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1일 태국 뉴스

2025/03/31 15:21:22

▶ 태국 방콕 '여진 공포'…"진동·균열" 신고에 대규모 대피 소동 오인 신고로 정부청사 등 대피령…당국 "미얀마 여진 영향 없어" 30일 거리로 대피한 방콕 시민들 [방콕포스트 SNS 캡처.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지난 28일 미얀마 강진 피해를 본 태국 방콕에서 여진 공포로 인한 오인 신고로 31일 대규모 대피 소동이 벌어졌다. 방콕포스트와 타이PBS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께 방콕 쨍와타나 지역 정부청사 건물, 딘댕 지역 노동부 건물, 라차다피섹 지역 법원 건물 등에서 대피가 이뤄졌다. 이후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정부청사 건물에서 진동과 균열이 보고돼 공무원들이 대피했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불안감이 고조됐다. 급기야 여러 고층 빌딩에서 대피 명령이 내려졌고, 도시 곳곳에서 사이렌이 울리면서 긴장감을 더했다. 고층 빌딩이 밀집한 실롬, 수쿰윗 지역 등 도심 사무실과 아파트에 있던 사람들이 대거 건물을 빠져나가 거리에 몰렸다. 한국 교민들도 불안한 마음으로 단톡방 등을 통해 시시각각 정보를 주고받았다. 공포감이 확산하는 가운데 정부는 미얀마에서 여진이 있지만 태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부청사에서는 한 공무원이 오해로 균열과 소음을 보고하면서 청사가 폐쇄되고 대피령이 내려진 것으로 전해졌다. 태국 기상청은 "미얀마에서 발생한 여진은 규모가 작아 태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패통탄 친나왓 총리와 찻찻 싯티판 방콕시장도 균열은 지난 28일 생긴 것이라며 시민들을 안심시켰다. 다만 일부 시민은 이날 실제로 진동을 느꼈다며 불안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방콕 사톤 지역에서 일하는 한 직장인은 "28일에 비하면 훨씬 약했지만 오늘도 진동을 느꼈다"고 주장했다. 지난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7.7 규모 지진으로 1천㎞ 이상 떨어진 방콕에서도 공사 중인 30층 높이 건물이 붕괴하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주태국 한국대사관은 이날 "지진 영향을 받은 방콕 일부 건물에 안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위험 시설에 접근을 삼가고 외출 시 유념해 달라고 당부했다. 주태국 한인회도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을 개설하고 지진 관련 상황을 안내하고 있다. 30일 거리로 대피한 방콕 시민들 [방콕포스트 SNS 캡처. 재배포 및 판매 금지] https://www.youtube.com/watch?v=zgxYmQmRfnk ▶ 태국서도 '붕괴 빌딩' 생존자 수색 사활…드론·탐지견도 투입 실종자 78명…방콕시장 "생명 징후 일부 포착, 희망 안 버려" 방콕 공사중 건물 붕괴 현장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얀마 내륙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태국 방콕에서 공사 중인 30층 건물이 무너진 현장에서 29일 구조작업이 펼쳐지고 있다. 2025.3.29 photo@yna.co.kr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지난 28일(현지시간) 발생한 미얀마 강진 영향으로 공사 중인 30층 높이 빌딩이 붕괴한 태국 방콕에서도 구조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31일 현지 매체 방콕포스트와 AFP통신 등에 따르면 구조대는 완전히 무너진 건물 잔해에 매몰된 것으로 추정되는 실종자 중 생존자를 찾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 열화상 카메라 장착 드론과 탐지견 등을 투입해 수색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일부 생체신호가 감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찻찻 싯티판 방콕시장은 생명 징후가 일부 포착되고 있다며 "아직 생존자를 발견할 기회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희망을 버리지 않고 노력 중"이라고 전날 밝혔다. 그는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며 "미국, 중국, 이스라엘 등 여러 나라에서 구조 작업에 도움되는 장비를 지원받았다"고 덧붙였다. 방콕시는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최소 18명이며, 78명이 실종 상태라고 전날 밝혔다. 실종자 대부분이 붕괴 건물 공사 노동자들이며, 사망자 중 11명도 이 빌딩 붕괴 현장에서 나왔다. 당국은 피해자 국적을 밝히지 않았지만, 미얀마 노동자들이 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사상자는 방콕 다른 건설 현장 크레인 붕괴 사고, 고층 빌딩 엘리베이터 사고 등으로 발생했다. 지난 28일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방콕 명소 짜뚜짝 시장 인근에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감사원 신청사 건물이 완전히 무너졌다. 이번 지진으로 방콕 고층 빌딩들이 크게 흔들리고 부분적으로 파괴됐으나 완전히 무너진 것은 중국 국영기업 계열 건설사 등이 시공을 맡은 이 건물이 유일하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원인을 철저히 밝히라고 지시했고, 곧바로 조사가 시작됐다. 이와 관련해 중국인 여러 명이 건설 현장 사무실에서 서류와 전자기기 등을 급히 수거하다가 적발된 것으로 알려져 사고 관련 자료 은폐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갑작스러운 지진으로 큰 혼란을 겪은 태국은 점차 일상을 회복하고 있다. 방콕시는 핑크 라인 모노레일을 제외한 모든 방콕의 지상철·지하철 운행을 재개하고 손상된 도로 복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국가안전대책본부는 전날 오후 11시부로 재난 수준을 3단계에서 2단계로 내려 각 주지사가 해당 지역에 대한 명령·통제·지휘권을 행사하도록 했다. 대책본부는 피해 지역 구조·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상황이 개선되고 국민들의 생업이 정상적으로 회복되고 있다고 밝혔다. 방콕 건물 붕괴 실종자 가족들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얀마 내륙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태국 방콕에서 공사 중인 30층 건물이 무너진 현장에서 29일 실종자 가족들이 구조 작업을 바라보고 있다. 2025.3.29 photo@yna.co.kr ▶ 미얀마강진에 1천㎞거리 방콕 피해 왜?…"약한 지반·빌딩 밀집" 방콕, 2009년 이전 내진 종합 안전기준 미비…미얀마는 더 취약 방콕 공사중 빌딩 붕괴 현장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지난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강진은 이웃 나라 태국까지 흔들었다. 미얀마와 달리 태국은 지진 위험지역이 아닌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진앙에서 1천㎞ 이상 떨어진 수도 방콕이 직격탄을 맞아 시민과 관광객의 충격이 더 컸다. 미얀마 지진이 방콕에 영향을 미친 이유로는 7.7이라는 지진 규모와 10㎞에 불과한 진원 깊이 외에 방콕 지반 구조 등이 꼽힌다. 30일 영국 BBC 등에 따르면 방콕은 연약한 충적토 위에 자리 잡고 있어 지반이 더 심하게 흔들렸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반이 약하면 지진파 속도가 느려지면서 에너지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피해가 커진다. 또 방콕은 고층빌딩이 밀집해 있어 저층 건물 위주 다른 지역보다 지진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태국 북부 치앙마이 등 다른 주요 도시는 방콕보다 진앙과 더 가깝지만, 큰 피해는 없었다. 방콕에서는 짜뚜짝 시장 인근 공사 중 30층 높이 빌딩이 무너져 사상자와 매몰자가 발생했다. 이 사고를 포함해 이번 지진으로 인한 방콕 내 사망자는 이날 기준 17명, 실종자는 83명이다. 지진이 자주 발생하지 않는 태국에서 과거에는 건축 비용을 상승시키는 내진 설계가 일반화되지 않았다는 점도 거론된다. 2009년 이전에는 방콕시에 내진 관련 종합 안전 기준이 없었다고 크리스티안 말라가-우키타이페 런던 임페리얼대 교수는 BBC에 말했다. 이는 오래된 고층 건물은 특히 지진에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몬 피만나스 태국 구조공학협회장은 태국 43개 주에 내진 관련 규정이 있지만 내진 설계가 적용된 건물은 10% 미만일 것으로 추산했다. 그는 "방콕의 연약한 토양이 지진의 지반운동을 3∼4배 증폭시켜 건물 붕괴를 일으키는 요인이 됐을 수 있다"며 "그러나 철근 등 건축 자재 품질과 구조적 문제 등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어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얀마 건물은 태국보다 지진에 더 취약하다. 미얀마에서는 정기적으로 지진이 발생하지만, 내진 설계로 지어지는 건물은 거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언 왓킨슨 로얄홀로웨이대 교수는 "극심한 빈곤과 정치적 격변 속에서 미얀마는 지진에 따른 예측불가능한 위험에 집중하지 못했다"며 "이는 설계 규정이 시행되지 않고 급경사지 등 지진 위험이 커지는 곳에도 건축이 이뤄짐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 방콕서 지진에 왜 '건설 중' 33층 건물만 붕괴?…中시공사 조사 다른 빌딩·공사현장은 무사…무량판 구조 등 설계·시공 결함 가능성 中국영기업 계열사 시공…총리 "내 건설업계 경험상 이런 문제 처음 봐" 방콕 건물 붕괴 현장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얀마 강진으로 태국 방콕에서 공사 중 건물이 붕괴한 현장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미얀마 강진으로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33층 빌딩이 붕괴한 참사와 관련해 태국 정부가 시공사인 중국 국영기업 계열 건설회사 등을 상대로 조사에 착수했다. 지진 발생 장소에서 1천㎞ 이상 떨어진 방콕에서 다른 기존 건물이나 공사 현장은 인명피해가 없었는데 유독 이 건물만 와르르 붕괴했기 때문이다. 30일(현지시간) 방콕포스트·더네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전날 내무부 산하 공공사업·도시농촌계획국에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해 이번 사고를 철저히 조사, 1주일 안에 조사 결과를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패통탄 총리는 방콕 시내 수많은 건물과 공사 현장 중 무너진 곳은 이 건물뿐이며 대다수 건물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정계 입문 전까지 친나왓 일가의 부동산 사업을 관리한 그는 "건물 붕괴를 여러 각도에서 담은 많은 영상을 봤다"면서 "내 건설업계 경험상 이런 문제는 본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건설) 예산의 상당 부분이 배정됐고 완공 기한이 연장되었기 때문에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패통탄 총리는 위원회에 건물 설계, 설계 승인 기관, 승인 방법 등을 조사하고 붕괴 요인을 밝혀낼 것을 주문했다. 앞서 지난 28일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으로 방콕 명소 짜뚜짝 시장 인근에 건설 중이던 33층 높이의 태국 감사원 청사 건물이 완전히 무너졌다. 방콕시 당국에 따르면 이 사고로 지금까지 10명이 숨졌고 79명이 실종된 상태다. 이 건물은 지난 3년간 20억 밧(약 867억원) 이상의 예산을 들여 공사를 진행해 왔다. 공사를 맡은 곳은 중국 거대 국영기업인 중국철로총공사(CREC) 계열 건설회사인 '중철10국'의 태국 현지 합작법인과 '이탈리안·태국 개발'이다. 또 일부 전문가들은 빌딩이 대들보 등 보가 없이 수직 기둥에 바닥 슬래브가 곧바로 연결된 무량판 구조인 점과 방콕의 부드러운 토양을 문제로 지적했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로 인해 지진 발생 시 땅의 진동이 증폭됐을 수 있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특히 이미 지난해 3월 말 건물의 구조물 뼈대 공사가 끝났는데도 이곳만 붕괴한 것은 설계 또는 시공상 결함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한 토목 기술자는 텔레그래프에 "분명히 뭔가 잘못됐다"면서 "다른 모든 건물, 심지어 건설 중인 고층 건물들도 안전하다. 따라서 (이 건물의) 설계나 건설이 잘못됐을 것이지만, 결론을 내리기는 아직 이르다"고 지적했다. 한편, 찻찻 싯티판 방콕시장은 지진에 따른 방콕 내 건물 피해 사례 700여건을 조사하기로 했다고 전날 밝혔다. 방콕시는 지금까지 건물 피해 신고 약 2천 건을 접수했으며, 가장 심각한 사례부터 순서대로 조사할 방침이다. 구조 현장 바라보는 실종자 가족들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방콕 공사 중 건물 붕괴 실종자 가족 등이 구조작업 현장을 바라보고 있다. ▶ "태국, 강진 여파로 항공기 운항중단 명령"<현지언론> 혼란 속 진위 불투명…로이터 "방콕엔 모든 항공편 정상 운영" 28일(현지시간) 강진으로 무너진 태국의 건물 [EPA=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28일(현지시간) 미얀마 강진의 여파로 태국 당국이 항공기 운항을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현지언론 더 네이션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태국 항공 교통 관제국은 이날 태국 전역의 공항에 비행을 금지하라는 명령을 발동했다. 혼란 속에 전해진 이 같은 소식을 두고 일부 다른 보도도 나오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태국 민간항공부를 인용해 "강진 후 방콕에 들어오고 나가는 모든 항공편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방콕발로 보도했다.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 근처에서 발생한 이번 강진은 방콕까지 큰 충격파를 전했다. 건물이 흔들리고 건설 중인 고층 구조물이 무너지는 등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공포에 빠진 주민들이 길거리로 황급하게 대피했다. 더 네이션은 이날 강진 때문에 방콕 대중교통도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 [르포] '거대한 콘크리트 산'된 방콕 30층 빌딩…실종자 가족은 눈물만 미얀마 강진에 공사중 건물 무너져 수십명 매몰…"기적 바라며 기도" 방콕 건물 붕괴 현장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얀마 강진으로 태국 방콕에서 공사 중 건물이 붕괴한 현장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29일 오후(현지시간) 태국 최대 시장으로 꼽히는 방콕 명소 짜뚜짝 시장 주변. 평소에는 시민과 관광객들로 북적이는 곳이지만 무거운 긴장감이 감돌았다. 주변 도로가 전면 통제됐고 구급차 등 수십대 구조 차량이 줄지어 섰다. 분주하게 움직이는 구조대와 자원봉사자 등이 모인 곳으로 다가가자 믿기 힘든 풍경이 눈에 들어왔다. 임시로 설치한 벽 너머로 엿가락처럼 휜 철근 등이 뒤섞인 수십m 높이의 거대한 '콘크리트 산'이 나타났다. 전날 미얀마 강진 영향으로 공사 중이던 30층짜리 건물이 무너진 재난 현장이다.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이 폭삭 주저앉은 콘크리트 더미가 지진 충격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태국 정부 관계자와 언론이 전하는 수치가 제각각인 가운데 이날 오후 1시께 현장 지휘소 상황판에는 전체 실종자 96명 중 8명은 시신으로 발견됐고 8명은 부상한 채로 구조됐다는 집계가 적혀 있었다. 사상자 등을 제외하고 현재 매몰된 실종자는 79명이었다. 구조 현장 바라보는 실종자 가족들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방콕 공사 중 건물 붕괴 실종자 가족 등이 구조작업 현장을 바라보고 있다. 