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례입시 Q&A 598호 - 2021학년도 후기 전교육과정 해외이수자 특별전형

2021/03/01 12:50:37

안녕하세요. 이번 호에서는 2021학년도 후기 전교육과정 해외이수자 특별전형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서울대 - 원서접수 : 2021년 3월 2일 ~ 3월 5일(금) 17시 - 온라인 추천서 입력 : 2021년 3월 2일- 3월 12일(금) 17시 전형료 결제 시 자동으로 추천인에게 추천서 작성 안내 이메일 발송됨 온라인 추천서 작성시스템을 통해서 제출한 추천서만 인정 (우편/이메일/팩스 제출 불가능) - 예체능 지원자 : 포트폴리오 제출기한 2021년 3월2일 – 3월12일 (금) 17시 성과물(포트폴리오)은 입학본부가 아닌 지원 단과대학으로 직접 제출, 모집단위별 제출방법이 다름 - 실기 고사 : 2021년 4월15일(목) - 예비 합격자 발표 : 2021년 5월14일 17시 제출서류 - 자기소개서 - 교사추천서 - 언어능력증빙서류 9한국어 3급 이상 IBT 80이상 / IELTS 6.0 이상 - 전형참고자료 (학내외 활동 및 수상을 포함하여 최대 10개 학교장 직인서명 필수) 기타사항 1. 기타 언어능력 증빙 서류 (공통) HSK, JLPT, JPT, DELF, DALF, DELE 등 언어능력 증빙 서류 - 원본 서류가 아닐 경우에만 학교장 직인 또는 서명 필수로 변경, 학교장 확인 불가시 사유서 제출 필수 2. 지원자의 대한민국 출입국에 관한 사실증명 관련 (지원유형2, 9번 항목) 모집안내문 상에는 출생일로부터 2021. 2. 28. 까지 기록된 증명서를 발급하여 제출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코로나 등의 상황을 감안하여 출생일로 부터 2021. 2. 20. 까지로 변경함 * 조회일이 2021. 2. 20. 이전일 경우에는 사유서 반드시 제출 3. 글로벌인재특별전형Ⅱ(전교육과정해외이수자) 지원자의 경우, 3월 학기에 국내 대학에 합격한 자는 우리 대학을 포함하여 국내 타 대학 동일학년도 9월 학기 모집에 지원할 수 없습니다. 고려대 - 원서접수 : 2021년 3월 9일 ~ 3월 25일(목) 17시 - 온라인 서식입력 : 2021년 3월 9일- 3월 26일(금) 17시 - 온라인 서류제출 : 2021년 3월 9일 – 3월 26일 (금) 17시 - 디자인 조형학부 면접고사 : 2021년 4월 26일(월) ~ 4월 28일 (수) 비대면 영상면접 - 최종 합격자 발표 : 2021년 6월 11일 17시 - 전형 방법 : 인문/자연/체능 : 서류 100% 예능 : 서류 70%, 면접 30% 제출서류 1. 자기소개서 (선택) 2. 초중고 성적재학증명서 및 재학 졸업(예정)증명서 3. 활동증빙서류 – 최대 10개 (교내발급서류만 인정) 4. 포트폴리오 (디자인조형학부 지원자에 한하여) 5. SCHOOL PROFILE 6. 출입국 증명서

