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Z세대와 정치 개혁

2021/01/07 11:58:48

Generation Z, 1996년부터 2012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들 나이대 그룹들은 이제 곧 아시아-퍼시픽 지역에서 가장 많은 세대수를 자랑하게 된다. 그것이 2025년이다. 1980년대부터 1995년 사이 태어났던 밀레니얼 세대의 후손들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은 이제 곧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주요 핵심 세대가 될 것이다. 이들을 사람들은 Z세대라 일컫는다. X세대, 밀레니얼세대를 거쳐 올라온 Z세대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인터넷과 이동식 기기, 즉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를 어려서부터 접한 새대라는 것이다. 즉, 과거와는 달리 Z세대는 인터넷이 언제 어디서든 접속되는 환경에서 자라 온 세대라는 것이다. 이는 인터넷을 자연스럽게 접했지만 어느 정도 성숙해질 때까지는 정해진 장소, 즉 집이나 PC방과 같은 장소에서만 인터넷을 이용했던 밀레니얼 세대와는 구별이 되는 것이다. 이덕에 Z세대는 IT기술에 익숙함을 느끼고 사교생활에서도 SNS 사용이 매우 익숙하며 이전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들에게는 컴퓨터 웹사이트 환경과 스마트폰 환경에 두루 익숙하지만 Z세대는 컴퓨터 환경 보다는 모바일 환경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의 소비성향이나 성장배경 등 여러 방면에서 그 이전 세대와는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이들 Z세대에 맞는 마케팅 전략이 따로 짜여져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들의 또 다른 큰 특징은 이전 세대보다 문화와 인종의 다름에 크게 동요하지 않고 낮설어 하지 않으며 매우 개방적으로 받아들인다는데 있다.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을 접한 세대이기에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 익숙하고 이런 미디어가 없던 시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검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을 꼭 가야만하는 이전 세대들과는 달리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모든 주요 정보를 검색해 볼 수 있는 세대 또한 이들 세대들이다. 태국은 동남아시아 국가중에서도 IT와 인터넷 인프라가 가장 발달한 국가 중 하나이다. 물론 싱가폴이나 말레이시아 등도 물론 인프라 형성은 되어 있지만, 사용인구에 있어서 태국은 단연 아세안 국가중 독보적인 나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지금 태국은 이들이 곧 중심 연령이 되는 시기에 도래하게 된다. 이미 이들 Z세대들의 활약은 태국 도처에서 아주 쉽게 볼 수 있다. 이들은 태국 정치의 새바람을 일으키기도 하고 태국 공무원 군인과 경찰 등 주요 요직에서 실세로 활약하고 있는 세대들이기도 하다. 2000년대 초반부터 두 번의 쿠데타와 정권 교체 그리고 다양한 정치적 대립이 있어왔던 태국은 노란셔츠로 불리는 왕당파와 빨간셔츠로 불리는 민주파의 대립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하지만 태국 Z세대 시위대들은 쑤완나품 공항을 점거하거나 라차쁘라쏭 거리에 진을 치고 수개월을 점거하며 자신들의 주장을 펼치던 이전 세대들과는 달리 치고 빠지는(?) 그러나 매우 효과적인 시위를 주도하고 있다. 검은 5월, 피의 일요일 등 군사독재에 항거하던 태국의 민주주의 역사는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던 과거가 있다. 이는 태국 민주주의 암흑기를 상징하고 있으며 지금도 태국의 Z세대들이 의미있게 생각하는 태국 민주주의의 상징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들은 과거의 상징을 과거처럼 소비하지 않고 전혀 새로운 발상과 아이디어로 기성세대를 당황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지난 2020년 10월 태국의 수도 방콕 도심에서 최소 2만명 이상의 시위대가 몰려 현 군부정권의 퇴진과 함께 왕실 개혁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이에 대해 많은 기성세대들이 우려와 걱정을 하고 있고 태국 정부는 강경하게 왕실에 대해서는 건들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경고를 하고 있다. 하지만 태국의 새로운 세대들은 이에 대해 겁을 먹기는 커녕 오히려 더 많은 젊은이들이 시위에 참가하는 등 시위 형태는 예전과는 달라진 양상이다. 또한 새로운 세대는 시위 참가 방식 또한 예전과는 달라졌다. 많은 시위 참가자들이 SNS를 통해 시위에 가담하거나 장소를 바꾸거나 주장을 마음껏 표현한다. 태국 왕실에 대한 입장차이도 마찬가지다. 기존 세력이 현 국왕의 아버지 푸미폰 국왕의 진실어린 활약을 몸소 겪어 온 세대라면 지금 태국의 Z 세대는 전 국왕의 은혜(?) 보다는 현 국왕의 활동을 보고 자라 온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즉, 부모님을 통해 이전 국왕의 활약은 이야기로 많이 들었지만 몸소 체험한 적은 없고 새로운 국왕의 모습만 보고있는 상황속에서 고압적인 군부 정권과 왕실에 대해 반감을 가질 수도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스스럼없이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해쉬태그로 왕실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또는 왜 태국 국민들에게 왕이 필요한지에 대해 묻고 있다. 2020년은 정말로 혼란한 한 해였다. 연초부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 혼란을 겪었고 지금도 겪고 있다. 한동안 잠잠했던 태국의 국내 확진자가 연말을 맞아 갑자기 치솟기 시작했고 이에 따른 통제가 시작되고 있다. 혹자는 이런 모든 것들이 태국 정부가 민주화 시위를 잠재우기 위해 일부러 꾸민 것이라는 음모론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현재 태국은 물론 전세계가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상황이다. 이런 와중에 태국은 정치적으로도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혼란속에 있다. 영국의 BBC 방송은 태국의 이번 반정부 시위에 대해 “이런 상황은 태국이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영역이다. 이후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해서는 지금은 아무도 알 수 없다”고 말한 것처럼 2021년, 태국이 겪어내야할 새로운 역사가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주목해 볼 일이다.

