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홍보] 듀오링고(Duolingo) 시험 무엇이 달라졌을까 (feat. 2023년 5월 개정)

2023/06/02 12:55:22

2023년 5월부터​ 듀오링고 시험이 개정되었습니다. 듀오링고(Duolingo)는 세계 최대 언어학습 플랫폼으로 온라인 기반 공인 영어 시험입니다. 전 세계 4,000개 이상의 대학 및 기관들이 해당 시험에 대한 공신력을 인정하여 대학 입학 시 영어 점수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듀오링고 시험 개정 듀오링고는 5월부터 시험이 개정되었습니다. 크게 Interactive Listening (상호작용하며 듣기)라는 새로운 유형이 시험에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문제 유형이었던 Listen and Select (듣고 선택하기)가 삭제되고, Speaking Sample (말하기 샘플)이 성적표 점수에 추가된다고 합니다. ​ 상호작용하며 듣기 유형은 5-6개 문항으로 특정 설정된 상황에서 대화 텍스트가 제시되는데, 질문에 대한 대화 텍스트가 비어 있으면 해당 빈칸을 채우는 것을 요구하는 시험입니다. 말하기 샘플 시험은 이전과 달리 채점되어 시험 점수에 반영된다고 합니다. 전반적으로 시험 난이도 수준이 이전에 비해 어려워진다고 하지만, 토플이나 아이엘츠 시험에 비해서는 비교적 쉬운 단계이기 때문에 단기간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충분히 노려볼 수 있는 시험입니다. 듀오링고와 아이엘츠의 공통점으로는 두 시험 모두 말하기, 쓰기, 듣기, 독해 총 네 영역에서 평가를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차이가 있다고 하면, 아이엘츠의 경우 각 영역을 나누어서 시험을 보지만, 듀오링고는 한 문제에서 네 영역을 골고루 다루고 있습니다. ​ TOEFL, IELTS 및 TOEIC 시험과 Duolingo 시험의 차이 우선, 시간적인 면에서 본다면 듀오링고 영어 시험은 1시간 안에 끝날 수 있는 시험입니다. 그리고 듀오링고는 응시료 $59​로 TOEFL $255, IELTS $245-255, TOEIC $85 보다 시험 응시료가 비교적 저렴합니다. 그리고 듀오링고는 컴퓨터와 카메라만 있다면,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어디서든지 시험을 응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심지어 집에서도 시험을 응시할 수 있고, 토플이나 아이엘츠에 비해 시험 시간이 1시간 정도 짧으며, 시험 완료 후 48시간 내 성적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유학생들이 선호하고 있는 시험이기도 합니다. 단, 온라인 기반 시험이다 보니 부정행위에 매우 민감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카메라 응시 방법이나 소음에 신경을 써서 응시해야 하는 까다로움이 있습니다. 듀오링고는 4가지의 카테고리별로 점수를 매겨 성적을 제공합니다. 읽기 및 쓰기 능력, 이해력, 대화 그리고 영어로 얼마나 창의적으로 표현하는지에 대한 능력을 개별적으로 평가합니다. 듀오링고의 쓰기와 말하기 부분의 시험은 채점을 AI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법적 오류가 발견되면 점수가 감점되므로 정확한 문장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 듀오링고의 시험 점수를 TOEFL, IELTS, TOEIC 그리고 CEFR 점수로 전환해보자면 듀오링고 150점은 TOEFL (118-120), TOEIC (990), IELTS (9.0), 그리고 CEFR (C2) 입니다. 미국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TOEFL (iBT) 45점 또는 IELTS 5.0 점수가 필요한데, 듀오링고 시험 점수로는 이제 75점 이상으로도 대학 입학이 가능하다고 합니다.(2023년 기준) 하지만 상위권 미국 대학은 더 높은 점수를 요구하기 때문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듀오링고는 무료연습 시험도 제공하고 있으니 하단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시험 전에 먼저 연습해보고 시험에 응시해보시길 바랍니다. https://www.englishtest.duolingo.com/register ​ ​ ​ ​​​⭐공맵 포스트 바로가기⭐ https://vo.la/nxnJn ▲ 공맵포스트에서 더 많은 입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SAT 준비를 위한 시험, PSAT (Preliminary SAT)란?