사고 현장을 바라보게 설치된 천막에는 실종자 가족 20∼30여명이 애타는 마음으로 모여 있었다. 이들은 황망한 눈빛으로 무너진 건물을 응시하며 기적적으로 가족이 생환하기를 소원했다. 흐르는 눈물을 연신 닦는 이도 보였다. https://cdnvod.yonhapnews.co.kr/yonhapnewsvod/202503/MCM20250331000007038_700M1.mp4 빌딩 붕괴 구조 현장 바라보는 실종자 가족들 [연합뉴스 촬영. 재판매 및 DB 금지] 한 정부 당국자는 "모두가 같은 마음으로 지켜보고 있다"며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 좋은 소식이 들리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원봉사를 위해 나왔다는 미국인 랜스 씨는 "현장을 보니 가슴이 찢어지고, 9·11테러로 무너진 세계무역센터 악몽이 떠오른다"며 "기적을 바라며 기도하겠다"고 말했다. https://cdnvod.yonhapnews.co.kr/yonhapnewsvod/202503/MCM20250331000001038_700M1.mp4 방콕 건물 붕괴 현장 [연합뉴스 촬영. 재판매 및 DB 금지] 붕괴한 건물은 태국 감사원 신청사다. 2020년 착공해 공정이 약 30% 진행됐으나, 구조물 자체는 최고층까지 올라갔다. 현장에서는 태국인과 외국인 노동자 약 400명이 일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근에는 건물 잔해에서 나온 분진이 도로와 인도를 뿌옇게 덮었고, 바람이 불 때마다 먼지가 날려 눈이 따끔거렸다. 자원봉사자 등이 연신 물을 뿌리며 청소했지만 쉽게 제거되지 않았다. 구조 지원 활동을 하는 태국 국적 루이스 씨는 "태국에서 지진으로 이런 일이 벌어질 줄은 상상도 하지 못했다"며 "건물이 완전히 무너진 모습을 보니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방콕 건물 붕괴 현장 주변 분진 제거 작업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방콕 건물 붕괴 현장 주변에서 분진이 쌓인 인도를 청소하고 있다. 짜두짝 시장은 일부 점포만 문을 열었고, 손님도 많지 않아 한산했다. 짜뚜짝 시장은 14만㎡ 이상 면적에 1만5천개 넘는 점포가 들어선 동남아 최대 시장 중 한 곳이다. 먹거리부터 공예품, 의류, 가구, 애완동물까지 다양한 물품을 판다. 주말에는 방문객이 2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날은 활기를 잃은 모습이었다. 한 상인은 "매일 영업 원칙을 지키느라 문을 열었지만 손님이 많지 않다"며 "보시다시피 주변 가게들은 문을 닫았다"며 건물 붕괴 참사를 안타까워했다. 전날 갑작스러운 지진으로 대혼란을 겪은 방콕 시내는 이날 다소 안정을 찾았지만, 당국과 시민들은 여전히 여진 가능성에 대비하며 조심스러운 모습이었다. 전날 지진 이후 사실상 마비 상태가 됐던 방콕 시내 도로에는 가장 혼잡한 토요일임에도 다니는 차가 평소보다 적었다. 중단됐던 전철 운행은 일부 재개됐다. 태국에서는 미얀마 진앙으로부터 1천㎞ 이상 떨어진 방콕을 비롯해 북부 치앙마이와 치앙라이 등 총 10개 주에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산한 짜뚜짝 시장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29일 오후 건물 붕괴 현장 인근 짜뚜짝 시장의 한산한 모습. ▶ 카지노 법안 통과에 시민단체·야당 반발 확산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내각이 카지노 및 엔터테인먼트 단지 조성 법안을 승인하자, 정부청사 앞에서 야당을 비롯한 시민단체 약 80명이 시위를 벌이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정부가 국민 여론을 무시하고 사행산업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 * 최근 온라인 공청회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80%가 법안에 찬성했지만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도박의 사회적 부작용에 대한 국민 우려도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남. 정부는 이번 엔터테인먼트 단지 조성 법안을 통해 연간 외국인 관광객이 5~10% 증가, 약 1,000억 바트(약 4조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시민단체는 해당 법안이 총리의 국정 공약에도 포함되지 않았고, 충분한 연구나 사회적 논의 없이 밀어붙이고 있다고 주장, 야당인 국민당(PP)은 도박 산업이 부패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면서 중국이 자국민의 해외 도박을 규제할 경우 태국 관광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법안에 따르면 관광객 유치와 세수 확보를 목표로 태국인이 카지노에 입장하려면 입장료 5,000바트(약 22만 원)와 5,000만 바트(약 22억 원) 이상의 자산 증명이 필요하다는 조건이 담겨 있다. (다만, 정부는 자산 요건은 향후 삭제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음) 또한, 카지노 운영자는 자금세탁방지법 적용을 받으며, 도박 활동은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방송하는 것이 금지된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2989312/casino-bill-foes-step-up-protest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르포] 미얀마 강진에 태국 방콕 건물 '쩍'…극한 공포에 '맨발 탈출' 고층 건물 벽 갈라지자 '혼비백산'…여진 우려에 공원 등서 밤 지새기도 미얀마 지진으로 피해 입은 태국 고층 빌딩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평온하던 금요일 오후 1시께, 태국 수도 방콕 도심 수쿰윗 지역 35층 건물에서 기자가 노트북을 보는데 갑자기 화면이 흔들렸다. 진동이 느껴지고 멀미 나듯 속이 울렁였다. 이때만 해도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인지 긴가민가했다. 그러나 곧이어 가구뿐만 아니라 건물 전체가 흔들렸고, 벽지가 찢어지며 벽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마치 악몽을 꾸는 듯 순식간에 벌어진 일에 복도로 나가보니 마치 금방이라도 건물이 무너질 것처럼 벽면이 갈라지고 천장 일부가 뜯어져 내렸다. 기자는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본능적으로 비상계단을 찾았다. 23층부터 1층까지 뛰어 내려갔다. 10여층을 슬리퍼를 신고 허겁지겁 내려가다 보니 다리에 힘이 풀렸지만 공포감 때문에 멈출 수 없었다. 중간에 슬리퍼가 뜯어져 맨발로 뛰다시피 했다. 급하게 탈출하느라 지갑은 물론 휴대전화도 챙기지 못해 빈손이었다. 회사와 가족에게 연락하지 못해 속이 타들어 갔고, 극심한 갈증에도 물을 사지 못해 참아야 했다. 목숨은 건졌다고 안도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건물 밖으로 나가자 영문도 모른 채 혼비백산한 사람들이 모였다. 급히 빠져나오느라 속옷 차림이거나 기자처럼 아예 맨발인 이들도 보였다. 급하게 뛰느라 발목이 부러진 사람도 있었다. 한마디로 아비규환이었다.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고 외국 관광객도 많이 찾는 수쿰윗 지역 호텔과 빌딩마다 1층 외곽에는 건물에서 쏟아져 나온 사람들로 가득했다. 이들은 휴대전화로 뉴스를 확인하는 동시에 가족, 친지의 안부를 확인하느라 분주했다. 지진 여파로 전화와 인터넷 등 통신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았다. 곳곳에서 구급차 등이 내는 사이렌 소리가 울렸고, 도로는 심각한 체증으로 사실상 마비 상태가 됐다. 미얀마 중부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28일 오후 태국 수도 방콕도 이처럼 아수라장이 됐다. 방콕은 지진 발생 지역과 1천여㎞ 떨어졌지만,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 빌딩이 무너지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지진으로 교통이 마비된 방콕 시내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공포에 질린 사람들은 뒤늦게 미얀마 강진 영향이라는 말을 듣고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태국은 필리핀이나 인도네시아 등 주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진 안전지대'로 꼽히기에 이날 충격은 더욱 컸다. 태국인 옴 씨는 "살면서 오늘 같은 지진 공포는 처음 경험했다"며 "너무 무서웠다. 아직도 심장이 쿵쾅거린다"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일본 교민인 스즈카 씨는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던 중 지진으로 운행이 멈췄다"며 "밖에서 엘리베이터 문을 수동으로 열어서 가까스로 탈출했다"고 말했다. 건물 밖으로 탈출한 사람들은 여진 가능성이 있다는 예보에 가슴을 졸였다. 식당과 카페 등도 영업을 중단했고, 마땅히 갈 곳 없는 사람들은 건물 외부와 도로변 등에 앉아서 시간을 보내야 했다. 여진이 계속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사람들은 안전 점검이 완료될 때까지 고층 아파트로 다시 들어가지 못하고 외부에서 마냥 기다리는 상황이었다. 21층에 거주한다는 네덜란드인 판데이크 씨는 "아직 통제 상태여서 로비에서 기다리고 있다"며 "출입이 허용된다고 해도 겁이 나서 당장 올라갈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태국 정부는 여진을 대비해 24시간 비상령을 발동하고 고층 빌딩 출입과 엘리베이터 사용을 제한했다. 일부 백화점과 병원 등 주요 시설도 폐쇄됐다. 방콕시는 귀가하지 못하는 시민들을 위해 룸피니 공원 등 대규모 공원을 밤새 개방하고 식수차와 구급차를 배치했다. 한인 사회도 갑작스러운 지진에 크게 출렁였다. 교민들은 단톡방 등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안부를 물었다. 주태국 한국대사관은 이날 "미얀마 지진은 태국 지역에도 영향을 미쳐 상당한 흔들림이 감지됐다"며 "여진 발생 가능성이 있으니 각별히 안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공지했다. 대사관은 한국인 피해자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로비에서 대기 중인 방콕 아파트 주민들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방콕 아파트 주민들이 고층 엘리베이터 사용 중단 조치로 로비에 머물고 있다. ▶ 태국 정부, 감사원 건물 붕괴 원인 조사 착수… 중국 시공사 책임 논란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정부는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지진 여파로 방콕 짜뚜짝 지역에 위치한 30층짜리 감사원(SAO) 신축 건물이 붕괴된 사건에 대해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해당 건물은 이번 지진으로 방콕에서 유일하게 붕괴된 구조물) 산업부 조사팀은 붕괴 현장에서 건축 자재 샘플을 수거했다면서, "철근의 품질이 기준에 미달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며 "규격에 맞지 않는 철근은 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최근 기준에 미달하는 철근을 생산·판매한 7개 합작 업체(태국·외국 합작)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했으며, 공공 안전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로 해당 공장들을 폐쇄시켰다. 태국 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인 아누틴(Anutin)은 “설계 자체가 내진 기준을 충족했는지를 우선 검토한 뒤, 문제가 없을 경우 시공 및 자재 사용 등 다른 과정으로 조사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아누틴 부총리는 시공에 참여한 이탈리안-타이 개발(Italian-Thai Development) 사와 중국철도 10국그룹(China Railway No.10 Engineering) 자회사로 구성된 합작사(태국과 중국 기업) 모두 붕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아누틴 부총리는 한즈치앙(Han Zhiqiang) 주태 중국대사의 요청에 따라 중국 구조 전문가들의 현장 방문을 허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2991284/probe-swings-into-action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재무부 장관 “경제 영향 없다”… 지진 피해 복구 지원 확대 방침 (사진출처 : The Nation) 태국 재무부 피차이 장관은 최근 발생한 지진에도 불구하고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면서, 정부 기관이 지진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더 많은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국영 금융 기관에는 사업체들이 다시 정상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유동성 지원 조치 마련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 보험위원회(OIC)에 따르면, 현재 방콕 내 최대 5500개 건물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했으며 민간 보험사들과 협력해 피해 평가를 진행하여 지진 피해가 보장 항목에 포함될 수 있도록 검토 중 태국보험협회(TGIA)의 회장인 솜폰(Somporn)은 전체 지진 피해액이 최대 1,000억 바트(약 4조 원) 규모로 추산, 코로나19 시기 발생한 1,500억 바트(약 6조 원) 수준의 손실보다는 낮다고 밝혔다. 또한, 솜폰 회장은 최근 붕괴된 국가감사원(SAO) 건물이(시공 중이었던 신축 건물) 지진 당시 50% 정도 진행된 것으로 추정, 보험금 청구 금액은 공제액에 따라 보험 가액의 약 10억 바트(약 434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시공 중이었던 국가감사원 신축 건물은 총 21억3,600만 바트 규모(약 927억 원)의 보험에 가입돼 있었으며, 보험사는 딥파야(40%), 방콕(25%), 인다라(25%), 위리야(10%) 등 4곳으로 구성됐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91231/economy-unshaken-says-govt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3월 28일 태국 뉴스

2025/03/28 13:06:42

