 기업들의 태국 진출이 반드시 성공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GBC Korea Trade Mission의 현장 온라이 라이브 시스템은 KORI Studio(대표 박태웅)에서 총괄지휘했다.

2020 하반기 태국 진출기업 간담회

2020/12/10 11:17:10

주태국대한민국대사관(대사 이욱헌)은 지난 11월 25일 수쿰빗 소재 칼튼 호텔에서 하반기 태국 진출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한태상공회의소(회장 김도순)와 공동 주최한 이번 간담회는 코트라 방콕무역관(관장 김현태)과 세계한인무역협회 태국지회(장은경 지회장)의 후원으로 이뤄졌다. 약 26개 다양한 업종의 태국 진출 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펼쳐진 이날 행사는 이욱헌 대사의 개회사, 박태현 상무관의 최근 통상환경 변화와 태국 경제동향과 코트라 방콕무역관 김현태 관장의 태국 진출전략과 2021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 등에 대한 주제로 발표되었다. 또한 각 참석자들의 현재 기업현황과 현안 그리고 애로사항과 2021년 사업 전망 등 다양한 정보들도 함께 공유되었다. 이욱헌 대사는 개회사를 통해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사태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인들이 불철주야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에 큰 감명을 받았다”고 전하며 “연초 태국에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벌써 11개월이 지나 1년 가까이 코로나 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업종별로 희비가 엇갈리는 상황이겠지만 이런 새로운 상황에 대응하며 저희 공관에서 할 수 있는 도움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 약속했다. 박태현 상무관은 약 20여페이지에 달하는 태국과 미국 그리고 RCEP 협정의 의의 등 매우 전문적인 내용의 경제정책과 동향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2020년 1월부터 9월까지의 한태 교역동향과 2021년 태국 경제전망에 대해서 아주 자세한 브리핑을 하는 모습이었다. 김현태 코트라 방콕무역관 관장은 설명회를 통해 태국 진출전략의 시장평가 및 주요 이슈 특히 코로나19 극복과 침체된 경기회복 관련, 태국 비지니스 환경과 진출전략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이어졌다. 또한 전세계에 퍼져있는 코트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각 지역에서 엄선한 글로벌 뉴비즈니스 책자를 소개하며 세계의 트렌드를 설명했다. 김현태 관장은 책자에 소개된 내용중 ‘우표크기 3g 체온계로 24시간 밀착체크가 가능한’ 대만의 체온계와, 방콕의 경비로봇 SR1 등을 소개하며 현재 진행중인 전 세계 트렌드를 소개하기도 했다. *2021 한국이 열광할 세계트렌드 책자 표지(KOTRA가 엄선한 글로벌 뉴비즈니스는 한국 서점에서 8년 연속 베스트셀러로 선정되었다

GP(Global Partner) Asia 2020 in Thailand

2020/12/09 10:06:32

-자동차 / 전기와 전자 - 지난 12월 3일 목요일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와 주태국대한민국대사관이 후원하고 코트라 방콕무역관과 태국산업연맹(FTI)이 공동 주관한 글로벌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우리 기업의 태국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GP(Global Partner) Asia 2020 in Thailand를 개최됐다. 본 행사의 추진 배경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급변하는 글로벌 밸류 체인에 대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GVC(Global Value Chain), 즉 원자재 조달과 가공, 조립 및 판매 등 제품의 생산과 관련된 활동을 어느 한 기업이 전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여러 다른 기업과 서로 다른 지역에서 분업하고 있는 현재의 통상과 교역의 특징을 의미한다. 특히 자동차와 전기 그리고 전자 부문에서 이런 GVC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번 코트라의 GP Asia 2020은 한국과 태국의 글로벌 파트너링 강화를 위해 추진되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태국산업연맹은 1967년 민간분야 기업들의 모임으로 설립된 비영리 민간단체이다. 해당 단체는 태국의 민간기업들을 대표하여 대정부 정책건의, 산업교육 및 인재개발, 증명서 발급 등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이욱헌 주태국대한민국대사와 김현태 코트라 방콕무역관 관장, 끄리엥끄라이 티엔누쿤, 꼰끄릿 주랑쿤 FTI 부회장 등이 참석하였으며 한국측 기업은 건화이엔지, 나우텍, 대동금속 등 자동차 부품과 IT 전기전자 관련 46개사와 태국측 Summit Auto Body Industry Co., Ltd, Fujitsu Co., Ltd 등 자동차와 전기전자 관련 52개 업체가 참가하였다. 김현태 코트라 방콕무역관 관장은 개회사에서 “태국은 지금 그 어느때보다 적극적으로 변화와 혁신의 시대를 대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협력 파트너를 찾고 있다” 역설하며 “태국의 협력 파트너로 신남방정책을 통해 그 어느때보다 아세안과 협력의지가 강한 한국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김현태 관장은 이어 “한태 양국의 협력은 이제 전통제조업이 아닌 ‘4차 산업’ 이라며 “태국의 인프라와 한국의 기술력이면 아세안지역을 넘어 세계 미래 먹거리 선점을 위한 훌륭한 파트너가 되리라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이욱헌 주태국대한민국대사는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은 무역과 투자 뿐 아니라 기술협력과 공동 R&D 등 다양하고 고도화된 협력 기회를 발굴하기 위한 사업으로 알고 있다”며 “오늘 사업을 통해 다양한 협력방안을 공유하고 나아가 실질적인 협력의 발판을 마련하길 기원한다”는 내용의 축사를 발표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태국 자동차와 부품 산업동향 및 협력방안과 태국 전기와 전자 산업동향 및 협력방안을 주제로 여러 발표자들이 발표하였으며 한국과 태국 글로벌 파트너링 상담회와 글로벌 파트너링 로드쇼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