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레이 총리, 태국 방문…"美관세 아세안 공동 대응 협의"
미얀마 군정 수장과도 비공개 회담…휴전 연장 촉구 전망
태국 입국하는 안와르 말레이 총리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올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의장국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가 태국을 방문해 태국 총리와 미얀마 군사정권 수장을 연이어 만났다.
17일 현지 매체 네이션과 AP통신 등에 따르면 안와르 총리는 이날 태국 정부청사에서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와 양국 협력 확대와 미국 상호관세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안와르 총리는 회담 뒤 "대화와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방식으로 아세안을 통해 미국 관세 문제에 공동으로 대응하자는 방침을 재확인했다"고 소셜미디어에 밝혔다. 안와르 총리는 미국의 상호관세에 아세안 차원의 대응을 촉구하며 회원국 정상들과 접촉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각국 개별 협상과 별도로 아세안 회원국의 주장을 전달하기 위한 미국과 정상회담도 추진해왔다.
안와르 총리는 패통탄 총리와 회담에 이어 방콕 한 호텔에서 미얀마 군정 수장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과 비공개로 회담했다.
이 자리에 패통탄 총리는 참석하지 않았지만 그의 아버지이자 아세안 의장 고문인 탁신 친나왓 전 총리가 함께했다.
태국 외교부는 안와르 총리 등과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만남은 안와르 총리 개인 일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안와르 총리는 14일 방콕에서 흘라잉 최고사령관을 만날 예정이라며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미얀마군과 반군의 휴전 연장을 촉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탁신 전 총리는 이달 초 방콕에서 열린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BIMSTEC) 정상회의 당시 흘라잉 최고사령관에게 반군과 평화회담을 제의했다고 말했다.
미얀마 반군부 진영은 태국과 말레이시아 정부가 흘라잉 최고사령관과 대화함으로써 군정을 정당화할 뿐이라고 비판한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2021년 2월 1일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고 이후 저항 세력의 무장 투쟁으로 내전이 이어졌다.
극심한 혼란이 계속된 가운데 미얀마 중부에서 지난달 28일 규모 7.7 강진이 발생해 3천700명 이상 사망하는 막대한 피해가 났다. 반군이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군사활동 중단을 선언했고 이어 군정도 지난 12일 20일간 일시 휴전을 발표했다.
한편 미얀마 군정은 이날 자국 신년 명절인 띤잔을 맞아 사면을 단행, 외국인 13명 등 수감자 약 4천893명을 석방했다고 국영 매체 MRTV를 통해 밝혔다.
▶ 피차이 재무부 장관, 미 방문 앞서 중앙은행 총재와 회담 예정
(사진출처 : Bangkok Post)
피차이 재무부 장관은 미국 방문에 앞서 태국 중앙은행 총재와 미 관세 조치 관련 회담을 가질 것이며, 미국의 무역 정책, 세계 경제 동향, 그리고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조치로 인한 투자자들의 영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회담에서 시중은행에 대한 규제 완화, 미 관세 피해 기업 지원 조치, 통화 완화 및 유동성 공급 또한 함께 논의될 예정이다.
한편, 피차이 재무부 장관은 상무부 장관과 함께 월요일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미국 측과의 회담에서 태국 협상단을 이끈다.
피차이 재무부 장관은 먼저 시애틀로 이동하여 목요일부터 농업, 산업 및 기타 투자 분야의 사업주들과 만날 계획이며, 상무부 장관은 일요일에 재무부 장관과 합류한 후 다음 날 워싱턴 D.C.로 이동하여 트럼프 행정부와의 회담에 참석할 예정이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03811/pichai-to-talk-to-bot-governor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치앙마이, 지진 여파로 송끄란 연휴 객실 요금 타격
(사진출처 : ONE31)
파이산 태국호텔협회(THA) 북부지부 회장은 지난 달 미얀마와 태국을 강타한 지진의 영향으로 인해 이번 송끄란 연휴 기간 중 내국인들의 예약이 저조하면서 객실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객실 단가를 낮출 수 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올해 4월 12일부터 16일까지 치앙마이의 객실 점유율은 지난해와 비슷한 85%를 기록했다. 하지만 내국인들의 막판 예약을 유치하기 위해 치앙마이 호텔들은 보통 송끄란 연휴에 30% 인상하던 객실요금을, 올해에는 10% 정도만 인상했다.
팟사린 태국관광청 치앙마이 지부장은 4월 12일부터 16일까지 14만 6천명 이상의 관광객들이 치앙마이를 방문했으며, 이 중 약 60%가 내국인이었다고 밝혔다.
외국인 관광객은 주로 한국과 유럽에서 왔으며, 중국인 관광객도 있었지만 이전보다 감소했다. 또한 치앙마이에서 관광객 1인당 평균 지출액은 4,600바트(약 20만 원)로 나타났다.