▶ 동남아 최대 車생산국 태국, 트럼프 관세에 침체 장기화 우려 1∼2월 생산량 19% 감소…아세안 '글로벌 車 생산거점' 목표에 타격 BYD 태국 공장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국이 자동차 관세 25% 부과를 발표한 가운데 동남아시아 최대 자동차 생산국 태국에서도 자동차 산업 침체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현지 매체 방콕포스트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 부과를 앞두고 올해 들어 태국 자동차 수출·수출량이 급감세를 보였다. 태국 1∼2월 자동차 생산량과 수출량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9.3%, 18.1% 감소했다고 태국산업협회(FTI)는 전날 밝혔다. 국내 자동차 판매량도 올해 들어 9.5% 줄어 수출과 내수가 모두 부진했다. 수라퐁 파이싯파타나퐁 FTI 부회장은 태국 주요 교역국들이 자동차 수입을 줄이고 미국의 관세 정책이 명확해지기를 기다렸다고 설명했다. 태국 내 일부 업체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정책 발표에 앞서 수출용 모델 생산을 연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다음 달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전날 밝혔다. 태국 민간 연구기관 카시콘리서치센터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 추가 부과로 태국 자동차 산업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카시콘리서치센터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가 세계 무역 긴장을 고조시키고 태국 산업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세계 시장에서는 경쟁 심화와 공급 과잉으로 자동차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 확대가 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에도 압박을 가해 올해 경제성장률은 2.4%에 그칠 것으로 카시콘리서치센터는 예측했다. 태국 자동차 산업은 국제 정세 불안과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부터 침체 국면이 이어졌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77%였던 태국 자동차 생산가동률은 2023년 68%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53%로 급락했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으로 자동차 4만2천여대와 40억 달러(약 5조8천600억원) 규모 자동차 부품을 수출했다. 태국은 자체 자동차 브랜드는 없지만, 글로벌 기업의 생산 기지 역할을 해왔다. 그동안 태국은 도요타와 혼다를 비롯한 일본 내연기관차를 주로 조립해왔고, 최근에는 비야디(BYD) 등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태국에 대거 진출했다. 태국뿐만 아니라 세계 자동차 생산 거점을 목표로 성장해온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자동차 산업 전체가 트럼프발 관세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동남아 국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에 따른 '탈중국' 현상 속에 적극적으로 해외 기업을 유치해왔다. 중국 자동차 업계도 미국 제재를 피하기 위해 동남아에 생산 시설을 확장했다. 태국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자동차 생산량의 30%를 전기차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전기차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도 중국 업체들과 협력해 2030년 자국에서 전기차 60만대를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 패통탄 총리, 불신임안 부결 이후 내각 개편설 일축 (사진출처 : Thairath) 지난 26일, 패통탄 친나왓 총리는 불신임안 부결(신임 319표, 불신임 162표, 기권 7표) 이후, 당분간 내각을 개편할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패통탄 총리는 “연정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라고 말하면서, “불신임 토론에서 제시한 자료 보완 설명을 위해 관련 문서를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개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당(PP) 나타퐁(Natthaphong) 대표는 “야당이 제기한 내용을 계기로 총리 일가가 성실히 세금을 납부하길 바란다”라고 말하며, 이번 불신임 토론에서 제기된 의혹들을 근거로 국가반부패위원회(NACC)와 같은 독립 기관에 조사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 불신임 토론은 24~25일에 걸쳐 진행, 야당은 총리의 국정 운영 능력 부족, 세금 회피 및 부친의 정치 개입을 방조를 비난함 이외에도 야당 의원들은 높은 전기 요금, 농산물 가격 하락 등 주요 민생 문제를 정부가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경기 부양 효과가 불확실한 고비용 현금 지원 정책을 강행했다고 비판한 바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2988237/pm-rules-out-cabinet-reshuffle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한국의 뷰티 대기업 코스맥스(COSMAX), 화장품 신공장 건설에 15억 바트(약 645억원) 이상 투자해 태국을 아세안 생산기지로 육성 (사진출처 : Thansettakij) 한국에서 600개 이상의 글로벌 뷰티 브랜드를 생산하고 있는 코스맥스(COSMAX)의 강민구 코스맥스 타일랜드 대표는 15억 바트(약 645억 원) 이상을 투자해 35,995㎡ 규모의 신공장을 설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공장은 5,560㎡ 규모의 창고와 30,435㎡ 규모의 생산 공장으로 나뉘어, 2026년까지 공사가 완료될 예정이다. 완공 후에는 생산 능력이 기존 대비 3배로 늘어나 늘어나는 시장 수요를 뒷받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소비자들이 자기 관리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태국과 전 세계 미용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또한 소셜미디어의 영향으로 사람들이 미용과 개성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태국의 미용 시장은 2025년 약 3,030억 바트(약 13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코스맥스 타일랜드 신공장의 건설은 성장하는 화장품 산업의 생산 잠재력을 높이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태국은 국제무대에서 뷰티 산업의 강력한 성장을 이끌고, 제조업자개발생산(OEM)의 아세안 허브로서 역할을 홍보할 준비가 되어 있다. 한편 2024년 코스맥스의 성장률은 65.4%에 달했고, 5년 평균 성장률은 16.1%를 기록했다. 코스맥스의 지속적인 성장 요인은 화장품 사용의 인기가 매년 증가했기 때문이다. 화장품 시장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시장에 진출하는 신규 사업자들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도 코스맥스는 현대기술을 적용한 표준화되고 고품질의 생산 공정을 갖추고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함으로써 여전히 업계를 굳건히 선도하고 있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이번 신공장 건설은 코스맥스 타일랜드가 다양한 유형의 메이크업, 스킨케어, 향수·바디케어 제품을 포괄하는 모든 세그먼트를 확장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스마트 공장으로 건설하는 신공장은 실시간 관리 시스템과 SAP 시스템, 로봇과 무인운반차량(AGV) 등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공장에서 생산되는 모든 제품이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ISO 22716, ISO 9001, ISO 14001과 같은 국제적인 품질 관리 시스템과 FDA, Halal, Vegan 같은 인증도 받았습니다.”라고 밝혔다. 코스맥스 타일랜드의 신공장 건설은 4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내 제조업체로부터 원자재를 구매하는 등 지역경제와 고용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코스맥스의 이러한 생산능력 확대는 성장하는 뷰티시장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자체 화장품 브랜드를 생산하려는 기업가들에게도 좋은 기반을 마련해 줄 것이다. (บิ๊กเกาหลี ทุ่ม 1,500 ล้านสร้างรง.เครื่องสำอางใหม่ ชูไทยฐานผลิตอาเซียน / Thansettakij, 3.27,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thansettakij.com/business/marketing/623212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이코노워치] 한국이 일본처럼 '잃어버린 30년' 겪을 가능성은? 한국 3위, 태국이 1위 '일본화 지수', 태국·중국 이어 한국이 3위 (서울=연합뉴스) 김지훈 선임기자 = 일본은 1985년 플라자합의 이후 형성된 자산 거품이 1990년대 초부터 터지기 시작하면서 경기가 무너져 내렸다. 이후 고령화가 진행되고 구조조정이 늦어지는 등 구조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잠재성장률이 하락하고 디플레이션이 이어졌다. 일본의 장기 불황(Secular Stagnation)은 시간이 갈수록 '잃어버린 10년', '잃어버린 20년' 등의 용어로 대체되며 일본 경제의 발목을 잡아 왔다. 최근 한국에서도 잠재성장률에 미치지 못하는 저성장세가 이어지고 신성장 동력의 부재, 저출생 고령화 등이 가중되면서 갈수록 일본의 장기 저성장 국면을 닮아간다는 지적이 늘고 있다. 한국은행을 비롯한 국내외 연구기관들에서도 과감한 구조조정과 혁신을 통해 우리 경제의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일본처럼 'L자형'의 장기 저성장 국면으로 빠져들게 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온다. 이와 관련해 한국경제가 직면한 장기 저성장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해볼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와 시선을 끈다. 폐업, 고객 향한 인사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역대 최대 폭으로 증가하면서 연간 1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 부진'을 이유로 한 폐업이 큰 폭으로 늘었다. 15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사업을 접고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개인·법인)는 98만6천487명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 생선가게에 폐업 안내가 적힌 스티로폼이 놓인 모습. 2024.7.15 nowwego@yna.co.kr ◇ '일본화 지수', 태국·중국·한국·홍콩 높아 국회예산정책처(NABO)는 최근 '일본화 지수'(Japanification Score)를 이용해 주요국의 장기 저성장 위험을 비교 분석한 보고서를 내놨다. 일본화 지수는 1990년대 일본의 경제 상황을 기준으로 삼아 국가별 장기 저성장 위험을 물가, 부채, 부실채권, 생산연령인구, 자산 가격, 잠재성장률, 생산성 등 10개 항목으로 평가해 만든 지수다. 그 결과를 보면 작년 기준 한국의 일본화 지수는 6점(10점 만점)이었다. 전 세계 주요 30개국 중 태국과 중국이 각 7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한국과 홍콩은 각 6점으로 공동 3위였다. 이들 상위 4개국에서는 높은 부채비율, 생산연령인구 증가율 하락, 주식가격 하락 등의 현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주요국 일본화 지수. [국회예산정책처 제공] 2019년과 비교하면 한국은 5년간 부채비율과 주식가격 등 2개 항목의 점수가 추가돼 4점에서 6점으로 올랐고 중국은 근원물가 상승률, 주택가격 등 2개 항목이 추가돼 2019년 5점에서 작년 7점으로 상승했다. 반대로 스페인(0점)과 미국(1점), 유로존(1점)은 작년 기준 일본화 지수가 낮은 편에 속한 국가들이었고 독일을 제외한 유로존과 미국은 작년 지수가 5년 전보다 떨어졌다. '일본화'로 표현되는 장기 저성장 위험을 키우는 요인 중 무엇보다 중요한 건 생산연령인구의 감소다. 20∼64세의 생산연령인구가 줄면 노동투입량이 감소해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기업과 가계 등 민간 부문의 부채가 많아도 성장을 저해하고 주택이나 주식 등 자산의 가격이 하락해도 경제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물가와 잠재성장률의 하락도 일본화 지수가 높은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었다. 한국은 5년 평균 생산연령인구 증가율이 -0.9%로 주요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인 데다 민간부채 비율도 201.9%(2024년 3분기 기준)로 대상 국가 중 2번째로 높았다. 잠재성장률(추정치)은 2011∼2015년 3.46%에서 2021∼2025년 2.19%로 떨어졌다. ◇ "이대로 가면 저성장 국면 진입"…늘어가는 경고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했던 건 외환위기였던 1998년(-4.9%)과 코로나19가 발생했던 2020년(-0.7%)이었다. 2000년 이후 성장률이 2.0%에 못 미쳤던 건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8%), 2023년(1.4%)이었다. 2002년(7.7%)과 2010년(7.0%)엔 7%대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2004, 2006, 2007년에는 5%를 넘는 성장세가 유지됐다. 하지만 2011∼2019년엔 2∼3%대로 하락하더니 2020년대 들어선 1∼2%대로 내려앉는 모습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성장률이 1.5%에 그칠 것으로 본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5%로 대폭 낮췄다. 해외 투자은행(IB)들도 대부분 1%대 초중반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개업 3년도 안 돼 '폐업'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25일 서울 한 상점에 임대광고가 붙어 있다. 이 상점은 지난 2022년 9월 개업했지만 3년도 안 돼 폐업했다. 한편 한국경제인협회가 자영업자 5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해 자영업자들의 매출, 순이익 등 사업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2025.2.25 cityboy@yna.co.kr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2000년대 초반 5% 안팎에 달했다가 2010년대 연평균 3% 초중반으로 떨어졌고 최근 2% 수준까지 하락한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의 하락추세가 이어진다면 2040∼2044년 0.7%로 낮아진다는 게 한국은행의 전망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최근 한 강연에서 "현 출산율이 지속되면 2050년대 이후 마이너스(-) 성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현대경제연구원도 작년 말 보고서에서 리스크 요인들이 현실화하면서 수출 경기가 경착륙하고 내수를 부양할 모멘텀마저 없을 경우 장기간 불황 국면이 지속되는 'L'자형 장기 불황 시나리오가 유력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지속적인 구조개혁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출산율도 제고하도록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급선무라고 입을 모은다.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일과 가정 양립 정책으로 저출생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공급 둔화에 대응하고 여성·고령층의 노동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방안도 필요하다. 기업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혁신기업을 키워 새로운 성장의 기반이 될 먹거리를 발굴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국회예산정책처 김경수 경제분석관은 "생산연령인구 감소, 높은 민간부채 비율, 잠재성장률 하락 등 장기 저성장 위험이 커지고 있으므로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는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래픽] 한국 잠재성장률 전망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한국은행이 19일 공개한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과 향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내년 이후 5년간 연평균 1.8%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minfo@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 2025년 태국 예금 규모 1~3% 확대 전망 (사진출처 : Thansettakij) 태국 예금보험국(DPA)은 국내·외 불확실성 및 완만한 경제 성장세에 따라 2025년 태국 내 예금 총액이 전년 대비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예금보험국에 따르면, ‘24년 기준 금융 시스템 내 예금자는 총 9,930만 명(중복 계좌, 정부 및 민간기업 계정을 포함한 수치)으로 전년 대비 4.75% 증가, 예금액은 16.3조 바트(약 704조 원)로 전년 대비 1.40% 증가했다. 