‘아세안 디지털 허브, 태국에 그리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2021/01/05 18:51:36

- KOTRA, 16일 ‘한-태국 스마트시티의 날’ 최초 개최 - “태국 스마트시티 시장, 스마트 모빌리티 등 우리 기술과 경험 원해”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사장 권평오)는 지난 12월 16일 방콕 소재 칼튼 호텔에서 한-태국 스마트시티의 날 행사를 성공리에 개최했다. 이번 스마트시티의 날 행사는 한국의 국토교통부와 한국해외인프라도시 개발지원공사(KIND), 그리고 태국 디지털경제진흥원(DEPA)과 함께 하는 행사였다. 코트라는 이번 ‘한-태 스마트시티의 날’행사는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 태국 순방시에 체결한 우리 국토교통부와 태국 디지털 경제사회부, 코트라와 태국 디지털경제진흥원 사이의 스마트시티 협력 MOU의 후속 조치로 개최되었으며, 한국과 현지 13개 지자체, 관련 기관 및 기업에서 약 200여명이 참가한 행사로서 한-태국 모두 최초로 개최되는 행사였다고 밝혔다. 태국은 현재 4차 산업혁명을 통해 경제를 도약시키기 위한 전반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높은 태국은 2018년 기준 328억달러 규모의 디지털 시장과 56.%의 인터넷 보급률, 133% 모바일 기기 보급률을 기록하는 등 ‘아세안 디지털 허브’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은 편이다. 태국은 이미 2018년 방콕과 푸껫 그리고 치앙마이 등 7개 도시를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로 지정하며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다양한 솔루션들을 도입하고 있으며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 시범도시를 약 100여개로 늘린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시티에 대한 태국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스마트시티 기술에서도 앞서가고 있는 한국형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태국은 한국의 우수한 ICT 기술력과 신도시 개발부터 기존 도시 재생까지 다양한 스마트시티 구축 경험을 함께 하고 싶다는 전문가들의 요청에 따라 현재 다양한 접촉이 시도되고 있다. 이번 코트라의 ‘한-태 스마트시티의 날’ 행사는 태국 현지의 ‘한국형 스마트시티’ 관심에 대응하고, 양국 스마트시티 협력 확대를 위해 마련된 자리로 ‘한-태국 스마트시티 세미나’(웨비나로 진행), ‘1:1 온라인 상담회’ 그리고 ‘스마트시티 구축사례 전시 및 기업홍보부스’(로드쇼 형식) 등으로 운영되는 모습이었다. 이날 발표자로 참가한 태국 디지털경제진흥원(DEPA) 수파콘 씻디히차이 (Dr. Supakorn Siddhichai) 부원장은 발표에서 “한국은 디지털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고, 도시건설 경험이 풍부하여 스마트시티 분야에서는 중요한 협력 파트너” 라면서도 “단순 솔루션 수출이 아닌 양국이 서로 윈윈하는 하는 협력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코트라 방콕무역관 김현태 관장은 “태국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강한 의지와 한국의 기술과 경험이 결합된다면 태국의 스마트시티 구축을 더욱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면서 “국토교통부 지원으로 올해 코트라 방콕무역관에 개소한 ‘스마트시티 협력센터’ 운영을 통해 우리기업의 태국 스마트시티 진출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0년 12월 24일 기준 태국 전역 색깔별로 코로나19 심각 수준 발표

