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용의 우리말로 깨닫다] 디귿 이야기

2020/05/07 09:06:32

디귿은 다른 한글의 자모와는 달리 이름이 좀 특이합니다. 모두 두 번째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하는데 유일하게 디귿만 기역으로 시작하는 ‘귿’이 되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읃’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어서 받침에 디귿이 들어가는 한자를 찾아본 겁니다. 그런데 한자에도 디귿이 받침인 말은 없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받침에 디귿이 들어가는 우리말 중에서 다시 찾게 되었는데, 모음으로 시작하면서 받침이 디귿인 말은 찾지 못한 것 같습니다. 궁여지책으로 찾은 것이 ‘귿’입니다. 지금은 소리가 달라졌지만 ‘끝[末]’의 옛말입니다. 디귿에 끝의 의미를 담은 말(末)을 쓴 것은 디귿의 느낌에 마지막의 느낌이 있어서는 아닐까요? 끝을 발음해 보면 더 잘 느낄 수 있을 겁니다. 현재 북한에서는 원래의 생각을 살려 ‘디읃’이라고 합니다. 남북한에 부르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디귿 음은 청각적인 이미지가 강합니다. 즉, ‘소리’의 느낌이 납니다. 좀 ‘딱딱한’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두드리는’ 소리의 느낌이 나고, ‘뛰고’ ‘달리는’ 느낌도 납니다. 지금 쓴 단어에도 디귿이 한 가득이네요. 아무래도 디귿은 울림소리가 아니고 닫힌 음이기 때문에 a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 마무리가 되는 느낌인 겁니다. 하나가 끝나고 다음이 시작할 때는 소리가 나게 마련입니다. 부딪치는 소리, ‘떨어지는’ 소리가 납니다.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길 때도 소리가 나죠. 특히 빠르게 움직이면 소리가 더 크게 납니다. 세상의 소리 중 디귿과 쌍디귿으로 나는 소리에 귀를 기울여 봅니다. 어떤 느낌이 날까요? 디귿이 소리라고 한다면 의성어(擬聲語) 중에 디귿에 해당하는 예가 많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길게 이어지는 음보다는 끊어지는 음에 많을 것 같습니다. 북소리나 장구소리 등 타악기를 표현하는 소리에 디귿이 많이 보입니다. 예를 들어 북소리는 ‘둥둥’ 울립니다. 장구소리를 구음으로 표현하면 ‘덩 덩 따 쿵 따’라든가 ‘따 구 궁 따 쿵 따 쿵’처럼 표현이 됩니다. 쌍디귿 소리는 좀 더 강조되는 느낌이 있습니다. 더 짧게 끊어지는 소리입니다. 덩에 비해서 ‘따’는 더 짧게 끊어지는 소리입니다. 장구채로 치는 소리로 긴 소리가 아닙니다. ‘딱’이나 ‘똑’의 느낌도 비슷합니다. 시계소리를 ‘똑딱똑딱’이라고 표현한 것도 소리의 울림이 없기 때문일 겁니다. 물론 ‘똑딱’에는 받침의 기역도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빗소리의 ‘후두둑’이나 빨리 움직이는 ‘후다닥’에서도 디귿의 느낌을 알 수 있습니다. 각각 끊어지면서 서두르는 느낌이 있습니다. 빠른 움직임이 느껴지는 거죠. 그래서일까요? 우리 신체 부위 중에서 ‘다리’가 디귿으로 시작합니다. ‘달리다, 뛰다’도 모두 디귿으로 시작하는 어휘입니다. 후다닥 뛰고 달리는 다리의 모습이 상상이 됩니다. 촉감으로 보자면 디귿은 아무래도 굳어있는 느낌이 납니다. 여러 개가 겹쳐져 있는 느낌도 있습니다. 다닥다닥, 덕지덕지 붙어있는 느낌입니다. 굳어 있다 보니 딱딱한 느낌도 납니다. 한편 디귿으로 시작하는 의성어와 촉감에 해당하는 표현이 연결되고 있는 듯합니다. 딱딱한 것에 부딪치면 딱 소리가 나니 말입니다. 막힌 것을 뚫는 것도 디귿의 느낌입니다. 그리고 우연의 일치로 보이나 돌이나 땅이 디귿과 연관이 됩니다. 돌은 들이나 달과도 관련이 됩니다. 모두 땅의 이미지가 있습니다. ‘닫다’와 ‘굳다’의 받침이 디귿인 것도 느낌을 보여줍니다. 저는 디귿을 보면 북소리가 들리고 장구소리가 들립니다. 둥둥둥, 따궁따 소리는 우리의 심장을 더 뛰게 한다고 합니다. 심장마비가 왔을 때 북소리를 들려주면 응급 상황을 벗어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는데 북소리가 심장박동을 닮았기 때문이겠죠. 전쟁터에서 북소리를 울리는 것은 단순히 큰 소리로 응원하는 것만은 아닐 겁니다. 심장을 뛰게 하여 힘을 북돋는 것이죠. 디귿 소리 속에서 우리 모두 더 큰 힘을 얻기 바랍니다. 조현용(경희대 교수, 한국어교육 전공) iiejhy@khu.ac.kr