예금보험국에 따르면 ‘24년 기준 계좌당 5만 바트(약 216만 원) 미만을 보유한 예금자의 비중은 전년 대비 4.84% 증가했으며, 이는 정부의 부양 자금 유입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1억 바트(약 43억 원) 이상을 예치한 예금자도 2.70% 증가했는데, 이는 고정 예금 선호, 고금리 환경, 그리고 경제 불확실성 속 자금 대기 현상에 따른 결과로 분석했다. 하지만, 예금보험국이 보호하는 예금자들의 1인당 평균 예금액(‘23년 기준)은 3,164바트(약 14만 원)로 전년의 3,533바트에서 10.4% 감소했다. (낮은 인플레이션, 높은 가계부채, 낮은 이자율 등이 요인이 작용. 다만, 이를 경제 상황 악화로 단정 짓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있음) 한편, 예금보험국은 32개 금융기관의 예금자를 위한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금융기관으로부터 예금 규모에 비례해 금융기관으로부터 분담금을 걷어 기금을 운용하고 있다. (지난해 투자 수익률은 2.17%로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 ‘25년 목표 수익률은 2.20%)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88487/local-deposits-forecast-to-expand-by-1-3-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 N 라인 시리즈 출시 (사진출처 : Siamrath) 정재규 법인장과 완롭 대표가 이끄는 현대 모빌리티 타일랜드는 임팩트 므엉텅타니에서 진행된 제46회 방콕국제모터쇼 내 현대자동차 부스에서 특별한 스포츠 스타일의 아이오닉5 N 라인 시리즈를 출시했다. 행사에는 박용민 주태국 한국대사와 방콕국제모터쇼 집행위원장인 쁘라찐 이얌람나오 박사가 참석했다. (เปิดตัว / Siamrath, 3.26,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siamrath.co.th/c/610596 ▶ 푸켓, 오픈탑 전기버스 2대 도입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푸켓은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과 관광 홍보를 위해 18인승 전기 오픈탑 버스 2대를 새롭게 운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이번 버스 도입이 지역의 대기오염 및 PM2.5 미세먼지 문제 완화에 기여함은 물론, 이동식 관광 홍보 수단으로도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버스 차량은 Electric Vehicles (Thailand)가 공급, 외관은 푸켓 역사지구(Old Town)의 상징인 시노-유럽풍(Sino-European) 건축 양식을 활용해 지역 정체성과 문화유산을 홍보할 수 있도록 디자인됨 또한, 푸켓시 당국은 주요 공원 3곳과 26개 교차로, 33개 지역 사회에 보안 강화를 위한 CCTV를 추가 설치할 계획으로, 설치된 CCTV는 통합 관제실로 24시간 데이터를 전송해 지역 안전을 높이고 주민과 관광객의 안전 및 생활 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2988472/phuket-gets-two-open-top-ev-buse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미얀마 내륙서 규모 7.7 강진…태국 방콕서 건설 중 빌딩 붕괴 중국 윈난성도 피해 발생…미얀마 대규모 피해 우려 태국 방콕도 강진에 건설 중인 건물 붕괴 [로이터 연합뉴스] (하노이·서울=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황철환·권숙희 기자 =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28일 낮 12시 50분께(현지시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밝혔다. 진앙은 인구 120만명의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각각 떨어진 지점이다. 진원 깊이는 10㎞로 관측됐다. 미얀마 내륙서 규모 7.7 강진…태국 방콕도 큰 진동 [미국 지질조사국(USGS)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지진으로 네피도의 도로가 휘었고 건물 천장에서 조각이 떨어졌다고 AFP 통신이 전했다. 진앙으로부터 약 1천㎞ 이상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도 강력한 진동이 닥쳤다. 방콕 경찰은 강진으로 건설 중인 고층빌딩이 붕괴했으며 이에 따른 인명피해는 아직 파악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방콕 시내의 건물들이 흔들려 경보가 울리고 수영장에서 물이 튀어오른 가운데 놀란 주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왔다. 태국 북부 치앙마이의 주민 두앙자이는 "집에서 자고 있을 때 (지진) 소리를 듣고서 잠옷 차림으로 건물 밖으로 최대한 멀리 달아났다"고 AFP에 말했다. 미얀마와 국경을 접한 중국 남서부 윈난성에서도 진동이 느껴졌다고 중국 지진 당국이 전했다. 윈난성 루이리시(市)에서는 건물이 파손되고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중국라디오방송은 전했다. 미얀마의 구체적인 지진 피해 규모 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수년째 진행 중인 내전으로 미얀마의 치안, 의료 등 사회 시스템이 매우 취약해진 상태여서 대규모 피해가 우려된다. 미얀마 내륙서 규모 7.7 강진…방콕도 큰 진동에 주민 대피 (방콕 AFP=연합뉴스) 28일(현지시간)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으로 태국 방콕에서도 건물이 흔들리는 등 강한 진동이 닥치자 놀란 주민들이 길거리로 뛰어나온 모습. 2025.03.28 https://www.youtube.com/watch?v=-OfCPclq0us&embeds_referring_euri=https%3A%2F%2Fwww.premiumnews.co.kr%2F&source_ve_path=MCw5NjcxNA ▶ 미얀마 강진에 방콕 고층건물 건설현장서 3명 사망·90명 실종 지진으로 무너진 방콕 건물 [EPA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미얀마 강진의 영향으로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고층 건물이 무너지면서 3명이 숨지고 90명이 실종됐다고 AP통신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P에 따르면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은 무너진 건물에 갇혀있는 사람들을 구출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며 피해자 규모를 이같이 밝혔다. 품탐 부총리는 구조활동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지만, 구조대원들은 현재까지 7명이 구조됐다고 전했다. 무너진 건물은 방콕 명소인 짜뚜짝 시장 근처에서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건물이다. 이번 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10㎞로 상대적으로 얕아 지진 발생지역에서 1천여㎞ 떨어져 있는 방콕에까지 충격이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방콕에는 1천700만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고층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도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방콕시는 재난지역을 선포했고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지진 피해 대응을 위한 긴급 회의를 소집했다. ▶ 미얀마 내륙서 규모 7.7 강진…방콕도 큰 진동에 주민 대피 미얀마 내륙서 규모 7.7 강진…방콕도 큰 진동 [미국 지질조사국(USGS)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하노이=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박진형 특파원 = 미얀마 내륙에서 28일 낮 12시 50분께(현지시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가 밝혔다. 진앙은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인구 120만의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이다. 진원 깊이는 10㎞로 관측됐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도 이번 지진 규모를 7.7로 관측했다. 이날 지진으로 약 1천㎞ 이상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도 건물이 흔들리는 등 강력한 진동이 닥치면서 사무실과 상점 등지에서 당황한 사람들이 거리로 뛰쳐나왔고 수영장에서 물이 튀었다고 로이터 통신이 목격자들을 인용해 전했다. 미얀마의 지진 피해 소식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3월 27일 태국 뉴스

2025/03/27 12:18:04

▶ 시중은행 대출 규모, 올해 0.6% 소폭 증가 전망 (사진출처 : today.line.me) 카시콘리서치센터(K-Research)는 올해 태국 시중은행의 대출 규모가 14조 8,000억 바트(약 638조 원)로 전년 대비 0.6%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4년 0.4% 감소했던 흐름에서 반등하는 것으로, 주로 대기업 대출 증가가 견인할 것으로 분석한 반면, 중소기업(SME)과 소매업 대출은 각각 1% 감소할 것으로 예측) 또한, 카시콘리서치센터는 태국 가계부채는 GDP 대비 89% 수준으로, 지속 가능한 수준인 80%까지 낮추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지속적인 경제 문제 속에서 올해 부실채권(NPL) 비율은 작년 말 2.7%에 비해 2.65~2.85% 범위가 될 것으로 보고 있음) 이와 함께, 태국중앙은행(BOT)이 부동산 경기 부양을 위해 완화한 주택담보인정비율(LTV) 규정은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했다. (당초 0.5%로 예상되던 주택 담보대출 증가율은, 완화 조치에 따라 ‘25년 기준 0.6~0.7%까지 증가할 것으로 관측) 한편, 지난 2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도 하향 조정됐으며, 이로 인해 전체 기업 및 소매 대출의 약 56%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 또한 카시콘리서치센터는 올해 하반기에도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87688/bank-loans-set-to-edge-up-0-6-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저작권보호원, K-콘텐츠 불법유통 태국 사이트 3개 접속차단 접속 차단된 태국 불법 사이트 화면 [한국저작권보호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순현 기자 = 한국저작권보호원(이하 '보호원')은 태국에서 K-콘텐츠 등을 불법 유통한 사이트 3개의 접속 차단했다고 27일 밝혔다. 보호원은 지난해 11월 한국과 미국 영상 콘텐츠 등을 불법 유통한 태국 사이트 3개를 파악해 태국 당국에 접속 차단을 신청했다. 이후 미국영화협회, 태국영화협회, 태국 지식재산청 등과 공조해 후속 조치를 이어갔고, 26일 태국 현지 법원의 접속차단 명령을 받아냈다. 보호원은 지난해 7월에도 미국영화협회 등과 함께 불법 콘텐츠 6천400여 편을 유통한 태국 사이트의 접속차단을 이끈 바 있다. 박정렬 한국저작권보호원 원장은 이번 조치가 "한국, 미국, 태국의 주요 기관과 기업들이 협력해 이뤄낸 의미 있는 결과"라며 "접속차단뿐만 아니라 수사 지원, 홍보활동 등으로 협력 범위를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패통탄 총리, 상속세 의혹 제기에 절차적 대응 입장 밝혀 (사진출처 : Bangkok Post) 지난 25일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자신이 2억 1,870만 바트(약 94억 원) 규모의 상속세를 회피했다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 “절차대로 진행하라”라고 말하며 세무조사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 국민당 위롯(Wiroj) 의원은 패통탄 총리가 가족으로부터 약 44억 바트(약 1902억 원) 규모의 주식을 받는 과정에서, 최대 2억 1870만 바트(약 94억 원)에 달하는 상속세를 납부하지 않았다고 주장 패통탄 총리는 기자들에게 “과정을 밟아서 모든 것이 명확해지길 바란다”라며 “저는 항상 규칙과 법을 지켜왔고, 정치에 들어오기 전부터 조사를 받을 수 있음을 알고 있었다”라고 밝혔다. 세무국장 핀싸이(Pinsai)는 이번 논란과 관련해, 민상법에 따라 약속어음에는 상환 기한과 이자 여부를 명시할 수 있으며, 이자율은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핀싸이 국장은 “장외 주식 거래의 경우, 세금 납부 책임은 주식을 파는 쪽에 있으며 실제로 현금이 지급된 시점에 소득으로 간주된다”라고 덧붙였다. * 패통탄 총리의 경우, ‘26년에 현금이 지급될 예정이므로 수령자는 이 금액을 ‘26년 소득으로 보고 ‘27년에 세금을 신고해야 함 (약속어음을 받았다고 해도 실제 현금 수령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해당 시점에서는 소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설명함) 한편, 국민당 위롯 의원은 “국민들이 총리의 내년 세금 납부에 관해 보다 명확한 설명을 기다리고 있다”라면서 “조만간 세무국에 해당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출하여 명확히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2987331/paetongtarn-lays-down-tax-challenge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피몬 태국태권도협회 회장, 신임 태국국가올림픽위원회 회장으로 선출돼 (사진출처 : Prachachat) 3월 25일 열린 태국국가올림픽위원회(NOCT) 회장 선거에서 수차이 폰차이싹우돔 태국론테니스협회 회장이 퇴장하면서, 피몬 시위껀 회장이 선거에서 승리하고 신임 회장이 되었다. 61세의 태국태권도협회 회장이 쁘라윗 전 NOCT 회장을 대신해 태국 체육계의 최고 직책을 맡고 조직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피몬 회장은 지난 11월 선거에서 패배하고 태국수영협회 회장직을 잃으면서 임기가 끝났던 쁘라윗 전 부총리의 뒤를 이어 8번째 NOCT 회장이자 민간인 출신 최초의 NOCT 회장이 되었다. 피몬 회장은 체육협회들이 자신에게 일을 맡겨준 데 감사를 표했다. “저는 일을 시작하고 체육협회들을 최대한 돕겠습니다. 선수 수당과 동남아시안게임(SEA Games) 메달 수상자를 위한 현금 인센티브 등 모든 재정적 문제가 해결될 것입니다.”라고 밝혔다. 또한 어제 피몬 회장은 조직 내부에 불화가 있다는 것을 부인했다. “저는 불화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모두 스포츠맨이고, 이기고 지는 법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함께 일해야 합니다. 우리 모두는 SEA Games, 아시안게임, 올림픽,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태국 선수들이 성공을 향해 가길 원하고 있습니다.”라고 밝혔다. 한편 선거는 선거과정이 투명하지 않다는 주장 속에서 후보 중 한 명인 수차이 폰차이싹우돔 태국론테니스협회 회장이 퇴장하면서 문제가 있었다. 수차이 회장의 후원자 중 한 명인 윗 텝파핫싸딘 나 아유타야 NOCT 사무총장은 투표 인단에 복싱의 깨우 퐁쁘라윤 선수 대신 사격의 탄야폰 프륵싸껀 선수와 태권도의 테윈 한쁘랍 선수를 포함시키는 것이 불공평하다고 주장했다. 