팟사린 지부장은 올해 6월, 연례 여행업계 B2B 행사인 ‘타일랜드 트래블 마트 플러스(Thailand Travel Mart Plus)’를 치앙마이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행사에는 500명 이상의 참석자와 1,000여개의 태국 관광업체가 판매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Earthquake hits Chiang Mai’s room rates during Songkran / Bangkok Post, 4.18, B3면, Molpasorn Shoowong, 태국발, 요약번역)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소프트파워 산업 육성 위한 관련 법안 내각 제출 예정
(사진출처 : Bangkok Post)
수라퐁 국가소프트파워개발위원회 위원장은 내년 1분기에 태국창조문화진흥원(THACCA-Thailand Creative Culture Agency)의 설립이 예상되는 가운데 소프트파워 증진 법안이 곧 내각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라퐁 위원장은 태국이 더 이상 기존 산업으로는 큰 성장을 지속할 수 없으며, 태국의 경제 구조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소프트파워 정책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법안(Creative Culture Promotion Act)은 곧 내각 심의를 위해 제출될 것이며, 승인되면 의회 심의를 거쳐 내년 초에 제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태국창조문화진흥원(THACCA)는 ‘26년 출범될 것이며, 소프트파워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핵심 기관으로 총리가 정책 이사회를 이끌 예정이다.
수라퐁 위원장은 민간 부문과의 논의를 통해 소프트파워 산업을 11개 부문에서 15개 부문으로 확대하였으며, 드라마 및 시리즈 제작, 공연 예술, 경험 디자인에 중점을 둔 웰니스 분야의 소프트파워, 광고 산업 등이 포함됐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04732/drive-to-promote-thai-soft-power-heats-up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 태국에 '국산 AI' 첫 수출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업스테이지’가 국산 AI 모델로는 처음으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태국으로 수출했다고 16일 밝혔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이날 기자 간담회를 열고 “업스테이지가 글로벌을 향한 본격적인 여정을 시작했다”며 “최근 구축까지 마친 태국어 전용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국산 AI 모델의 첫 수출 사례”라고 말했다. 업스테이지는 지난 8개월간 태국 IT 전문 기업 ‘자스민 테크놀로지 설루션(JTS)’ 및 KT와 손잡고 태국어 전용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개발했다. 올해 이 모델을 기반으로 태국 기업들의 AI 전환을 본격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태국어 모델 개발 소식이 전해진 뒤 다른 동남아 나라에서도 연락이 오고 있다”며 “AI 본진인 미국에서도 S&P 500에 속한 보험사 세 곳과 AI 모델 도입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네이버의 핵심 AI 개발자 셋이 모여 2020년 창업한 업스테이지는 자체 개발한 소형 언어 모델(SLM) ‘솔라’로 주목받은 곳이다. 솔라는 세계 최대 AI 관련 기술 공유 사이트 ‘허깅페이스’에서 작은 크기의 모델로도 글로벌 빅테크가 개발한 AI 모델에 밀리지 않는 성능을 보였다. 덕분에 업스테이지는 지난해 1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4000억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다. 현재는 업무용 AI 모델을 개발해 기업에 판매하는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기사출처 : Nate News>
▶ 태국 재무부, 가상은행(인터넷 은행) 선정해 6월에 발표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재무부는 6월 19일까지 가상은행(인터넷 은행) 허가를 신청한 5곳 중 3곳을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허가를 취득한 가상은행은 준비 기간을 거쳐 2026년 서비스를 개시한다.
가상은행은 은행 서비스가 부족하거나 소외된 계층이 금융 서비스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허가를 신청했던 5곳은 아래와 같다.
1.KTB(그룽타이은행), AIS(통신사), PTT(에너지기업)로 구성된 걸프(Gulf) 컨소시엄
2.SCB(시암상업은행)와 한국의 최대 디지털 은행 카카오뱅크, 위뱅크(WeBank)로 구성된 SCB X 컨소시엄
3. 방콕은행, VGI(BTS 지상철 그룹 산하 광고·금융사), 타일랜드 포스트(우체국), 사하그룹과 협력한 쇼피 그룹(전자상거래) 컨소시엄
4. 트루머니 앱을 운영하는 CP그룹의 어센드 머니(Ascend Money) 컨소시엄
5. 라이트허브(Lighthub)
업계 정보에 따르면 걸프 컨소시엄, SCB X 컨소시엄, 어센드 머니 컨소시엄이 중앙은행의 승인을 받았으며, 최종 심사를 위해 재무부에 제출되었다고 한다.