특례입시 Q&A 597호 - 우리나라의 기술원 대학들

2021/03/01 12:30:17

안녕하세요. 이번 호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외에 우리나라의 기술원 대학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서울대나 KAIST가 명실상부한 국내 1위대학이긴 하지만 대학을 평가하는 것은 상대적이고 자신의 경험과 자신에게 맞는 대학은 분명 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흔히들 공대하면 서울대, 연대, 고대, 성균관대, 서강대 등을 떠올릴 수 있겠지만 우리나라에는 KAIST 말고도 엔지니어링이나 과학을 전공하고 싶은 학생들을 위한 연구중심대학인 기술원 대학인 울산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있습니다. 먼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경우 외국 소재 고교졸업 예정자 자격으로 수시입학에 지원 가능합니다. 출신학교 프로파일과 졸업(예정)증명서가 필요하며 성적증명서 및 활동내역서가 필요합니다. 공인시험 성적 제출해야 하며 이는 표준화학력시험을 의미합니다. (SAT, IB, AP, ALEVEL, ACT) KAIST와 마찬가지로 6회 제한에 예외규정의 대학이기 때문에 부담 없이 써볼 수 있습니다. 원서접수는 9월 말이며 면접은 11월에 있습니다. 해외고는 수시 학생 수 종합 일반전형으로 지원하며 모집인원은 145명 내외입니다. 전형방법은 서류 종합평가 100%로 1단계 전형이 이루어집니다. 주로 학업 및 탐구 역량을 보며 이는 학업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며 나눔과 배려의 인성과 사회정의와 공익을 우선하는 가치관을 보게 됩니다. 2단계는 면접으로 모집 정원의 4배수를 선발하여 개별로 심층 면접을 실시합니다. 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 및 교사추천서 등을 기반으로 학업 및 탐구 역량과 더불어 사회적인 역량을 종합 평가합니다. 최종 합격은 서류50 면접50으로 이루어집니다. 울산과학기술원은 대국 경북기술원과 마찬가지로 서류 50, 면접 50으로 이루어집니다. 선발인원은 320명 내외이며 1단계 서류평가의 결과로 4배수를 선발합니다. 이공계의 경우 수학, 과학, 국어,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평가하며 경영 계열은 수학, 과학, 국어, 영어교과 외에 사회교과를 추가로 평가합니다. 지원 계열에 대한 관심과 학교생활 충실도 및 인성 등 글로벌 과학기술 리더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2단계 면접은 서류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지원 계열의 적합성 및 과학적인 탐구 능력과 인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평가 방법은 1인대상으로 면접위원 2-3인지 제시문 면접을 포함하여 20분 내외로 개별 블라인드 면접을 합니다. 제시문 면접은 고등학교 교육과정 범위 및 수준 내에서 융합지문 형태로 주어지며 보통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교과 범위 내에서 출제되며 교과 면접의 경우 수학•과학 등 다양한 개념이 문답형식으로 출제됩니다. 광주과학기술원의 경우 위 대학들과는 다르게 서류 70% 면접 30%입니다. 모집인원은 115명 내외이며 과학 교과 구술면접은 지원자가 원서접수 시 선택한 과목으로 진행합니다. (물리, 화학, 생명과학) 중 한 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수학면접의 경우 수1, 수2, 미적분, 확통 및 기하까지 범위가 포함되며 전공 수학능력 구술면접(10~15분)과 내적 역량 구술면접(5-10분 내외)을 보게 됩니다. 내적 역량 구술면접은 제출서류 기반하여 이공계의 적합성을 보며 의사소통 능력과 진학 의지 및 개인의 태도와 가치관을 확인합니다. 서류평가에서 지원자가 전공 수학능력이 충분히 검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공 수학능력 구술면접은 면제될 수 있습니다. 전공 수학능력 구술면접의 경우 수학과학 학업역량 및 문제해결 능력을 보게 되며 창의성과 논리적인 사고력을 확인하는 문제들로 주로 매년 기하 벡터 관련된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특례입시 Q&A 596호 - 세계적인 요리학교, 뉴욕대학교