수차이 회장과 그의 후원자들은 퇴장해 오후에 열린 선거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제소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야오와파 부라폰차이 태국 올림픽선수협회 회장은 탄야폰 선수와 테윈 선수가 모두 태국올림픽헌장에 따라 선정되었다고 주장했다. 야오와파 회장은 두 사람 모두 자격이 있음을 확인했고 NOCT에 서한을 보냈으며 윗 사무총장이 서명을 했다고 덧붙였다. 쿤잉 빳타마 IOC 위원 겸 태국배드민턴협회 회장은 피몬 회장의 당선을 축하했다. 쿤잉 빳타마 위원은 “피몬 회장이 NOCT 신임 회장으로 선출된 것을 축하합니다. 하지만 NOCT 선거절차를 IOC와 일치하도록 수정하기 바랍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쿤잉 빳타마 위원은 “선거 절차는 IOC처럼 후보자의 자격, 유권자의 자격, 선거 기간 설정 등이 더 세부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명단을 받으면 후보자의 자격을 확인해야 하고, 모든 유권자가 선거일 전에 신중하게 고려할 수 있도록 명단을 공개해야 합니다.”라고 덧붙였다. (Pimol is the new Thai Olympic chief / Bangkok Post, 3.26, 12면, 태국발, 전문번역)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여름에 들어서 급성 설사 환자 급증 (사진출처 : Bangkokbiz) 태국 보건당국은 여름에 들어선 이후 더위로 인해 급성 설사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건강 경보를 발령했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음식과 물의 오염 위험이 높아져 국민들에게 위생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특히 '익혀서 먹기, 뜨거울 때 먹기, 깨끗이 씻어 먹기'의 기본 원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1월 1일부터 3월 13일까지 급성 설사 환자는 12만9,000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도 2명이 발생했다.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인 연령대는 0~4세 아동이었다. 또한 식중독 사례도 증가하여 약 3만8,000건이 보고되었으며, 5~9세 학령기 아동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고온으로 인해 식품 부패가 빨라져 식중독 위험이 높아진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밖에도 계절성 질환에 대한 경계가 계속되고 있다. 독감 환자는 21만 명을 넘어섰고, 23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은 인플루엔자 A/H1N1로, 학교에서 집단 감염이 두드러지며 특히 5~9세 어린이들에게서 많이 발생했다. 폐렴도 11만1,000명 이 발행해 149명이 사망했다. 감염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0~4세 유아였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60세 이상 연령대였다. 보건당국은 충분히 가열된 음식을 섭취하고, 끓인 물이나 개봉하지 않은 생수를 사용하며, 포장이 손상되지 않은 FDA 인증 얼음을 선택할 것을 권장했다. 또한, 자주 손 씻기, 혼잡한 장소에서는 마스크 착용,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자택 요양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여름에 접어들면서 태국 보건당국은 국민들에게 개인위생과 식품 안전을 최우선으로 할 것을 당부했다. ▶ Gulf Development, 5년에 걸친 1,000억 바트 투자 계획 발표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최대 민간 발전사 Gulf Energy Development와 주요 통신사 Advanced Info Service(AIS)의 모회사 Intouch Holdings의 합병으로 설립된 신규 법인 Gulf Development가 향후 5년간 에너지 및 통신 사업 통합과 데이터 센터 개발에 총 1000억 바트(약 4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Gulf Development는 2025~2029년까지 투자 예산을 집행해 에너지와 통신 분야의 구조를 재정비하고,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 흐름에 맞춰 신사업을 추진할 방침으로 알려짐 (합병은 3월 31일 완료될 예정, 새로운 법인의 주식 거래는 4월 2일부터 시작될 예정) 이에 따라 Gulf Development는 올해 중반까지 IT 전력 24MW 규모의 첫 번째 데이터 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며, 향후 2~3년 내 전력 수요를 200MW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이다. (글로벌 탈탄소 기조에 맞춰 데이터 센터는 안정적인 청정에너지 공급이 필수 강조, 에너지·인프라·디지털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 예정) * Gulf Development의 사랏(Sarath) 대표는 전체 예산의 60~70%를 청정에너지 중심의 전력 개발에, 나머지 30~40%는 통신 및 디지털 기술 사업 성장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함 또한, Gulf Development는 ‘25년에만 200억 바트(약 8630억 원)를 투자해 태양광 지붕 설치, 태양광 발전소, 가스 화력 발전소 등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2033년까지 국내·외 발전소 기준으로 총 발전 용량을 8,593MW에서 1만 2,750MW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87548/gulf-development-allots-b100bn-budget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주태국 한국문화원, ‘Encounter Gyeongju, the Golden City’ 전시 개최 (사진출처 : Matichon) 주태국 한국문화원은 한국의 유서 깊은 도시이자 천년고도인 경주를 소개하는 전시 'Encounter Gyeongju, the Golden City'를 3월 31일부터 5월 30일까지 개최한다. 경상북도에 위치한 경주는 기원전 57년부터 992년간 한국의 고대 왕국인 신라의 수도였으며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문화유산이 풍부하다. 이번 전시는 경주의 주요 유적지와 풍경 사진, 유적지를 소재로 한 한국 국립박물관의 기념품 '뮷즈' 전시 등을 통해 경주를 소개할 것이다. 또한 주태국 한국문화원은 전시와 더불어 4월 1일, 경주 대표 유적지인 다보탑, 동궁과 월지 등을 주제로 한 수채화 엽서 만들기 워크샵(총 60명 대상, 30명씩 2회)을 개최할 예정이다. 경주는 올해 10월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개최지로서 태국 등 24개국 정상들이 한 자리에 모여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Building Sustainable Tomorrow)'에 대해 발전적인 논의를 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오는 8월 26-27일에는 '디지털시대 문화와 창조산업의 비전과 역할 (The vision and Roles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n the Digital Era)'을 주제로 문화 고위급회담도 개최할 것이다. 주태국 한국문화원 이선주 원장은 “경주는 신라 천년역사의 중심지로 독창적인 문화가 매력적인 도시입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태국인들이 경주의 매력을 발견하고 오는 10월 말 개최하는 APEC 정상회의에 많은 관심을 갖길 바랍니다”라고 밝혔다. 전시는 문화원 1층과 2층 갤러리에서 펼쳐지며, 평일 8시 30분부터 17시까지 누구나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원 페이스북 (@koreanculturalcenterTH) 등 SNS 채널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ศูนย์วัฒนธรรมเกาหลีจัดนิทรรศการ ‘Encounter Gyeongju, the Golden City’ ชูเสน่ห์นครปวศ / Matichon, 3.26,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matichon.co.th/foreign/news_5110271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카지노 합법화 법안, 27일 내각 상정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내각이 카지노를 합법화하는 내용을 담은 '엔터테인먼트 복합 시설'의 법안 초안을 다가오는 27일 내각 회의를 통해 검토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내각 회의는 일반적으로 매주 화요일 열리지만, 이번 주는 불신임 토론과 표결 일정으로 인해 목요일로 연기된 것으로 알려짐 재무부 차관인 줄라판은 “재무부는 법안 초안을 제출할 예정이지만 내각의 의제에 포함될지는 총리의 판단에 달려 있다”고 말하면서도 “엔터메인먼트 단지 건설과 운영이 국가의 경제 성장을 지원하고 관광 수입을 늘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재무부 발표에 따르면, 2월 28일부터 3월 14일까지 진행된 온라인 공청회에서(7만 명 이상이 참여), 80%가 해당 법안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남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카지노 합법화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다수로 나타나, 공청회 결과와는 차이를 보임) 줄라판 차관은 법안이 내각에서 통과되면 곧바로 하원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법안의 목적은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종합 오락시설의 개발을 촉진, 지속 가능한 관광과 국내 투자 유치를 유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국 정부는 관광 산업 회복과 세수 증대, 불법 도박 단속을 목표로 올해 카지노를 합법화하는 법안 통과를 추진하고 있지만, 도박 중독 예방 단체들로부터 대기업과 외국 자본에만 유리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야당인 국민당 또한 해당 정책이 프아타이당의 선거 공약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88098/casino-bill-to-go-before-thai-cabinet-on-thursday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한국-태국 여자배구 올스타에 강소휘· 박정아…김연경은 제외 올스타 명단 20명 확정…FA 대어 이다현·신인 세터 김다은도 포함 한국-태국 여자배구 올스타 슈퍼매치 한국팀 명단 [한국배구연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동칠 기자 = 6년 만에 부활하는 한국-태국 여자배구 올스타 슈퍼매치에 나설 한국 여자 올스타들이 확정됐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27일 강성형 현대건설 감독이 지휘할 한국 여자배구 올스타팀 명단 20명을 공개했다. 베테랑 아웃사이드 히터 강소휘(한국도로공사)가 주장을 맡은 가운데 한국 여자대표팀 주축인 박정아(페퍼저축은행)도 이름을 올렸다. 여자 프로배구 한국도로공사의 강소휘 [한국배구연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이번 시즌 종료 후 자유계약선수(FA)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미들블로커 이다현(현대건설)과 초대 영플레이어상의 유력한 후보인 신인 세터 김다은(한국도로공사)도 20명에 포함됐다. 여자 프로배구 현대건설의 이다현 [한국배구연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와 함께 베테랑 세터 염혜선(정관장), 이고은(흥국생명)과 리베로 임명옥(한국도로공사), 아웃사이드 히터 정윤주(흥국생명), 미들블로커 김세빈(한국도로공사) 등도 올스타에 선발됐다. 한국-태국 올스타 슈퍼매치는 다음 달 19일과 20일 경기도 화성시 화성종합운동장에서 열린다. 올스타 슈퍼매치는 2017년 태국을 시작으로 2019년까지 양국을 오가며 개최하다가 2020년부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잠정 중단됐다가 6년 만에 부활했다. 2019년 열렸던 한국-태국 올스타 슈퍼매치에 출전한 김연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편 배구연맹이 출전을 요청했던 '배구 여제' 김연경(흥국생명)은 올스타팀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번 시즌을 끝으로 코트를 떠나는 김연경은 5월 중 개최 예정인 'KYK 인비테이셔널 2025' 이벤트 경기에서 은퇴식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3월 26일 태국 뉴스

2025/03/26 14:41:45

▶ '태국 역대 최연소' 패통탄 총리 불신임안 부결 야권 '父탁신 국정개입' 공세…여권, 방어 성공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탁신 친나왓 전 총리의 딸이자 태국 역대 최연소 총리인 패통탄 친나왓(38) 총리에 대한 불신임안이 부결됐다. 26일 로이터통신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이날 하원에서 실시된 표결에서 패통탄 총리는 신임 319표, 불신임 162표, 기권 7표로 총리직을 계속 수행하게 됐다. 야당인 국민당은 패통탄 총리의 무능과 실정, 탁신 전 총리의 국정 개입을 비판하며 지난달 27일 불신임안을 제출했다. 불신임안이 통과되려면 의원 과반수가 불신임 표를 던져야 한다. 현재 패통탄 총리가 대표인 프아타이당을 비롯한 연립정부 구성 정당이 하원 500석 중 320석 이상 차지하고 있어 불신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투표에 앞서 24∼25일 진행된 토론에서 야권은 경제 정책 실패와 패통탄 총리의 탈세 의혹 등을 부각하며 공세를 퍼부었다. 특히 탁신 전 총리가 현 정권을 실질적으로 지배한다고 주장하며 과도한 국정 개입을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패통탄 총리는 "야당이 내게 총리직에서 물러나라고 요구할 수는 있지만 내 아버지의 딸이 되지 말라고는 할 수 없다"며 "나는 탁신의 딸이라는 게 자랑스럽다"고 맞섰다. 1986년생인 패통탄 총리는 정치 입문 3년 만인 지난해 8월 37세에 태국 최연소 총리로 선출됐다. 그는 고모 잉락 친나왓에 이은 두 번째 태국 여성 총리이자, 탁신 가문과 관련된 네 번째 총리이기도 하다. 패통탄 총리 선출 직후부터 탁신 전 총리가 정권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고, 탁신 전 총리가 적극적인 행보를 펼치면서 '상왕 논란'이 계속됐다. ▶ 주태국 한국문화원, ‘Encounter Gyeongju, the Golden City’ 전시 개최 (사진출처 : 77kaoded) 주태국 한국문화원 이선주 원장은 “경주는 신라 천년역사의 중심지로 독창적인 문화가 매력적인 도시입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태국인들이 경주의 매력을 발견하고 오는 10월 말 개최하는 APEC 정상회의에 많은 관심을 갖길 바랍니다”라고 밝혔다. 한국의 유서 깊은 도시이자 천년고도인 경주를 소개하는 이번 전시는 3월 31일부터 5월 30일까지 주태국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한다. 경상북도에 위치한 경주는 기원전 57년부터 992년간 한국의 고대 왕국인 신라의 수도였으며,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문화유산이 풍부한 도시임. 또한 드라마 <선덕여왕>의 배경이 되는 도시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는 경주의 주요 유적지와 풍경 사진, 유적지를 소재로 한 한국 국립박물관의 기념품 '뮷즈' 전시 등을 통해 경주를 소개할 것이다. 전시는 문화원 1층과 2층 갤러리에서 펼쳐지며, 평일 8시 30분부터 17시까지 누구나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원 페이스북 (@koreanculturalcenterTH) 등 SNS 채널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또한 주태국 한국문화원은 전시와 더불어 4월 1일, 경주 대표 유적지인 다보탑, 동궁과 월지 등을 주제로 한 수채화 엽서 만들기 워크샵(총 60명 대상, 30명씩 2회)을 개최할 예정이다. 