최근 SCB X의 최고경영자는 SCB가 가상은행의 지분 80~90%를 보유할 계획이며, 2개의 해외 파트너사가 디지털뱅킹, 사용자 경험, 인터페이스 디자인 등의 전문 지식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Virtual banks to be announced in June / Bangkok Post, 4.18, B2면, Somruedi Banchongduang,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05482/virtual-banks-to-be-announced-in-june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태국, 대미 무역 불균형 해소 위해 미국산 LNG 수입 추진
(사진출처 : Bangkok Post)
태국 정부는 미국의 관세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향후 5년간 미국으로부터 추가로 액화천연가스(LNG) 500만 톤을 수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간 100만 톤(약 5억 달러 규모) 씩 5년간 단계적으로 도입될 예정)
* 현재 태국은 미국과 연간 100만 톤 규모의 LNG를 15년간 수입하는 장기 계약을 체결한 상태이며, 태국의 전체 LNG 수입량은 연간 1,000만 톤 이상. 주요 수입처는 중동이며, 천연가스는 태국 전력 생산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음
지난 16일 피차이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은 태국 최대 에너지 기업인 PTT 그룹 관계자들과 회동을 갖고 LNG 수입 계획을 논의했으며,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에 앞서 PTT가 내년에 100만 톤의 미국산 LNG를 추가 수입하고, 이후 5년간 매년 같은 규모로 수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태국은 4년간 총 40만 톤 규모의 미국산 에탄(Ethane)도 도입할 계획이며, 이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긍정적 신호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미국은 태국 제품에 36%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으로 90일간 발효가 유예된 상태, 이에 따라 태국 정부는 유예 기간 내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해소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04447/govt-sets-sights-on-us-gas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 태국 기상청 지진관측과, 태국 지진 경보 앱(App) ‘Earthquake TMD’ 개발
(사진출처 : The Thaiger)
3월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8.2 지진 영향으로 태국 전역에서 여진이 관측되고 피해가 발생하면서 앞으로 지진에 대비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국 기상청 지진관측과(กองเฝ้าระวังแผ่นดินไหว)가 개발한 무료 앱(App) 'Earthquake TMD'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앱은 지진이나 쓰나미와 관련된 긴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실시간 알림과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앱으로 권장했다. iOS 및 Android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태국 국내 및 해외 지진에 대한 즉각적인 알림을 제공한다.
또한 태국 국내 관측 데이터 외에도 미국 지질조사국(USGS),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 독일 지오폰(GEOFON) 등 국제적인 모니터링 기관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해 진원지, 규모, 깊이, 발생 시간, 사용자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 등의 세부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긴급 상황에 도움이 되는 여러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 '흔들림 체험 보고'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느낀 지진의 흔들림을 보고할 수 있으며, 이는 태국 기상청 지진 모니터링 부서의 상황 파악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긴급 연락처’ 섹션에서는 국가재난경보센터, 국가응급의료연구소 등 주요 기관의 연락처를 오프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어 통신 장애 시에도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pp.android.tmd.earthquake.earthquaketmd&hl=th&pli=1
-iOS 다운로드:
https://apps.apple.com/th/app/earthquaketmd/id1537054505
▶ 한국 스타 박재범, 6월에 방콕 공연 예정
(사진출처 : Bangkok Post)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래퍼이자 싱어송라이터, 퍼포머, 기업가인 박재범이 ‘2025 제이팍 세레나데즈 앤 바디롤즈(Serenades & Body Rolls) 월드투어’ 무대로 6년 만에 복귀한다. 방콕은 6월 22일, 엠스피어 쇼핑센터에 위치한 UOB 라이브에서 공연할 예정이다.
티켓 가격은 2,500바트(약 11만 원) / 2,800바트(약 12만 원) / 3,500바트(약 15만 원) / 3,800바트(약 16만 원) / 6,000바트(약 26만 원) / 8,000바트(약 34만 원)으로 4월 30일부터 타이티켓메이져(thaiticketmajor)에서 구매할 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페이스북 livenationth를 방문하해 체크할 수 있다.
(Acclaimed star Jay Park to perform in Bangkok / Bangkok Post, 4.17, Life 2면, 태국발, 요약번역)
URL: https://www.bangkokpost.com/life/arts-and-entertainment/3004662/acclaimed-star-jay-park-to-perform-in-bangkok
<출처 : 주태국한국문화원>
▶ 미-중 무역 갈등 격화로 미국 달러 약세… 태국 바트 환율 달러 당 33바트 하회 가능성
(사진출처 : Bangkok Post)
카시콘리서치(K-Research)는 바트화 가치가 근 6개월 래 최고치를 경신하며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격화되면서 2분기 중 바트화 가치가 상승하여 달러당 33 바트를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바트화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미 경제전망 약화로 달러화가 하락세를 보임에 따라, 다른 아시아 통화와 함께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음. 17일 오전 기준 바트화가 33.18~33.20바트로 거래, 16일에는 33.08바트를 기록
카시콘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美달러에서 日엔화, 스위스프랑 등 안전통화로 자금이 이동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장기화되거나 격화될 경우 달러 약세가 심화돼 바트환율이 달러당 33바트선을 하회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카시콘리서치에 따르면 금값 상승도 바트화 강세를 뒷받침하고 있으며, 최근 국제 금값은 온스당 3,357.78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은 미국 내 물가 상승 압력 가능성을 경고, 경제 방향성에 대한 추가 데이터를 확인한 후 금리 정책을 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카시콘리서치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경우 연준이 당초 6월로 예상되던 금리 인하를 5월 6~7일 회의에서 앞당길 수 있다는 시장의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 원문 기사 출처 :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05547/baht-likely-to-surpass-33-to-dollar-in-q2
<출처 : 코트라 방콕무역관>
<연합뉴스 기사는 주식회사 ‘연합뉴스’와 태국 ’교민잡지’와의 [뉴스 제공 및 전재 계약]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