2021/01/05 13:31:07

빨간색 최소 한군데 이상에서 많은 수의 확진 사례가 나온 곳 - 싸뭇싸컨 -모든 외부 행사 중지 또는 취소, 통금과 외국인 근로자 외출, 이동 금지. 외부로부터의 차량 통제와 재택근무 실행. 학교 휴교령에 온라인 수업 실행. 방역 철저 오렌지색 빨간색 지역과 가까운 지역으로 최소 10명 이상의 확진 사례가 나온 곳 -싸뭇쏭크람, 라차부리, 나컨파톰 그리고 방콕 -공공 행사 취소 또는 중지. 집회 금지, 개인 활동이나 모임은 허용, 그러나 대형 모임은 금지 권고. 고위험지역은 통제 가능. 노란색 10명 이하의 확진 사례 -싸라부리, 싸뭇쁘라깐, 쑤판부리, 논타부리, 빠툼타니, 우따라딧, 차청싸오, 펫차부리, 펫차분, 아유타야, 푸껫, 깜펭펫, 나컨라차시마, 쁘라찐부리, 끄라비, 컨켄, 차이낫, 우돈타니, 피찧, 나컨씨타마랏, 수라타니, 쁘라쭈업키리칸, 차이야품, 나컨싸완 그리고 앙텅 - 통제가 가능하지만 근접 상황 수시 체크 초록색 확진사례가 없는 지역 - 위의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 태국 정부는 국내 확진자가 나온 지역의 경중을 놓고 색깔별로 지역을 구분하여 해당 지역에 맞는 통제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한편 태국 기초교육위원회(Basic Education Commission : OBEC)는 앞으로 12일간 234개 중고등학교와 651개의 초등학교의 문을 닫는다고 발표했다. 주로 이번 코로나19 대량 확진 사례가 발생한 지역으로 싸뭇싸컨 지역 중심 인근 지역 학교들이다. 해당 학교들은 방콕을 비롯 17개 도시로 깐짜나부리, 깜펭펫, 치앙마이, 라차부리, 논타부리, 빠툼타니, 핏싸눌룩, 피찧, 아유타야, 나컨라차시마, 나컨파톰, 사싸부리, 쑤판부리, 싸뭇쁘라깐, 싸뭇싸컨, 싸뭇쏭크람과 우타라딧 등이다. (*본 기사 내용은 2020년 12월 24일과 25일 현재의 내용으로 교민잡지가 발행되는 2021년 1월 5일에는 지역별로 그 상황이 달라져 있을 수도 있음을 알립니다)

K-pop Dance Contest

2020/12/23 18:30:01

K-pop Dance Contest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동남아서부협의회 태국지회 주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동남아서부협의회 태국지회는 지난 12월 13일 방콕 소재 S-레저호텔에서 ‘2020 케이팝 댄스 콘테스트’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약 200여명의 참가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본선에 진출한 16개 팀의 결선 경연이 펼쳐진 이날 행사에는 이경진 태국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많은 분들이 코로나19로 지치고 힘들지만, 오늘 행사를 통해 한국과 태국이라는 국적을 떠나 모두에게 희망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차이용 전 주대한민국태국대사는 축사를 통해 “태국은 한국전쟁에 군대를 파병한 오랜 동맹국이자 혈맹이며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 정책을 적극지지하는 국가”라 말했다. 이날 축하공연은 태국 유명 여자아이돌 그룹 ‘데이지데이지’가 나와 오프닝 무대를 펼쳤으며 이후 16개팀의 열띤 공연으로 분위기가 후끈 달아올랐다. 대회를 마무리하고 시상식 전 무대에서는 민주평통 동남아서부협의회 태국지회 위원들이 제작한 ‘One Dream One Korea’영상이 소개되었으며 모든 참가자들이 함께 한 플래시몹 등의 퍼포먼스로 한태 참석자 모두가 하나가 되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이날 경연대회에서는 1등에 ND Team이, 2등은 Nightmare팀, 3등은 I have water팀이 각각 수상했다. 이들은 각각 15,000바트, 12,000바트 그리고 10,000바트 등의 장학금을 수상하였으며 이외에도 특별상으로 6개팀이 선정되었다.