경주는 올해 10월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개최지로서 태국 등 24개국 정상들이 한 자리에 모여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Building Sustainable Tomorrow)'에 대해 발전적인 논의를 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오는 8월 26-27일에는 '디지털시대 문화와 창조산업의 비전과 역할 (The vision and Roles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n the Digital Era)'을 주제로 문화 고위급회담도 개최할 것이다. (ศูนย์วัฒนธรรมเกาหลีฯ จัดนิทรรศการภาพถ่าย ‘Encounter Gyeongju, the Golden City’ / 77Kaoded, 3.26,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77kaoded.com/news/rossawanaphatchg/27935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경찰, 방콕 통로 지역 불법 도박장에서 한국인 7명, 태국인 2명 체포 (사진출처 : Khaosod) 3월 21일 오후 11시 30분, 통로 경찰서는 텅러 지역 한 건물 3층에서 불법 도박장을 운영하던 9명을 체포했다. 이 중 7명이 한국인, 2명이 태국인이었으며, 한국인 중 6명은 남성, 1명은 여성이었다. 경찰은 정보원으로부터 한 건물 내에서 불법 도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제보를 받고 즉시 출동했다. 현장에서는 34세 태국인 위라왓 씨가 불법 도박장의 문지기를 하고 있었다. 안으로 들어간 경찰은 현장에서 도박을 하고 있던 외국인들과 함께 카드 2세트와 포커 칩 160개(약 16만 바트(약 688만원) 상당), 휴대전화, 현금 등을 발견했다. 조사 결과 현장에 있던 한국인 천 모(33세)씨가 자신이 불법 도박장을 설립한 사람이라고 시인했으며, 체포되기 전까지 약 20만 바트(약 860만원)의 자금이 유통되었다고 말했다. 한국인 여성 강 모씨는 딜러 역할을 맡았으며, 태국인을 포함한 나머지 용의자들은 모두 도박을 하러 온 사람들이었다. 이에 통로 경찰서는 천 모씨와 강 모씨를 ‘불법 도박 운영 혐의’, 나머지 용의자들을 ‘불법 도박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하고 법적 절차를 진행 중이다. ▶ 한국 길거리 음식이 태국 소매시장에서 치열한 중소기업 전쟁을 촉발 (사진출처 : The Nation) 한국 길거리 음식을 판매하면서 떠오르고 있는 해피먼치(Happy Munchy) 브랜드는 편의점에서 다윗 대 골리앗의 전쟁에 휘말렸다. 이 갈등은 요즘 태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는 어묵 상품에 집중되어 있다. 유명 연예인 니나 수티따가 두 명의 사업 파트너들과 공동 창업한 해피먼치는 이 신흥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었다. 하지만 니나 수티따는 대형 경쟁업체가 유사 제품의 가격을 29바트(약 1250원)에서 22바트(약 950원)로 낮추자 공개적으로 좌절감을 표명했다. 니나 수티따는 SNS 게시물을 통해 “저희는 수년간 제품을 개발하고, 품질과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시간을 투자했습니다. 갑자기 대형 업체들이 공격적인 가격으로 저희의 시장 점유율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라며 한탄했다. 어묵시장은 태국 음식 소매업의 광범위한 추세를 축소해서 보여주고 있다. 한식의 인기상승에 힘입어 이런 간식들이 과거 틈새시장 상품에서 이제는 편의점의 주류 상품으로 바뀌고 있다. 해피먼치는 무방부제, 높은 단백질 함량, 천연원료 사용, 야채·치즈·옥수수를 포함한 다양한 풍미를 통해 제품 차별화를 시도했다. 그리고 세븐일레븐과 온라인 플랫폼, 쇼피(Shopee) 같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유통채널을 확보했다. 분석가들은 이런 가격 경쟁이 더 큰 시장의 역학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식품 컨설턴트는 “소규모 브랜드는 대형 업체의 가격 경쟁에 점점 더 취약해지고 있습니다. 혁신과 브랜드 충성도가 중요한 생존 전략이 됩니다.”라고 밝혔다. 가격 경쟁은 잠재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이익이 되어 더 저렴한 옵션을 제공한다. 하지만 시장이 점점 더 통합되면서, 소규모 식품 생산 업체들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해피먼치와 유사한 중소기업들의 경우 앞으로 나아갈 길은 지속적인 제품 혁신, 브랜드 충성도 구축, 잠재적인 전략적 파트너십 또는 투자자 지원 모색에 있을 것이다. (Korean street food sparks fierce SME battle in Thai retail market / The Nation, 3.26,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nationthailand.com/business/corporate/40047852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석유연료기금사무국(OFFO), 쏭끄란을 맞아 휘발유와 디젤 가격 1바트 인하 발표 (사진출처 : Prachachat) 태국 석유연료기금사무국(OFFO)은 태국 새해 쏭끄란 기간 동안 국민들의 차량 이용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휘발유와 디젤 연료 가격을 리터당 총 1바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석유연료기금관리위원회의 결정에 따른 것으로 가격 인하는 2단계에 걸쳐 시행될 예정이다. 1단계는 3월 28일부터이며, 휘발유, 디젤 모두 리터당 50싸땅(0.5바트) 인하한다. 2단계는 4월 4일부터이며 리터당 50싸땅(0.5바트) 추가 인하한다. 총 1바트/리터 인하로, 쏭끄란 기간 동안 귀성, 여행 등으로 차량 이용이 늘어나는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석유연료기금사무국(OFFO)은 “이번 조치로 국민들이 안심하고 귀성 여행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관광업 활성화와 경제 순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 태국인 케이팝 스타 텐, 임팩트아레나에서 공연 예정 (사진출처 : korseries.com) SM True가 주최하는 ‘2025 Ten Concert 1001 Movement 'Stunner' In Bangkok (2025 텐 콘서트 1001 무브먼트 스터너 인 방콕’이 4월 19일~20일 므엉텅타니 임팩트아레나에서 열릴 예정이다. 텐은 SM엔터테인먼트 소속의 유일한 태국 아티스트로써, 보이그룹 NCT와 서브그룹 WayV에서 경험을 쌓고 성장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텐은 2024년 2월 첫 번째 미니앨범을 발매하면서 솔로활동을 시작했다. 텐은 다양한 노래를 통해 캐릭터를 실험하고 재해석하는 놀라운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텐은 어제 두 번째 미니앨범 ‘스터너’를 공개했다. 티켓은 세븐일레븐 카운터서비스와 올티켓(allticket.com)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가격은 2,800바트(약 12만원) / 3,800바트(약 16만원) / 4,900바트(약 21만원) / 5,500바트(약 24만원)임. 자세한 내용은 페이스북 smtruethailand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ai K-pop star Ten set to play Impact Arena / Bangkok Post, 3.26, Life 2면,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www.bangkokpost.com/life/arts-and-entertainment/2987738/thai-k-pop-star-ten-set-to-play-impact-arena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미국 관세 여파에 일부 자동차 수출 모델 생산 연기 (사진출처 : Bangkokbiz) 태국 내 자동차 업체들이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해 일부 수출용 모델 생산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 트럼프 대통령은 3월 24일 자동차에 대한 새로운 관세 부과를 예고, 4월 2일부터 다른 관세 정책도 강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짐 2월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8.34% 감소한 8만 1,323대를 기록, 올해 1~2월 누적 수출은 18.1% 감소한 14만 3,644대를 기록했다. 태국산업연맹(FTI)의 수라퐁(Surapong) 부회장은 수출 급감 요인으로 ‘태국 주요 교역국들이 자동차 구매를 줄이고 미국의 관세 정책 발표 기다리고 있는 점, 일부 국가들이 운송 부문에 대한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를 강화한 점’을 꼽았다. 2월 국내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6.68% 감소한 4만 9,313대로, 높은 가계 부채 수준으로 은행과 자동차 금융 회사가 대출 기준을 강화함에 따라 예비 구매자들이 자동차 대출을 받기 어려워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차량 판매 부진은 생산량 감소로 이어졌으며, 2월 전체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 대비 13.6% 감소한 11만 5487대를 기록, 1~2월 누적 생산량은 전년 비 19.3% 감소한 22만 2590대를 기록했다. 한편, 태국산업연맹은 3월 26일부터 4월 6일까지 열리는 제46회 방콕 국제 모터쇼가 판촉행사 효과로 내수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또한 최근 내각이 중소기업용 픽업트럭 구매 지원을 위한 50억 바트(약 2162억 원) 규모의 특별기금 조성을 승인한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태국산업연맹은 “픽업트럭 판매 촉진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몇 달 정도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국내 시장 활성화를 위해 비금융기관에도 자동차 대출을 허용하는 정책 도입을 정부에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motoring/2987518/car-producers-postpone-export-model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3월 25일 태국 뉴스

2025/03/25 12:32:24

▶ 태국 북부 치앙마이 산불 피해 확산…대기오염 급속 악화 2개 지역 재난구역 선포…방콕도 초미세먼지 농도 급상승 방콕 대기 오염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 북부 치앙마이주에서 발생한 산불이 2주 가까이 이어지면서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25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방재 당국은 산불 진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치앙마이 2개 지역을 재난구역으로 선포했다. 치앙마이 치앙다오 지역에서는 지난 12일 산불이 시작돼 17개 마을이 피해를 봤다. 옴코이 지역에서도 14일 산불이 발생해 5개 마을로 번졌다. 약 보름간의 진화 작업에도 산불은 완전히 잡히지 않고 있다. 사망자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부상자와 수천가구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니랏 퐁싯타원 치앙마이 주지사는 재난구역 선포로 산불 억제와 구호 활동에 속도를 낼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날 밝혔다. 이번 산불로 치앙마이와 치앙라이를 비롯한 북부 대기질이 급속도로 악화했고, 방콕 등 중부를 포함한 태국 전역이 영향을 받았다. 전날 기준 태국 77개 주 중 57개 주 초미세먼지( PM2.5) 농도가 안전 기준치를 초과했다. 스위스 공기 질 분석업체 아이큐에어(IQAIR) 집계에 따르면 치앙마이시는 177㎍/㎥로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공기 질이 나빴다. 방콕은 163㎍/㎥로 일곱번째였다. PM2.5는 먼지 입자 크기가 2.5㎛ 이하인 대기 오염 물질로 폐암, 심장질환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국 정부 안전 기준치는 37.5㎍/㎥이다. 태국은 건기인 12∼3월이 되면 대기질이 세계 최악 수준으로 급격히 악화한다. 논밭 태우기, 매연 등과 함께 산불이 대기 오염 주범으로 꼽힌다. 치앙마이 주민들은 대기오염 문제 대응에 실패했다며 지난 2023년 정부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 태국 정부, 자동차 산업 내수 부양책으로 픽업트럭 대출 보증 제공한다 (사진출처 : Bangkok Post) 4년 만에 태국 자동차 생산량이 최저치를 기록하자, 태국 정부는 이에 대응키 위한 내수 부양책으로서 픽업트럭에 대한 대출 보증을 제공하기로 했다. *태국 자동차 생산량은 ‘25년 1월 기준 18개월 연속 감소하였으며, 전년 대비 24% 이상 급락한107,103대를 기록함 태국은 동남아시아 최대의 자동차 생산 중심지이며, 토요타, 혼다 등 대표적 자동차 제조업체의 수출 기지이지만, 작년 국내 판매가 26% 급락하면서 자동차 출하량은 8.8% 감소했다. * 태국에서 픽업트럭은 일반적으로 국내 자동차 판매의 3분의 1을 차지하는데, 주로 태국 내수 시장에서 픽업 트럭 판매가 부진했던 것이 원인으로 파악됨 정부는 7년간 50억 바트(1억 4,780만 달러) 규모의 지원 패키지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로 인해 픽업 트럭 판매가 6,250대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태국은 자동차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전기 자동차(EV) 투자 유치에 집중하고 있으며, 최근 BYD(Build Your Dreams)와 Great Wall Motor와 같은 중국 EV 브랜드로부터 30억 달러 이상을 투자유치했다. * 중국-태국 합작사 SAIC Motor-CP와 MG Sales(태국)는 최근 국내 자동차 시장이 정상화될 때까지 태국에서 픽업트럭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motoring/2984831/thailand-offers-guarantee-for-pickup-truck-loans-to-boost-flagging-auto-sector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2024년 전 세계 교육 순위에서 107위, 한국이 1위 (사진출처 : The Nation)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월드포퓰레이션리뷰(World Population Review)에 따르면 태국은 2024년 세계 교육 순위에서 107위를 차지했다. 200개국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이 조사는 매년 발표하는 ‘유엔 뉴스 베스트 컨트리스(UN News Best Countries) 보고서’와 비영리 단체인 ‘월드 톱 20(World Top 20)’에서 발췌한 것이다. 이 웹사이트는 교육 수준이 국가마다 다른 것이, 국가의 교육 시스템 수준과 경제수준, 전반적으로 잘 사는 것과 명확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은 최빈국보다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고, 선진국들은 최고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 웹사이트는 세계은행이 주관하는 ‘교육을 위한 글로벌파트너십(GPE: Global Partnership for Education)’을 인용해, 교육이 기본적인 인권이며 인간·사회·경제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은 성 평등을 증진하고 평화를 촉진하며 더 나은 삶과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킨다고 덧붙였다. 전 세계에서 한국이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를 덴마크-네덜란드-벨기에-슬로베니아-일본-독일-핀란드-노르웨이-아일랜드가 이었다. 