[조현용의 우리말로 깨닫다] 다시 윤동주

2020/02/15 15:05:42

한국인이 제일 좋아하는 시라면 윤동주의 ‘서시’와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달래꽃에 한국인의 사랑과 정서, 한이 담겨있다면 윤동주의 서시에는 절실함 또는 처절함이 있습니다. 김소월도 윤동주도 상황은 다르지만 요절을 하였기에 더 슬픈 감정이 듭니다. 윤동주의 서시는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로 시작합니다. 이 시는 젊은 시인의 의혹 가득한 죽음과 맞물려 슬픈 감동을 주고, 반성의 시간을 주고, 다짐의 시간을 줍니다. 시인의 다른 작품 자화상, 참회록, 슬픈 족속, 쉽게 씌어 진 시 등과 이어지며 감정의 흐름이 깊어집니다. 저는 시에 관심이 깊어지던 중학교 시절부터 윤동주 시인의 서시가 좋았습니다. 제가 시를 써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을 때, 서시를 흉내 낸 시를 써 보기도 했습니다. ‘초의 기도’라는 시였었는데 참혹한 수준이었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난 후 여러 기회에 윤동주를 만났습니다. 오래전에 연길에 특강을 갈 일이 있었습니다. 잠깐의 시간이 남았을 때 저는 용정에 있는 윤동주 선생의 생가를 가 볼 수 있었습니다. 휘어있는 나무 굴뚝이 아직도 생각이 납니다. 지금은 생가 앞에 중국 조선족 시인 윤동주라고 쓰여 있다고 하는데 좀 씁쓸합니다. 종로구에는 연희전문을 다니던 윤동주의 하숙집 터가 있습니다. 서촌에서 수성동 계곡으로 향하는 길목에 있는데 시도 한 편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근에는 윤동주 선생이 살았던 연희전문의 기숙사가 윤동주 기념관으로 개관하였습니다. 수성동 계곡을 올라 청운동을 넘어가면 윤동주 문학관이 있고, 윤동주 시인의 언덕이 있습니다. 그 언덕에는 ‘서시’와 ‘슬픈 족속’이 새겨진 시비가 햇살 속에 있었습니다. 시인의 이야기가 언덕을 풍요롭게 합니다. 교토에 갔을 때는 동지사 대학과 교토 조형예술대학에서 윤동주 시인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동지사 대학에 다니던 시인은 교토 조형예술대학이 있는 곳에서 하숙을 하였습니다. 지금 두 대학에는 윤동주 시인의 시비가 서 있습니다. 시비의 소개에는 한국 시인이 아니라 코리아 시인이라고 되어 있네요. 교토 조형예술대학에서 동지사 대학으로 가는 길에는 교토인이 사랑하는 가모가와 강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강변에 윤동주 시인을 잡아간 시모가모[下鴨] 경찰서가 있습니다. 물론 지금은 그때와 모습이 달라졌지만 감정은 그때로 금방 달려갑니다. 마음이 아팠습니다. 시인이 걸었을 길을 저도 조용히 걸어보았습니다. 세월에 겹쳐진 다양한 환영(幻影)을 만납니다. 윤동주 시인은 시모가모 경찰서에서 잡혀 재판을 받은 후 고종사촌 송몽규 선생과 함께 후쿠오카 형무소에 갇힙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조국의 해방을 불과 반년 앞에 두고 옥사를 합니다. 한 달 사이에 같이 잡혀간 사촌 송몽규 선생도 옥사를 합니다.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의혹이 가득합니다. 저는 후쿠오카에 갔을 때 형무소 자리에도 찾아가 보았습니다. 지금은 아이들의 놀이터로 변한 모습입니다. 아이들의 모습에 자꾸만 시인의 슬픔이 겹쳐집니다. 마음 한켠에 쌓인 감정을 추스르기가 어렵네요. 돌이켜보니 저는 윤동주 선생의 생가부터 다니던 학교, 하숙집 그리고 잡혀간 경찰서와 형무소까지 모두 둘러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선생을 기리는 언덕과 문학관, 시비도 만나게 되었네요. 지금은 일본 교과서에도 윤동주 시인의 시가 실려 있다고 합니다. 슬픈 족속으로 쉽게 쓰여 지는 시를 쓰는 자신을 돌아보고, 참회하며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고 싶어 하던 젊은이를 만납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라고 말하는 시인에게서 폭력이나 복수보다는 평화와 사랑을 만나게 됩니다. 12월 30일은 윤동주 시인의 탄신일이었습니다. 2월 16일은 시인이 세상을 떠난 날입니다. 겨울이 되면 저는 다시 윤동주 시인이 생각이 납니다. 얼마 전에 태국 한국교육원에서 새로 한국어 강의실을 여는데 교실 이름으로 어떤 게 좋겠냐는 물음이 있었습니다. 저는 ‘소월’과 ‘동주’를 추천하였습니다. 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도 윤동주 시인의 삶과 시가 잘 전해지기 바랍니다. 조현용(경희대 교수, 한국어교육 전공) iiejhy@khu.ac.kr

1112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