2021/01/19 14:12:48

안녕하세요. 이번 호에서는 지난 호에 소개해 드렸던 세계적인 요리학교에 이어서 뉴욕대학교에 대하여 안내해드리고자 합니다. 전세계에 많은 캠퍼스를 지니고 있는 대학으로 1831년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의 제안으로 뉴욕주 뉴욕시티 주민들의 자발적인 성금을 모아서 시작된 학교로 현재 메인 캠퍼스인 워싱턴 스퀘어 캠퍼스는 맨하튼에 있는 그리니치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시내 전체가 캠퍼스일 만큼 도시와 캠퍼스 사이의 경계가 없습니다. 학교의 상징인 보라색 깃발이 꽂혀 있는 곳이 대학 건물입니다. 많이들 오해 하시는 부분이 한국에 있는 SUNY(뉴욕주립대)는 뉴욕대(NYU)와 다른 학교입니다. 뉴욕 주립대학은 크게 종합대학, 단과대학, 기술대학, 커뮤너티 칼리지로 구성되어 있는 대학이며 흔히, SUNY 4개의 대학을 뉴욕 주립대라고 말합니다. 한국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스토니브록대학, 빙엄턴대학, 버팔로대학, 올버니대학입니다. 뉴욕대학교는 10개의 학부 단과 대학과 15개의 대학원이 있습니다. School of Art and Science(인문 과학 대학), Stern School of Business(스턴 경영 대학), Steinhardt School of Culture,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스타인하트 문화 대학), College of Dentistry(치과 대학), School of Professional Studies(전문 직업 연구 대학), Tisch School of the Arts(예술 대학), Tandon School of Engineering(탠던 공과 대학), Grossman School of Medicine(의학 대학), Gallatin School of Individualized Study(갤러틴 개별 연구 대학), School of Law(법학 전문 대학) 이 있습니다. 이 중 의학, 경영학, 법학, 치의학은 세계 최고의 수준이며 2020 US NEWS 비즈니스학부 순위 5위, NICHE 예술학교순위 6위와 영상사진분야 2위를 기록하였으며 QS랭킹은 철학1위, 미디어6위, 법학대학원 6위, 의학대학원 4위 입니다. “Inclusion, Diversity, Belonging and Equity (IDBE)” 이는 뉴욕대학교의 슬로건으로 교환학생프로그램은 다양성을 존중하여 학생들이 원활한 국제교류를 지향할 수 있도록 배려한 프로그램입니다. 일단 글로벌캠퍼스로 아부다비, 베를린, 플로렌스, 런던, 파리, 프라하, 상하이, 시드니 등이 있습니다. 뉴욕캠퍼스로 입학한 학생들은 최소 1학기에서 2학기까지 글로벌 네트워크 대학에서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NYU 아부다비> NYU 아부다비는 아랍에미레이트로 부터 엄청난 금전적인 지원으로 인하여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정한 자격이(재정보조신청서CSS PROFIEL) 된다면 등록금 면제뿐만 아니라 왕복비행기까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매년 우수한 학생들이 대거 몰려들고 있으며 SAT, ACT입시 요건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높은 GPA와 다른 학생들과 비교되는 특별한 활동과 자신의 글로벌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는 서류를 준비하여 어필하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인터뷰나 선택적으로 요청이 오며 아부다비대학이나 호텔에서 인터뷰를 하게 되며 특정 학생들을 선발하여 초청을 합니다. 여행경비 및 호텔 체류비용은 모두 학교에서 부담합니다. 지원방법은 미국 대학지원방법과 동일하며 얼리디시전1, 2, 레귤러로 지원할 수 있으며 22개의 전공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NYU 상하이> NYU 상하이는 2013년 중국의 화둥사범대학과 합작하여 개교하였으며 18개의 전공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아부다비 캠퍼스와 마찬가지로 많은 장학금의 혜택이 있으며 SAT나 ACT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얼리디시전1, 2, 레귤러로 마감하여 3~4월에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특례입시 Q&A 595호 - 요리전문 대학 안내

2021/01/15 13:50:06

정말 다사다난했던 2020년이 지나고 2021년이 밝았습니다. 새해에는 코로나19에서 벗어나 건강하고 활기찬 새해가 되시길 간절히 기원합니다. 코로나19의 극복을 응원하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번 호에서는 최근 문의가 많아 요리전문 대학에 대하여 안내해드리고자 합니다. 단연 세계최고의 요리대학은 1946년에 설립된 CIA(The Culinary Institute of America) 학교입니다. 뉴욕에 본교가 있으며 캘리포니아, 텍사스 그리고 싱가폴에 분교를 운영하고 있는 명실상부 최고의 요리학교 중 하나입니다. 교육시설은 물론 커리큘럼과 훌륭한 교수진과 세계 최고 수준의 실습시설들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영양학과 메뉴개발론, 와인론과 같은 이론수업과 더불어 정육과 해체, 각 대륙들을 대표하는 요리들의 실습은 물론 교내에 있는 레스토랑과 베이커리에서 이루어지는 실습들은 기본이며 인턴쉽(엑스턴쉽)까지 있습니다. 최소15주 또는 600시간의 실습을 통하여 세계적인 음식점과 리조트 및 잡지사에서 실무적인 것들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며 커리어까지 쌓을 수 있습니다. 설치학과는 전문대학사(요리/제빵)와 4년제 학사 (매니지먼트 / 조리과학 / 응용식품학)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입학조건은 고등학교 졸업자이며 추천서가 매우 중요합니다. FOOD SERVICE 경력이 필요하며 토플 80점 이상, IELTS 6.0 이상이 요구됩니다. 두 번째로 일본 오사카에 위치한 요리전문학교인 츠지 전문학교입니다. 프랑스 요리연구가였던 추지 시즈오에 의한 설립된 전문 학교로 50년이 넘는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학교로 동경의 핫토리 요리학교와 더불어 일본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습니다. 1년간 프랑스요리와 이탈리아 및 일본의 전통요리와 중국요리 등 다양한 요리들을 배우며 2학년 때 서양과 일본 그리고 중국요리 중에서 전공을 선택하며 3학년 때는 자신의 테마요리가 창작 가능한 전문인재로 교육을 받게 됩니다. 고등학교 졸업자 이상이며 일본어학연수 6개월 또는 JLPT N2 이상의 어학조건이 필요합니다. 복장에서부터 마음가짐까지 일본스타일의 복종과 규칙 그리고 규율에 대해서도 엄격한 편입니다. 하지만 전문학사나 학사자격이 아닌 기술학교입니다. 대략 학비는 200만엔입니다. 마지막으로 르꼬르동블루는 프랑스의 요리발전과 전파를 목표로 1895년 프랑스 파리에서 설립된 사립요리 학교 입니다. 줄리아 차일드, 낸시 실버튼, 제임스피터슨과 같은 사람들이 동문이며 프랑스, 영국, 스페인, 캐나다, 멕시코, 미국, 호주, 일본, 태국, 중국, 대만 그리고 한국에도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요리학교입니다. 학사와 석사 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요리, 제과제빵, 호스탈리티 비즈니스가 개설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서울캠퍼스의 경우 요리 디플로마, 제과 디플로마, 제빵 디플로마 과정이 있으며 프랑스와인 마스터클래스와 티마스터 클래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과정은 3학기 9개월 과정이며 숙명여자대학교 안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태국 방콕캠퍼스는 방콕의 중심지인 센트럴월드 컴플렉스에 위치하고 있으며 요리, 제과, 제빵 이외에도 태국전문과정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급, 중급, 상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정은 7개월 과정입니다.