태국은 107위를 차지했고, 아세안에서 8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가 아세안 국가 중 교육 순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브루나이-베트남이 이었다. 아세안 전체 국가 순위는 다음과 같다. 싱가포르(11위)-브루나이(47위)-베트남(53위)-인도네시아(67위)-필리핀(71위)-말레이시아(89위)-라오스(102위)-태국(107위)-미얀마(109위)-캄보디아(120위) (Thailand ranks 107th in 2024 global education survey / The Nation, 3.23, 온라인, 태국발, 전문번역) URL: https://www.nationthailand.com/news/world/40047747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패통탄 총리 리더십’, ‘디지털 지갑’ 등…불신임안 토론 주요 쟁점될 듯 (사진출처 : Bangkok Post) 패통탄 총리의 리더십, 디지털 지갑 계획, 헌법 개정 지연, 알파인 골프장 스캔들이 3월 24일 시작되는 불신임안 토론의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은 특히 디지털 지갑 계획이 2023년 선거 캠페인에서 패통탄 총리가 유권자들에게 약속했던 것과는 다르다며 비판했으며, 태국의 낮은 경제 성장률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또한 탁신 전 총리가 수감 대신 경찰 종합병원의 고급 병동에 구금된 것과 미얀마 국경 인근의전화 사기 센터 피해 및 인신 매매 문제도 함께 지적될 것이라고 말함 팔랑쁘라차랏당(PPRP)은 카지노 엔터테인먼트 복합단지 프로젝트, 정부의 캄보디아 협상 계획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정부를 비판할 예정이며, “토론이 끝나면 많은 이슈가 뒤따를 것이고 법적 이슈로 확대될 수 있음, 국가부패방지위원회와 헌법재판소에 청원이 제출될 수 있으며, 이는 정치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politics/2985730/list-of-censure-hits-grow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한국-태국 여자배구 올스타 대결, 6년 만에 부활 KOVO, 비주전 선수 실업연맹 대회 참가 허가하고 유소년 팀 창단 2019년 열렸던 한국-태국 올스타 슈퍼매치에 출전한 김연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대호 기자 = 한국배구연맹(KOVO)은 지난 21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한국배구연맹에서 이사회와 임시총회를 개최해 한국-태국 여자배구 올스타 슈퍼매치를 다시 열기로 합의했다고 25일 밝혔다. 프로배구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 교류 사업의 일환으로 열리는 한국-태국 여자배구 올스타 슈퍼매치는 다음 달 19일과 20일 경기도 화성시 화성종합운동장에서 개최한다. 한국-태국 여자배구 올스타 슈퍼매치는 2017년 태국을 시작으로 2019년까지 양국을 오가며 개최하다가 2020년부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잠정 중단됐다. 6년 만에 부활하는 이번 경기는 팀 KOVO와 태국 올스타가 1, 2차전 대결을 벌인다. 한국-태국 올스타 슈퍼매치 [한국배구연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한 연맹은 비주전 선수에게 경기 출전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의 2025 실업연맹 단양대회 참가를 허가하기로 했다. 올해 실업연맹 단양대회는 7월 7일부터 15일까지 열리고, 프로 선수 가운데는 ▲ 5년 차 이하 ▲ 전 시즌 V리그 경기 50% 이하(18경기) 또는 100세트 이하 출전 ▲ 대표팀 소집명단 제외 선수 조건 가운데 1개만 충족하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연맹은 숙박비를 비롯한 제반 사항을 지원한다. 끝으로 연맹은 국가대표팀 경쟁력 저하와 유소년 엘리트팀이 감소, 우수한 신인선수 유입 부재를 해결하고자 KOVO 유소년 엘리트팀을 창단하기로 합의했다. 연맹은 내년부터 유소년 엘리트팀을 운영하고, 서울 기반의 초등학교 3∼4학년(12세 이하) 대상 남녀 각 1팀으로 시작한다. 또한 15세 이하, 18세 이하 클럽팀으로 확장하는 방안 또는 12세 이하 클럽팀의 전국 단위 운영 등을 추가로 검토할 예정이다. ▶ 태국, 2050년 탄소 중립 국가 목표 달성 위한 관광산업의 지속가능성 위해 노력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이라는 국가 목표의 달성을 위해 현지 사업자 및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푸켓 지역에서는 지속 가능한 관광 개발 재단이 폐기물 관리, 교육, 그린 호텔 플러스 인증과 같은 친환경 제도를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일례로 마이너 인터내셔널은 글로벌 ESG 트렌드에 적응하여 호텔 및 레스토랑 운영 전반에 걸쳐 지속 가능한 정책을 시행하는 동시에 재정적 책임과 환경적 책임의 균형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히 지속 가능한 관행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재정적 지원과 교육이 필요한 관광 부문의 중소기업에게는 여전히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85808/tourism-goes-green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한국관광공사, 케이팝 팬들을 위해“2025년 방콕에서 한국의 비트를 느껴보세요” 개최 (사진출처 : bangkok-today.com) 지난 3월 22일 방콕 므엉텅타니 썬더돔에서 열렸던 ‘골든웨이브 인 방콕’ 콘서트에서 엔하이픈(ENHYPEN)·영재(YOUNGJAE)·제이비(JAY B)·TWS(투어스)·키스오브라이프(KISS OF LIFE)·이븐(EVNNE)·휘브(WHIB)·민니(MINNIE)·배현성 배우가 참석해 뜨거운 무대를 선보이며 태국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이 행사와 연계해 한국관광공사는 “2025년 방콕에서 한국의 비트를 느껴보세요(Feel the Beat of Korea in Bangkok 2025)”를 개최했다. ‘골든웨이브 인 방콕’ 콘서트의 메인 스폰서인 한국관광공사는 지난 2월 13일부터 3월 13일까지 온라인 이벤트를 진행하고 최대 10장의 콘서트 티켓을 무료로 증정했다. 또한 행사 당일 한국관광(K-Travel), 티켓(Ticket), 한국체험(K-Experience) 3개의 부스를 설치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했다. 한국의 봄을 알리는 아름다운 사진들이 부스를 장식했고, 한국체험 부스에서는 딱지·투호·공기 등의 전통놀이 체험도 할 수 있었다. 또한 추첨을 통해 온라인 여행사 케이케이데이(KKday)의 바우쳐(총 40장)를 받을 수도 있었다. 이번 행사는 즐거움을 제공하고 한국 관광도 홍보할 수 있어 케이팝 팬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앞으로도 한국관광공사 방콕지사는 이와 같은 활동을 지속적으로 기획할 예정이다. (องค์การส่งเสริมการท่องเที่ยวเกาหลี” จัดเต็มความมันส์! ในงาน Feel the Beat of Korea in Bangkok 2025 ยกทัพศิลปินร่วมโชว์สุดอลังการเอาใจสาวก K-Pop / Bangkok Today, 3.24, 온라인,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shorturl.at/F77RJ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오후 2~5시 술 판매 금지' 태국, 53년 만에 '낡은 법' 고친다 1972년 공무원 근무 중 음주 금지하려 제정 군부 장악, 보수 성향 상원 문턱 넘을지 관건 지난해 7월 태국 방콕의 한 대형마트 주류 코너에 주류 구매가 불가하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방콕=허경주 특파원 태국이 주류 판매 시간 규제 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태국에서는 오후 2~5시 사이 술을 살 수 없는데, 앞으로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구매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이 커졌다. 53년 전 만들어진 낡은 정책이 정부가 심혈을 기울이는 관광산업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22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 하원은 전날 제3차 최종 독회(국회 본회의에 해당)를 열고 알코올 음료 통제법 개정안을 재적의원 368명 가운데 찬성 365표, 기권 3표, 반대 0표로 승인했다. 앞으로 상원에서도 세 차례의 독회를 거쳐 통과하면 개정된다. 현재 태국에는 술을 살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 있다. 오전 11시~오후 2시, 오후 5시~자정이다. 불교기념일과 선거일 등 특정일에도 주류 판매가 금지된다. 마트나 편의점은 물론, 식당과 술집 모두 해당된다. 이를 어기면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최대 1만 밧(약 43만 원)의 벌금형 또는 최고 6개월 징역형에 처해진다. 지난 1972년 군부가 공무원의 근무 중 음주를 금지하려 도입했는데, 민간까지 확대됐고 53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 태국 산업계는 이 규정이 현실에 맞지 않는다며 꾸준히 철폐를 요구해왔다. 티안 차이야파트라눈 태국 호텔 협회 회장은 “오후 2시~5시 주류판매 금지령 같은 구식 정책에 집착하는 것은 태국을 ‘관광객 천국’으로 만드는 데 역효과를 낸다”고 지적했다. 주류 업계는 해당 시간대 주류 판매 금지를 해제할 경우 연간 6,000억 밧(약 25조6,000억 원) 수익이 창출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패통탄 친나왓(왼쪽 세 번째) 태국 총리가 지난 11일 방콕 정부청사에서 카지노 합법화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방콕=EPA 연합뉴스 관광 산업 활성화에 사활을 건 태국 정부도 규제 완화를 지지해 왔다. 관광업은 직간접적으로 태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20%를 차지한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직격탄을 맞으면서 태국 정부는 산업 회복을 위해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고 있다. 2022년에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대마를 마약류에서 제외했고, 지난해에는 러시아와 인도, 중국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허용했다. 올해를 ‘관광과 스포츠 해’로 선포한 데 이어 카지노 합법화에도 시동을 건 상태다. 여기에 관광객들의 불만 중 하나였던 주류 제한까지 풀면서 더 많은 외국인을 유치하고 세수를 확보하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의회에서도 규제 완화의 첫발을 내디딘 셈이다. 다만 실제 법 통과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현지 일간 더네이선과 방콕포스트는 “앞으로 상원은 세 차례 독회를 열고 개정안을 심의하게 된다”면서도 보수 성향 상원이 이를 통과시킬지 불투명하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치러진 상원 선거에서 친군부 진영 등 보수 세력 인사들이 의석(200석)의 70%를 차지했다. <기사출처 한국일보 허경주 특파원> ▶ GLN 인터내셔널, 해외여행 손님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SCB 은행(Siam Commercial Bank) 태국 전역 ATM에서 사용 가능한 ‘QR 출금’ 서비스 시행 (사진출처 : GLN International) GLN 인터내셔널은 해외여행 손님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태국 전역 ATM에서 사용 가능한 ‘QR 출금’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 도입으로 태국을 방문하는 해외여행객은 태국 전역에 설치된 9,000여개 SCB 은행(Siam Commercial Bank) ATM에서 실물 카드 없이 QR코드 스캔만으로 현지 통화를 인출할 수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GLN의 ‘QR 출금’ 서비스는 기존 신용·체크카드 출금 대비 50% 이상 저렴한 수수료(건당 85바트)가 적용되기 때문에 필요한 현금을 보다 경제적인 비용으로 실시간 환율에 따라 태국 현지에서 인출해 사용할 수 있다.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3월 24일 태국 뉴스

2025/03/24 12:20:32

▶ 외교 보폭 넓히는 미얀마 군정 수장, 내달 태국 다자회의 참석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 7개국 정상회의서 인도 등 접촉 예정 미얀마 군정 수장 흘라잉 최고사령관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2021년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미얀마 군사정권 수장이 국제무대 보폭을 넓히고 있다. 24일 태국 매체 타이PBS에 따르면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최고사령관은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BIMSTEC) 정상회의 참석차 다음 달 3∼4일 태국 방콕을 방문할 예정이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태국 방문은 쿠데타 이후 처음이다. 이번 BIMSTEC 정상회의에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비롯한 회원국 정상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BIMSTEC는 인도, 태국, 미얀마,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부탄 등 벵골만에 인접한 7개국이 회원인 지역협력체로 1997년 설립됐다. 반군 공세로 군정이 위기를 맞은 가운데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달 초에는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각각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을 만났다. 그는 양국과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민정 이양을 위한 총선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지난해 11월에는 중국 윈난성 쿤밍에서 열린 메콩강 유역 6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쿠데타 이후 첫 중국 방문이었다. 당시 그는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패통탄 태국 총리,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 등과 별도로 만났다. 군정 수장의 연이은 외국 정상 접촉은 국가비상사태를 끝내고 안정적인 장기 통치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필수적인 절차인 차기 총선에서 지지를 확보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올해 12월 또는 2026년 1월에 총선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벨라루스에서 언급했다. 