2023/06/01 11:44:32

PSAT(Preliminary SAT)는 SAT와 AP를 주관하고 있는 칼리지보드(College Board)가 주관하는 시험입니다. 시험명 그대로 SAT를 대비하기 위한 모의고사 개념의 표준화 시험입니다. 에세이 유형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SAT와 거의 유사하며, SAT에 비해 난이도가 약간 수월하고 문항이 적어 SAT를 준비할 학생들이 미리 문제 유형을 익히고 부족한 부분을 파악함으로써 실제 SAT 시험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SAT는 응시 대상에 따라 PSAT/NMSQT, PSAT10, PSAT 8/9로 나뉩니다. PSAT/NMSQT : 10/11학년 대상 PSAT10 : 10학년 대상 PSAT 8/9 : 8,9학년 대상 PSAT/NMSQT는 칼리지보드와 내셔널 메리트 스컬라쉽에서 공동으로 주관하는 시험으로 NMSQT는 National Merit Scholarship Qualifying Test를 뜻합니다. PSAT/NMSQT에서 고득점을 받은 상위 3% 이내의 학생들은 내셔널 메리트 스컬라쉽에서 진행하는 장학금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이 장학금 프로그램은 미국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에 한하여 우수한 학생들에게 국가에서 장학금을 수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유학생들의 참여는 제한됩니다. National Merit Scholarship Program은 1955년 미국에서 시작된 장학금 제도로 매년 150만면 정도의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장학금에는 총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National Merit® $2500 Scholarships 대학 입학사정관과 고등학교 카운슬러로 구성된 위원회의 장학금 ($2500) Corporate-sponsored Merit Scholarship awards 기업 후원에 따른 우수 장학금 College-sponsored Merit Scholarship awards 미국 내 대학 후원 장학금 National Merit Scholarship 장학금은 수령 금액 뿐 아니라, 장학 대상에 선정되었다는 사실 자체로도 미국 명문대 입시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SAT는 Evidence-Based Reading and Writing과 Math 2가지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SAT/NMSQT과 PSAT10의 시험 소요시간은 2시간 45분, 총점은 1520점 만점이며, PSAT 8/9은 2시간 25분, 1440점 만점으로 진행됩니다. 각 시험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PSAT는 SAT와 달리 주관사인 칼리지보드에서 시험 접수를 받지 않고, 각 학교에서 접수신청을 하도록 되어있습니다. 학교별로 칼리지보드에서 주어진 시험 날짜 중 원하는 일자를 재량으로 택하여 시험을 진행합니다. 미국 내 많은 학교들이 커리큘럼에 PSAT를 포함하여 재학생들이 응시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재학 중인 학교에서 PSAT를 진행하지 않는다면 다른 학교로 접수를 신청하여 응시할 수 있습니다. ​ ​​​⭐공맵 포스트 바로가기⭐ https://vo.la/PBBaA ▲ 공맵포스트에서 더 많은 입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홍보] 커먼앱(Common App) 유학생 지원자 통계 발표

2023/05/31 08:10:28

​ 미국 대학 입학 공동지원서 커먼앱(Common Application)을 통해 지원한 각 나라의 유학생들은 얼마나 많을까요? 커먼앱이 지난 2021-2022년도를 기준으로 미국 대학 입학에 지원한 유학생들을 집계한 결과, 학사 과정 입학 지원자는 총 51,426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적별 유학생 지원자 수 ​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 국적의 유학생이 12,113명으로 유학생 수 1위를 차지했습니다. 2위는 6,253명으로 인도 국적 유학생인 것으로 나타났고, 3위는 3,080명으로 집계된 캐나다 국적 유학생이었습니다. 우리나라는 과연 몇 명의 유학생들이 지원했을까요? 한국 국적 유학생 수는 1,983명으 4위인 파키스탄 국적 유학생(2267명)에 이어 5위를 기록했습니다. 학생 수로는 1983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 수치는 지난 2014-2015년도에 발표된 지원자 수보다 15% 증가한 결과입니다. 2017-2018년도 기준으로는 비교해보면 한국 국적 유학생이 4위였으나, 이번 2021-2022년도 기준 집계 결과에서는 파키스탄 국적 유학생이 4위로 올라와 5위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2014-2015년도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중국 국적 유학생은 26% 증가하였고, 인도는 무려 130%, 캐나다는 59%, 파키스탄은 111%로 크게 증가한 결과가 보였습니다. SAT·ACT 성적 제출 비율 ​ ​ 표준화시험 SAT와 ACT 점수 제출에 대한 부분은 어떨까요? 코로나19 기간 이후 미국의 많은 대학들이 표준화시험을 선택 제출(Test-optional)로 변경하면서 시험 성적 제출에 대한 부담은 낮아졌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많은 학생들이 점수를 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커먼앱 조사 결과, 전체 국가를 보았을 때 평균 44%의 유학생이 SAT 또는 ACT 성적을 제출했으나 한국은 전체 평균보다 높은 58%의 유학생이 시험 점수를 제출했습니다. 대입 시험 점수 제출 비율을 살펴보면 중국 학생이 가장 낮은 19%, 캐나다는 26%, 네팔이 35%, 인도가 43% 수준이었습니다. 조기 전형에 지원한 비율을 살펴보면 중국 학생의 65%가 early 전형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한국이 50%로 두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커먼앱을 통한 국제 지원자 수는 증가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2014-2015년도 지원자 수 31,456명 대비 2021-2022년도 지원자 수가 51,426명으로 증가하면서 63% 높아졌습니다. 전반적으로 커먼앱을 이용해 미국 대학에 지원하는 유학생 수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한국과 중국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최근 지원 수가 감소하였다가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공맵 포스트 바로가기⭐https://vo.la/uyHty ▲ 공맵포스트에서 더 많은 입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