AWAKENING2020

2020/12/19 13:43:09

방콕 빛의 축제 2020 무산 위기까지 갔었던 방콕의 아트와 크리에이티브 빛의 축제 Awakening 방콕 2020 행사가 극적으로 개최되었다. 새로운 방콕의 창조와 아이디어의 거리라고 할 수 있는 짜른끄룽 TCDC 앞마당에서 시작된 이번 행사는 25명의 유명 아티스트들과 함께하는 36개 쇼케이스로 마련되었다. 태국 유명 기획회사인 TimeOut Bangkok에서 마련한 이번 행사는 벌써 3회째를 맞고 있는데 지난해 같은 경우 약 12만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는 공전의 히트를 자랑하는 행사였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약간은 축소된 경향이 없잖아 있지만 여전히 방콕의 젊은 아트 러버들에게 호평을 받는 행사로 기록될 예정이다. 특히 최근 들어 가장 핫한 방콕의 거리로 떠오른 ‘짜른끄릉’을 주 무대로 하는 행사이기에 젊은이들의 큰 관심과 호응을 얻은 행사였다. 이번 행사의 주요 장소는 태국 우정국 본관과 지하 그리고 웨어하우스30, Prince Rama Theatre 등이었으며 태국은 물론 외국 디자이너들이 40여개의 다양한 조명 예술을 선보였다. 12월 20일까지 진행되었던 이번 행사는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함께 전진하자는 의미로 소제목 Re/Wind/Fast/Forward로 정해졌으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미친 우리의 경제와 사회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를 연구하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행사는 이제 막을 내렸지만 이번 행사를 통해 선보인 짜른그릉의 다양한 장소들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교민잡지에도 그 일부가 이미 소개된 바 있다. 교민잡지 522호 참조 https://issuu.com/kyominthai.com/docs/522.compressed 교민잡지 584호 참조 https://issuu.com/kyominthai.com/docs/584-compressed Awakening2020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사항은 Timeout.com/bangkok Facebook.com/timeoutbangkok에서 찾아볼 수 있다.

코로나19가 끼친 태국 여행 산업 붕괴조짐 경고

2020/11/12 13:46:22

태국 NBT World에서는 태국내 628개 여행사를 대상으로 지난 9월 16일부터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해당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 전체 태국 여행자들 분포도가 총 100%의 여행자중 내국인 여행자 62%에 외국인 여행자 38%의 수준이었다면 지금은 93%의 국내 여행자에 6.98%의 외국인 여행자로 분류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현재까지 78.2%의 여행사가 다시 문을 열어놓고는 있지만 여행자 부족, 자금 부족 그리고 여행 소비 심리의 위축으로 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또한 여행 관련 업종의 경우 자동차 렌탈업 100% 스파와 마사지샵 93.8%, 레스토랑은 89.2%, 지역 관광지는 88.2%, 기념품 상점 85.7%, 호텔 등 숙박시설 81.6%, 테마파크 등 관광시설 80% 등이 영업을 재개하였지만 예년에 비해 월등히 떨어지는 수입으로 큰 위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태국 비지니스 뉴스에 따르면, 2019년 동남아시아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들이 3천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중 약 30%가 태국을 찾았다. 하지만 2020년 3월 코로나19의 전세계적 팬데믹에 완전히 발길이 끊어진 중국 관광객들을 위시해 한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 관광객들 마저 오고 싶어도 오지 못하는 상황에 처한 지금 태국 정부와 관광청의 노력은 가히 눈물겹기만 하다. 중국인 관광객의 첫 STV(Special Tourist Visa) 비자 혜택자를 시작으로 천천히 문을 열 계획을 갖고 있는 태국이지만 앞으로 갈길이 요원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태국 중앙은행은 외국인 여행자의 지속적인 제한이 계속된다면 태국 관광 산업은 내년에 더욱 큰 위험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또한 더 나아가 태국 총생산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태국 정부는 관광산업과 태국 경제 회복의 추진력 확보를 위해 적절한 외국인 입국허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국 정부는 관광 정책과 코로나19 확산 억제간의 적절한 균형 유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코로나19 2차 확산이 혹시라도 발생하더라도 대처가 가능한 상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태국 중앙은행 경제정책국장 돈 나콘탑씨는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