중국과 러시아 등은 군정이 추진하는 선거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반면에 미얀마 민주 진영과 미국 등 서방국들은 군정 주도 선거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 품탐 태국 부총리 “위구르족 방문, 연출 아니다”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인 품탐(Phumtham) 최근 중국 신장 지역에서 진행된 위구르족 방문이 연출된 것이라는 의혹을 부인하며, 모든 면담은 자발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 이번 방문은 지난달 위구르인 송환 이후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태국 공무원에 비자 제한을 부과하는 등 비판이 이어지는 가운데, 송환된 위구르인의 안전을 점검하고 인권 존중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뤄졌으며, 법무부 장관과 군 관계자, 일부 태국 언론도 동행함 품탐 부총리 대표단은 카슈가르 인근 주거지 및 외곽 지역 위구르인들과 대면 및 화상으로 면담을 진행했으며, 송환자들이 중국 법 아래 안전하게 거주 중이라는 설명을 들었다고 밝혔다. (송환된 위구르인 40명 중 대부분이 신장 각지의 자택으로 복귀했고, 일부는 병원 치료를 받고 있음) 한편, 중국 외교부는 이번 송환을 “정상적인 법 집행 협력”이라고 밝혔으나, 인권단체는 인권 침해와 강제 구금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2984146/thai-government-rejects-allegations-of-staged-uyghur-visit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정부, 무비자 체류 기간 60일에서 30일로 단축 예정 (사진출처 : SPACEBAR) 태국 관광체육부는 불법 영업 문제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무비자 입국자의 체류 기간을 기존 60일에서 30일로 단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경우, 60일 조치가 적용되지 않고 계속해서 90일 비자 면제를 유지) *외교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들은 최근 몇 주간 논의 끝에 무비자 입국자의 체류 기간을 60일에서 30일로 단축하기로 합의, 구체적인 내용은 추가 협의 후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한편, 태국 여행업협회는 외국인의 불법 취업 및 사업 증가 문제를 정부에 전달, 태국 호텔협회는 무비자 체류 기간 연장이 불법 일일 숙박용 콘도 임대 확산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한 바 있다. 태국 관광업계는 정부가 ‘24년 7월부터 기존 57개국에서 93개국으로 무비자 대상국을 확대해 최대 60일까지 관광 목적으로 체류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장기 관광객 대부분이 평균 14~21일, 단기 관광객은 평균 7일 정도만 머무는 현실과 맞지 않는다고 우려를 제기해왔다. 이에 따라 당국은 관광체육부에 무비자 체류 기간 30일 단축을 비롯하여 외국 기업의 명의차용 단속, 관광사업 및 가이드 법 집행을 강화하도록 지시했다. 한편, 관광청과 관광경찰 등 6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특별 합동작전센터는 푸켓, 치앙마이, 파타야, 후아힌, 꼬사무이, 방콕 등 주요 관광지 내 불법 행위를 조사하고 있으며 작년에 불법 지분 변경 등 관광업 등록 요건을 위반한 40개 업체의 면허를 취소했다. 출처: https://shorturl.at/8fHlz <출처 : KTCC> ▶ 자동차 부품업계, 철도 개발로 새 기회 모색해야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자동차연구소(TAI)는 침체된 자동차 산업을 고려하여 현지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들이 철도 인프라 개발용 부품을 생산하는 등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도록 장려했다. * 이번 조치는 태국자동차연구소와 태국 철도기술연구개발청(RTRDA) 간의 양해각서(MOU) 체결에 따른 것으로, 양 기관은 태국 내 철도 및 대중교통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함 따라서 정부는 협약 내용에 따라 철도 부품 사업에 진출하는 부품 업체들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철도 시스템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새로운 기술을 익혀 철도 부품 생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 태국자동차연구소 소장인 끄리앙싹(Kriengsak)은 “태국이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자동차 산업은 석유 의존도가 낮은 새로운 모빌리티 기술에 의해 변화하고 있다”라고 말하면서 “이번 협력을 통해 부품 업체들이 철도 개발 분야로 생산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태국 철도기술연구개발청에 따르면, 태국은 현재 복선 철도 및 고속철도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총 2,800억 바트(약 12조 원) 이상을 투입해 올해 4월부터 1,488km에 달하는 복선 철도 2단계 공사를 시작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한편, 자동차 부품 업체들은 전기차 기술로의 전환이라는 기술적 과제와 함께, 국내 자동차 판매 부진의 이중 부담을 겪고 있다. (높은 가계부채로 인해 은행·금융사들이 부실 대출을 우려하며 자동차 대출 심사를 강화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84406/auto-parts-makers-urged-to-seek-new-opportunitie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MG, 픽업 생산 중단 (사진출처 : Bangkok Post) MG 브랜드로 자동차를 생산하는 중국-태국 합작사인 SAIC Motor-CP와 MG Sales(Thailand)는 침체된 국내 자동차 시장이 정상화될 때까지 태국에서 픽업트럭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MG Sales(Thailand)는 회사가 연간 얼마나 디젤 구동 픽업을 생산하는지 공개하지 않았으며 국내 생산 차량 중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만 언급했다. MG Sales(Thailand)의 부사장인 Pongsak에 따르면 픽업트럭은 현재 주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생산 중단으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시장이 회복되면 픽업 생산으로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예상된다. 태국 자동차 시장은 구매자들이 자동차 대출을 신청할 때 거부를 경험하기 시작한 2023년 이후로 침체되어 왔다. SAIC Motor-CP 회사는 Chon Buri 주에 437라이 규모의 자동차 제조 시설을 건설했으며, 연간 생산 용량은 10만 대이다. 회사는 국내와 해외에서 차량을 판매하고 있으며 태국을 전 세계 국가로 차량을 수출하는 거점으로 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출처: https://shorturl.at/Qjc9r <출처 : KTCC> ▶ 센트럴 파타나, 5년간 1,200억 바트(약 5조 원) 투자 계획 밝혀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최대 쇼핑몰 개발업체인 센트럴 파타나(Central Pattana)는 도시화 확대와 관광 산업 호조 속에서 향후 5년간 1,200억 바트(약 5조 원) 이상을 투자해 신규 쇼핑몰, 오피스 빌딩, 복합 부동산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 방콕 최대 쇼핑몰을 운영 중인 센트럴 파타나는 주요 도시와 대표 관광지에 복합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예정, 향후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음 최근 태국 정부가 관광 및 항공 허브 도약을 목표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 정책을 강화하면서 센트럴 파타나를 포함한 애셋월드코퍼레이션(Asset World Corp) 등 상업용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투자도 활발해지고 있다. 방콕 최대의 쇼핑몰 단지인 센트럴월드(CentralWorld) 경영자인 왈라야(Wallaya) 대표는 “태국인과 관광객 모두에게 인기 있는 쇼핑몰 수요를 적극 활용하고, 쇼핑몰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인근 오피스와 주거시설로 고객을 유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왈라야 대표는 센트럴 파타나가 베트남 진출도 준비 중이며, 현지 정부의 규제가 명확해지는 즉시 신속하게 투자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센트럴 파타나를 보유한 찌라티왓(Chirathivat) 가문은 태국 내에서 3번째로 부유한 가문으로, 영국에서 Selfridges & Co, 독일에서 KaDeWe Group GmbH, 스위스에서 Globus 백화점도 운영하고 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84043/top-thai-mall-builder-central-plans-b120bn-5-year-expansion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2월 수출 14% 증가…8개월 연속 성장세 사진=뉴시스 제공 태국 상무부는 3월 21일 발표를 통해 2025년 2월 태국의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하며 8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로이터가 예측한 9.7%의 성장률을 상회하는 수치로, 1월의 13.6% 증가에 이어 강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피차이 나리파판 태국 상무부 장관은 이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무역과 투자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으며, 자유무역 협정(FTA)이 태국의 수출 증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25년 1분기에는 수출이 약 10%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2024년 한 해 동안 태국의 수출은 5.4% 증가하여 사상 최대인 3,010억 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상무부는 올해 수출 증가율이 2~3%에 이를 것으로 기존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2025년 2월 태국의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으나, 시장 예상치인 4.8%를 하회했다. 그 결과 2월 무역 흑자는 20억 달러에 달해, 예상 흑자였던 7억 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태국의 무역 수지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수출 호조세가 경제 회복에 주요한 동력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사출처 : NEWS VISION> ▶ 사하그룹, 한국자본과 손잡고 ‘빅쇼(BIG X SHOW)’ 설립, 전자상거래 경쟁 본격화 (사진출처 : Bangkokbiz) 한국의 자본은 태국을 전자상거래의 보고로 보고 있으며, 사하그룹과 협력해 라이브커머스로 한국의 죽, 라면, 현대자동차 등을 판매하는 ‘빅쇼(BIG X SHOW)’를 만들었다. 지난해 사하그룹의 홈쇼핑 사업부문인 ‘숍 글로벌(Shop Global)’은 한국의 ‘라라스테이션(LaLa Station)’과 협력해 라이브커머스 모델을 개발했다. 그리고 2025년에는 두 파트너가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사하그룹은 라라스테이션과 공동 투자해 자본금 8천만 바트(약 34억 4천만 원)의 ‘빅쇼 라라(Big Show Lala Co., Ltd.)’를 설립했다. ‘빅쇼 라라’는 사하그룹이 70%의 지분을, 라라스테이션이 3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빅쇼 라라’의 싸라촛 공동대표는 회사가 1억 바트(약 43억 원)를 투자해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또한 태국에서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태국인 18명, 한국인 4명, 말레이시아인 2명)들을 초청해 240만 바트(약 1억 320만 원)의 상금을 놓고 경쟁하는 라이브 커머스 게임 리얼리티쇼 ‘엑스더라이브(X THE LIVE) 시즌1’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엑스더라이브 시즌1’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예능 프로그램 <런닝맨>의 이환진 감독을 포함해 총 60명의 팀원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가수 ‘뱀뱀’이 프로그램의 진행을 맡았다. 또한 사하그룹은 까빈부리 주, 매썻 주, 촌부리 주에 있는 3개 산업단지를 활용해 인플루언서 센터를 개발했다. 이를 통해 현재 사하그룹 총 매출의 10~20%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온라인 매출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4년 태국의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조 1천억 바트(약 47조 3천억 원)이며 향후 3년 이내에 3조 바트(약 129조 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빅쇼 라라’의 이철호 공동대표는 태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이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은 태국보다 8배 크고, 5천만 명의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50여개의 플랫폼이 있다. 반면 태국은 라자다·쇼피·틱톡 같은 플랫폼이 있지만 아직 많지 않으며 7천만 명의 인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상품 중 가장 작은 품목은 라면과 죽 같은 식품이다. 가장 비싼 상품은 아이오닉(IONIQ) 현대자동차이다. 사하그룹의 제품들은 와코르, BSC, Lion 등이 있다. ‘빅쇼’ 애플리케이션은 하루 평균 30만 뷰와 100만 다운로드를 기대하고 있다. 이철호 공동대표는 “사하그룹과 1년간 일하면서 태국의 사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저희는 여러 사업 모델을 검토한 끝에 엑스더라이브(X THE LIVE)를 결정했습니다. 고객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인플루언서를 활용해 품질이 좋고 독점적인 상품들을 제공할 것입니다”라고 밝혔다. (เครือสหพัฒน์ ผนึกทุนเกาหลี ปั้น ‘BIGXSHOW’ ชิงตลาดอีคอมเมิร์ซ / Bangkok Biznews, 3.21, 온라인,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www.bangkokbiznews.com/business/business/1172125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푸켓-코사무이 새 유료도로 건설…교통 체증 완화 기대 (사진출처 : Bangkok Post) 수라쳇 라오풀숙 고속도로청장은 푸켓-코사무이를 잇는 새 유료 도로가 교통 사고 및 교통체증완화에 많은 부분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토지 문제가 해결되고 난 뒤 올해 말 내각의 승인을 받을 예정, 35킬로미터의 고속도로는 두 단계로 건설될 예정이다. (1단계 : 카투 지역에서 파통 해변까지, 2단계 : 카투에서 푸켓 공항까지) 기존 도로인 카투에서 파통까지의 4029번 도로는 산을 넘어 커브길로 급격히 내려가 해변까지 이어져 사고가 발생률이 높은데, 이번 도로 개통으로 산을 관통하는 터널이 건설되어 사고가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수랏타니와 코사무이를 잇는 교량으로, 바다 위를 가로지르는 30킬로미터길이의 교량은 페리 항구의 긴 차량 행렬을 줄이고 섬의 휴가철 교통 체증을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 해상 교량 건설은 2029년에 시작하여 2034년에 개통할 계획이며, 현재 내각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로 교량의 위치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2986383/expressway-chief-says-new-phuket-samui-tollways-will-end-traffic-horror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