특례입시 Q&A 594호 - 캐나다 대학 안내

2020/12/29 12:00:33

안녕하세요. 이번 호에서는 캐나다 대학에 대해서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University of Toronto 대학> 캐나다의 최고대학으로 연구중심의 대학이며 2019년 QS 랭킹 29위대학으로 전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명문대학입니다. St.Geroge, Mississauga, Scarborough 세 곳에 캠퍼스들이 있으며 현재 980개 이상의 아카데믹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학생수 9만명이며 전세계적인 동문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학생도 대략 700여명 있습니다. 한국유학생 커뮤니티도 활발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입학조건 : 공인영어성적(토플100점, IELTS 6.5점) 고등학교 성적 및 졸업장, 표준화학력시험 (IB,SAT) 이수한 과정에 따라 또한 지원하는 과에 따라서 입학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지원시 https://future.utoronto.ca/apply/requirements/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입학지원 마감은 1월 15일 입니다. <MCGill university> 1821년에 설립된 명문공립대학교 입니다. 캐나다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학교이며 12명의 노벨상수상자를 배출했을 정도로 연구중심의 대학입니다. QS랭킹 33위이며 공대순위로는 10위내에 위치하는 학교로 400개의 프로그램들과 50개의 연구건물이 교내에 있어 공부하기 최적의 환경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3만명의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으며 몬트리올의 날씨만큼이나 여름엔 쾌적하고 겨울에는 매우 춥습니다. 입학조건 : 공인영어성적(토플100점, IELTS 6.5점) 고등학교 성적 및 졸업장, 표준화학력시험 (IB,SAT) 이수한 과정에 따라 또한 지원하는 과에 따라서 입학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지원시 https://www.mcgill.ca/undergraduate-admissions/apply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입학지원 마감은 1월 15일 입니다.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08년에 설립되어 현재 2개의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밴쿠버에 본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오카나간에 캠퍼스를 두고 있습니다. 대략 3만5천명의 학생들이 있으며 한국인 유학생수는 400명으로 비즈니스스쿨이 유명하며 상대적으로 비교적 다른 학교들보다 저렴한 학비와 지리적으로 좋은 밴쿠버에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입학조건 : 공인영어성적(토플90점이상, IELTS 6.5점) 고등학교 성적 및 졸업장, 표준화학력시험 (IB,SAT) 이수한 과정에 따라 또한 지원하는 과에 따라서 입학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지원시 https://www.ubc.ca/admissions/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입학지원 마감은 1월 15일 입니다.

특례입시 Q&A 593호 - 특례영어 시험 안내

2020/12/18 18:53:59

안녕하세요. 이번 호에서는 특례영어 시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흔히 3년특례(재외국민 특별전형)에 해당되는 학생들은 크게 3가지 형태의 시험이 있습니다. 서류로 평가하는 대학들(고려대, 연세대, 중앙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이 있으며 필답시험(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경희대 등)을 보는 학교가 있습니다. 그리고 면접으로만 선발하는 대학(명지대, 국민대, 광운대 등)이 있습니다. 문과의 경우 영어+국어, 또는 영어, 이과의 경우 영어+수학으로 필답시험을 보게 되며 시험의 난이도는 수능보다는 어렵고 편입시험보다는 쉬운 편에 속합니다. 하지만 한국외국어대학이나 경희대, 이화여대의 경우는 편입영어와 난이도가 비슷할 정도로 어렵습니다. 문-이과 공통적으로 대부분의 대학들이 50:50으로 반영됩니다. 건국대, 동국대, 숙명여대, 숭실대,아주대, 이화여대, 인하대, 홍익대 이과의 경우 50:50으로 반영됩니다. 하지만 경희대 문과의 경우 60%, 단국대 60%한국외국어 대학 역시 영어를 60% 반영합니다. 외국어대학의 경우 서울캠퍼스가 대략 매년 100점 기준으로 85~90점에서 컷트라인이 형성되었으며 글로벌캠퍼스의 경우 75~80점에서 컷트라인이 형성되었습니다. 또한 추가합격의 경우, 매년 100%정도 내외에서 추가합격이 이루어졌고 글로벌 캠퍼스의 경우 200% 정도가 추가합격이 이루어졌습니다. 성신여대와 세종대 그리고 한국항공대 경영학부와 홍익대의 경우 영어 100%로 선발합니다. 특례영어시험은 대부분의 대학들의 경우 어휘문제, 논리완성, 문법, 독해의 구조를 가지고 문제를 출제합니다. 학교마다 문제의 숫자와 비중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건국대와 경희대 경우 어휘문제들이 대략 20%, 논리완성형문제들이 40%, 문법이 10%, 독해문제들이 30%가 출제됩니다. 반면 단국대의 경우 논리완성이 50%, 문법25%, 독해25%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수능과 비슷한 시험유형으로 난이도는 매년 쉽게 출제되고 있습니다. 동국대의 경우 경희대보다는 다소 쉽지만 비교적 어려운 편에 속하는 시험이며 총 25문제를 출제하고 있으며 어휘력과 논리완성문제들이 비교적 제시문이 길어 더 어렵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성신여대의 경우 다른 대학과 달리 어휘와 논리완성이 합쳐서 10% 내외이며 50%정도 내외로 문법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화여대의 경우 문법의 비중이 비교적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15문항이 출제되며 주로 독해와 논리완성형 문제들이 주로 출제되며 전체 문제는 독해지문 5~6개 안에 문제들이 있습니다. 이화여대의 경우 영어에세이가 있습니다. 200단어 내외로 주어진 질문에 대하여 작성해야 되며 비교적 까다로운 주제가 제시됩니다. 인하대의 경우 독해가 90%정도로 출제되고 있으며 난이도도 어느 정도 있는 편입니다. 한국외대의경우 영어시험은 상당히 어려우며 문제가 50문제로 다른 학교들과 비교하여도 가장 많은 문제를 출제하고 있으며 문장 배열형 문제가 대략 10% 내외로 출제되고 있습니다. 문법 문제 또한 30%로 총 15개의 문제가 출제되어 더 어렵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따로 어휘 문제가 출제되고 있지 않은 것이 또 하나의 특징입니다. 항공대의 경우 30문제가 출제되며 논리완성과 독해위주로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홍익대의 경우 주로 독해 위주이며 어휘와 10% 문법이 25%내외로 출제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문제는 어떻게 준비하느냐 입니다. 일단 대학마다 출제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여 출제유형이 자신에게 유리한 대학을 먼저 정하고 그 평가요소에 맞게 또는 출제 유형에 맞추어 전략적인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례영어의 출발은 어휘입니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어휘 문제가 따로 있지만 어떠한 영어시험도 어휘가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소용이 없습니다. 최근 제시문에서 문제를 활용한 관용어구 유형이 많이 출제되고 있기 때문에 깊은 어휘학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다양한 어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암기뿐만 아니라 기출어휘부터 시작하여 고급어휘로 실력을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독해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어능력도 중요하지만 배경지식을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발췌된 기사나 혹은 철학, 지구과학, 문학, 역사와 예술 등 다양한 장르가 출제되므로 다양한 지문을 학습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